반응형
<영상 내용>
한국어,중국어,일본어의 차이를
변화를 중심으로 역사 순으로 소개합니다.
영상 소개에 나온 중국어,일본어,한국어 순서대로 영상 설명을 올리오니 이 점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중국어>
중국어는 현재 쓰이고 있는 언어중에서 가장 오래된 문자중 하나입니다. 중국어의 기원은 기원전 3000년의 그림문자로부터 시작됩니다. 신석기시대 말의 중국 그림문자는 처음으로 도자기와 항아리에 새겨지게 되고 이러한 문자들은 가족이나 사랑등과 같은 의미를 담고있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지금과 같은 중국어의 초기 형태는 은나라 때 처음 나타났고 매우 복잡한 체제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자는 대부분 기원전 1500년 부터 기원전 1000년 까지 종교적인 목적을 위해 쓰였습니다.
이런 문자가 단 한 사람으로부터 만들었다라는 전설이 있는데,
그 주인공은 기원전 2650년에 등장하는 전설속의 '황제'의 역사가로 생각되는 창힐이라는 사람입니다.
그는 눈이 네개, 동공이 여덟개로 알려져 있으며 그가 중국어를 만들었을때 신과 귀신들이 울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창힐이 중국어를 만드는 과정에 있어서는 두가지 전설이 있는데, 하나는 '황제'가 창힐에게 문자를 만드는 일을 시켰고, 창힐이 강둑에 가서 고민을 하여도 명안이 떠오르지 않아 실망하고 있던 찰나
봉황이 하늘에서 말 발굽같은 것을 떨어트리는 것을 보고
근처의 사냥꾼에게 어떤 동물의 발굽일거같냐는 질문을 하게되고
그것이 '기린'의 발굽임을 알게된 창힐이 모든것에 개성을 부여하자는 아이디어를 얻게되어
일년만에 중국어를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두번째 전설로는 창힐이 거북이의 혈관을 보고 문자를 만들었다는
것 입니다. 주나라 시대때는 문자 발전이 많이 일어나게 되어 5000개 이상의 문자를 만들게 됩니다.
중국 문자는 서체에 따라서도 그 용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그중 한가지는 인장에 쓰이는 문자를 예로 들수있습니다. 또 초서의 경우 칼리그래피의 일종으로 문자를 빠르게 쓰다보니 몇몇 부수들이 변형되거나 뭉쳐진 모습을 보입니다.
간서체의 경우 문맹을 줄이기 위해 중국 공산당에서 도입했지만
문자 자체에 담겨져 있는 의미를 생략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전통적인 문자는 지금도 쓰이고 있으며 주로 대만과 홍콩에서 쓰입니다.
중국 문자는 옛날에는 위에서 아래로 쓰는것이 원칙이였지만 지금은 현대화를 위해 좌우로 쓰고 있습니다.
중국 문자의 특징은 문자가 각지며 둥글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일본어>
일본 문자는 기원후 5세기경에 만들어집니다.
그 이전까지는 독자적인 문자체계가 없었지만 중국 문자가 한반도를 통해 들어오자 상황은 달라집니다. 일본은 급진적으로 이런 중국 문자들을 본국의 언어와 융합시키기 시작합니다.
일본 문자는 처음에는 발음을 중심으로 썼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가나는 문법적으로
이상함이 있었기에 중국 문자는 채용하되 일본의 문법을 따르게 됩니다.
후에 일본은 카타카나와 히라가나의 두 문자 체계를 만들게 되는데 히라가나는 기존에 있던 일본어를 쓰기 위해, 카타카나는 중국 불경을 읽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들게됩니다.
일본은 그리하여 총 3개의 문자체계(한자, 카타카나, 히라가나) 가 있는데 일본의 한자는 천여개 정도 되며 46개의 카나카나와 히라가나 밖에 없습니다. 중국어와 한국어와는 다르게 일본어는 문자에 중국어를 섞은 것이 많고 문자 자체가 둥글둥글합니다.
<한국어>
중국과 가까이 있기에 중국의 영향을 받아 한국의 초기에는 한자의 발음만 채용한 이두를 만들게 됩니다. 한국은 몇몇 한자들은 발음을 채용하고 몇몇은 의미를 중요시 하게 됩니다.
그리고 몇몇 한자들은 발음과 의미를 동시에 중요시 하기때문에 본 뜻이 모호했습니다.
15세기에는 세종대왕에 의해 한글이
창제되었고 이는 다른 언어들과는 다르게 뜻보다 소리를 중요시한 문자였습니다.
하지만 창제 후 한글이 인가가 많아진 1945년 까지 사람들은 한글을 많이 쓰지 않았고
중국어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한글은 19자음과 21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국어는 간단한 문자로 인식되어 쉬운 언어로 인식되지만 한글의 문법은
말하는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 등 배우기에 어렵다고 합니다.
한글의 특징은 중간중간에 동그라미와 'L'이 들어있다는 것입니다.
<댓글 반응>
Adrian J Nyaoi
오래전부터 약간 궁금한게 있었는데, 중국어의 한자가 그렇게
많다면 어떻게 한자를 핸드폰으로 입력하는거야?
Freshie55 <reply : Adrian J Nyaoi>
중국사람들은 병음을 쓰고 대만 사람들은 주음을 써. 그리고
한자를 쓰면 인식하는 키보드도 있어.
HX Huang <reply : Freshie55>
웃긴 (사실 슬픈)사실: 중국어를 칠때 사용하는 방법인 병음의
개발자가 110살의 나이에 어제 돌아 가셨어.
Freshie55 <reply : HX Huang>
좋은 정보 고마워.
Brian Balhatchet
간단한 사실은 아무리 전통적인 한자가 예뻐보인다고 할지라도,
매일 쓰기에는 비실용적이라는 거야. 또한 너는 중국 공산당이
중국어의 단순화를 발명했다고 했는데, 그건 실수야. 중국 공산당
이 아무리 단순화된 중국어의 시스템을 규격화 시켰다고는 하지만
중국어의 단순화는 이미 적어도 2000년 이전부터 시작되어 왔다고.
Aditi Balakrishnan
동의해. 한국의 한글은 배우고 읽기에 충분히 쉬워.
Midnight Darkness <reply : Aditi Balakrishnan>
하.... 일본어는 한글이란 완전 반대인거 같애.
Captain Travis
우리 이모가 한국인인데 나한테 몇몇 한글을 가르쳐 줄려고
노력하셨지. 결국 내가 그녀에게서 배운거라고는 젓가락
쓰는 법과 김치 담구는 법 뿐이 였지만.
Leopold
한국어는 매우 간단한 언어라 노벨문학상을 따지 못하는것도
그 때문이야. 중국 언어를 폐지시킨 결과가 그런거지.
Rissa <reply : Leopold>
너 정말 멍청하다. 한국 한들은 전세계에서 가장 똑똑하고
잘 쓰여진 언어로 취급받거든?
Leopold <reply : Rissa>
그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자아상일 뿐이지. 그들이 탄
노벨 문학상이나 과학상이 있기나 해?
Jackthgun <reply : Leopold>
한글은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중국어 보다 훨씬 좋은 언어야.
Leopold <reply : Jackthgun>
어짜피 문학이 있으려면 문자 체계가 있어야 할거 아니야.
sneakpeep <reply : Leopold>
멍청한 서양의 상을 타지 못했다고 해서 동양의 언어가 잘못
되었다고 하는거 자체가 웃긴데? 중국이나 일본 작품중에 노벨
이나 퓰리처상을 받은 게 있는지나 알려줄래?
Leopold <reply : sneakpeep>
일본하고 중국하고 둘다 2개씩 갖고 있어.
CNVideos <reply : Leopold>
한글은 비교적 젊은 언어 시스템이고 한국인에 의해서
손수 만들어 졌어. 혁신적이고 논리적이지만 완벽하지는
않아. 한국인들이 몇몇 인도네시아의 토착 언어에 한글을
적용시키려고 했지만 R과 L의 첫소리와 끝소리 발음때문에
고생을 겪어야 했어.
Adrian J Nyaoi <reply : Leopold>
웃기지마. 2000년이 넘는 문학작품들과 수억명의 사람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단 하나의 노벨 문학상밖에
못 탔잖아. 어짜피 서양사람의 권력에 의해서 상을 준거
뿐이겠지...
Tresnardi Kusuma
한국 문자는 놀랍게도 배우기 엄청 쉬워. 나는 한글 읽는 법을
24시간도 채 안되서 배웠어. 아직은 연습이 더 필요하겠지만.
Henry Brook <reply: Tresnardi Kusuma>
어 나도 하루정도 걸렸는데. 지금은 빨리 읽는게 가능해졌는데
아직도 문장 구조나 단어를 더 배워야해.
dw4gamer33
이 동영상을 보고 내가 중국어를 읽을 수 있다는 것에 감사
하다는 생각이 드네
Monica Navarrete
나에게 있어서는 일본어가 가장 쉬운거 같아.
3년동안 일본어를 공부하고 있는데 좀 쉬운거 같아.
중국어도 좋지만 너무 복잡해.. 그리고 한글은 괜찮아 보이는데,
모르겠어, 어려워보이는데 그렇지도 않은거 같아.
gracieafur 1
전통적인 중국어는 쓰기에는 시간이 너무 걸리네.
El Cee
엄청 흥미로운데? 한글하고 일본어가 중국어에서 온지는 몰랐어.
taiwan tungus <reply : El Cee>
언어학적으로는 아니야.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의
언어는 중국어하고는 완전 다른 언어야. 중국의 문명화가 꽤
빠른 시기에 성숙화 되자, 동아시아에 많은 발명품의 원천이
되었고 중국의 문자는 그 발명품중에서 일부였어. 그리고
한국, 일본, 베트남 사람들은 2000년 정도 전에 중국 문자를
도입했어. 하지만 베트남과 한국은 1950~1970년 사이에 자국의
언어를 사용하며 중국 문자를 철폐하기 시작했고 일본은 여전히
중국의 문자를 섞어서 쓰고 있는 중이야. 그냥 단순히 중국 문자를
로마 알파벳처럼 생각하면 될거야.
El Cee <reply : taiwan tungus>
정보 고마워.
Yuki Kun
나한테 있어서는 중국어보다 한국어하고 일본어가 더
쉬운거 같아. 학교에서 일본어 수업을 듣고 있는데
이젠 거의 유창해! 한글도 공부하고 있고.
Data Integration Thought Entity Humanoid Interface
간서체의 경우 시험 시간이 급박할때 좋고
전통적인 한자의 경우 칼리그래퍼가 된 느낌을 받고 싶을때
좋아.
Kuro Izanami
나는 중국인인데 어떻게 읽고 어떻게 쓰는지 까먹었어. :P
Sharon Clawson
내가 한국인이기 때문에 말해줄수 있는데, 한글은 때로는
어려울 수도 있지만 연습을 계속하면 쉬워지게 되어있어.
나에게 있어서 말하기 가장 어려운 문자는 러시아같아.
혀가 너무 꼬이거든.
uzumaki naruto
중국어도 예쁘고 일본어도 예쁘고 한국어도 예뻐서 모두
다 배워버리고 싶지만 지금은 일본어를 제일 배우고 싶어
CritiqueCat
한글은 배우기에는 쉽지만 언어 자체는 쉽지는 않아.
한국 문법은 거의 일본 문법이랑 비슷해.
baihu yan
한글 알파벳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영어처럼 한국어도 쉽게
발음할 수 있을거 같아.
Brianna771
나는 지금 대학교에서 일본어를 배우고 있는데, 히라가나와
카타카나는 알지만 한자는 20개정도 밖에 몰라서 더 많이
배워야 할거 같아.
dw4gamer33
일본 애니메이션과 한국 드라마, 중국 영화들, 내 귀 덕분에
듣기만 해도 언어를 구별할 수 있어.
Suhair Awsaj
한자가 들어있을때 빼고는 차이를 알 수 있을거 같아.
YummYakitori
히라가나와 카타카나도 중국 문자에 기반해서 발전되었어.
KaotikBOOO <reply : YummYakitori>
맞아, 예를 들어서 히라가나 せ와 카타카나 セ는 한자
世의 단순화로 부터 왔어, 다 "세"라고 발음되지.
아마 다른 것에서도 이러한 흔적를 찾을수 있을거야.
DGJ 13
만약 한국 문법이 어렵다고 생각되면 그리스 문법을 보고
다시 생각해봐.
Rater Crits
중국어는 절대 배울 수 없고, 일본어는 뭐 그저그렇고,
한국어는 배우는게 가능해.
szik
중국어가 나한테는 배우기 가장 쉬운거 같은데 왜 그런지는
모르겠어. 만약 의지만 있다면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많큼
그렇게 어렵지는 않아. 성조 연습을 좀 하게 되면 말하는 걸
배우는 건 그렇게 어렵지는 않지만 당연히 쓰고 읽는데에는
시간이 걸리겠지.
Supernaltooth <reply : szik>
중국 문법이 쉬워서 문제없이 의사소통하려면 오직 3000개의
문자만 외우면 돼.
supa3ek
중국은 그들의 언어를 더 단순화시키면 안돼.
어렵게 만든다면 그들의 나중 세대들을 똑똑하게 만들겠지.
맞춤법도 못맞추는 지금의 영어를 봐.
Sofia Meyer
대만 문자는 왜 빼놨나요?
Eva Chua <reply : Sofia Meyer>
대만인들은 전통적인 중국어를 씁니다. 간서체와 전통적인
중국어는 서로 다르게 보이지만 같은의미를 지닙니다.
전통적인 중국어가 더 깊은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말이죠.
Riyu Tsuha
말레아시아 어가 제가 배웠던 언어중에서는 가장 쉬웠던 거
같아요. 쓰기에 가장 어색한 언어이기도 했지만...
张惟乔
저는 간서체만 쓸 수 있지만 또한 전통적인 중국어도 좋아해요.
Isis Abiguime 47
다루기에 매우 좋은 주제네요. 동영상 감사해요! :)
Danny Tranter
베트남어도 다뤄주실수 있었을텐데... 우리가 지금은 라틴문자를
쓰고는 있지만 우리는 분명히 중국 문자를 오랜 역사 속에서 써왔
거든요. 심지어는 독자적인 문법 체계까지 만들었는데요.
DZR3WIND
한글의 기본을 이해하기 까지에는 몇분도 채 걸리지 않았어요.
이것이 제가 한글을 배워서 미래에 한국에 가고싶은 이유이죠.
그리고 한국 여자들은 꽤나 매력있잔아요.
CNVideos
다음에는 태국어 좀 해주세요! 만약에 하신다면 Khmer,Lao,
Burmese와 남부 인도의 문자에 대해서도 다루셔야 할 거에요.
번역기자:NPSLPM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사회.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 방송 "글로벌 한국의 미래 도시" 태국반응 (0) | 2017.03.04 |
---|---|
기아, 미국 슈퍼볼 광고 선호도 조사 1위 광고! 미국반응 (0) | 2017.03.04 |
인도 삼성전자의 폭풍감동 광고 화제, 해외반응 (0) | 2017.03.04 |
한국에서 하지 말아야 할 것들, 해외반응 (0) | 2017.01.29 |
해외네티즌 "끝내주는 한국 영화관!" 해외반응 (0) | 201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