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외 기사 내용:
오버워치 서비스 시작 후 PC방 랭킹 2위 등극, LOL 점유율 10%를 떨어트리다.
게임 트릭스에 따르면 오버워치가 출시되고 PC방 순위 2위에 올랐다고 한다. 이는 꾸준히 순위를 유지하던 다른 온라인 슈팅 게임인 서든어택을 3위로 내려놓았으며 아직 인기있는 리그오브 레전드는 오버워치가 런치되자 지난 주에 비하여 10% 하락된 점유율을 보였다. 이 초기 급등은 블리자드의 출시 및 PC방 이벤트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댓글:
KaRappa
슈퍼 헤비 LOL 플레이어가 여기 있습니다. 오버워치 출시되고 나서 LOL을 못잡고있어요.
ㄴ 공정하게 말하자면, 오버워치는 지금 출시된지 일주일도 안지났어.
오버워치는 아직 매우 따끈따끈한 게임이고 메타도 정립되지 않았지.
그러니까 그 게임은 매우 접근하기 쉬운 상태야.
아직 어떤 방식이 최고의 방식인지 사람들이 모르거든. 오버워치의 메타가 발전하게되면,
(그리고 블리자드는 영원히 업데이트를 하겠지... 블리자드니까),
사람들은 거기서 좀 멀어지게 될꺼야. 더 중요한건 우린 언제나 게임이 새로 출시되면
이런 현상을 보게된다는거야. – 사람은 휴식을 취할 때 새로운 것들을 시도해보고,
다시 그 전에 플레이하던 것으로 돌아가지. 지금 상황만 가지고는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는 없어.
ㄴㄴ Mokokomo
오 갓, 블리자드의 패치나 픽스를 기다리는 건 가장 견디기 힘든 일중 하나야.
ㄴㄴㄴ MonoryZarya
히오스는 패치도 정기적이고 피드백 상당히 좋지 않았어?
ㄴㄴㄴㄴ joebenetSpesh#11987
맞아, 우리는 3주마다 새로운 히어로를 가질 수 있었지.
버그랑 트위킹 패치도 매주 한 번 혹은 두 번 이루어졌고,
6주마다 대대적인 밸런스 패치도 있었지. 그들은 런치 이후에
여기에 상당히 신경을 쏟는 중이야. 비록 11월과 12월에 이뤄진 밸런스 패치는
조금 엉망이었지만. 메타는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고, 그건 멋진 일이야.
오버워치 팀도 이렇게 꾸준했으면 좋겠어.
ㄴㄴㄴ Annyongman
히오스는 그들의 다른 게임에 비해 확실히 우대받고있지.
하스스톤이 6개월만에 가장 엉망인 덱을 픽스한것에 비하면 말이야.
ㄴㄴㄴㄴ Elvenstar32Elvenstar#21174
만약에 니가 하스스톤에 대해서 얘기하려면
9개의 덱슬롯을 추가하는데 얼마나 오래 걸렸는지도 말해야 할꺼야.
ㄴㄴㄴ HappyLittleRadishes
맞아, 하스스톤 패치는 4달에 1번정도의 비율로 이뤄지지.
달라, (그 팀은)독립적이고 가장 자율적인 팀이야.
ㄴㄴ I_BEAT_OFF_STRANGERS
“오버워치는 아직 매우 따끈따끈한 게임이고 메타도 정립되지 않았지”
그리고 그게 게임을 더 재미있게 만들어주지.
ㄴㄴㄴ Erelah
나는 그게 아니라고 말하진 않았어. 내 말은, 한번 사람들이
오버워치의 플레이와 에코시스템에 익숙해지고 기억하기 시작하면
(어떤 캐릭터가 어떤 상황에서 베스트인지, 어떤 캐릭터가 어떤 캐릭터를 카운터 할 수 있는지,
어떤 팀구성이 어떻게 시너지를 내는지 등등) 메타는 고착되고
그게 블리자드가 게임을 앞으로 어떻게 모양을 잡아갈지에 대해 영향을 끼치지.
메타가 있다는건 나쁜것도 아니고 좋은 것도 아니야.
ㄴ Esriak
나는 (LOL과 오버워치) 둘 다 돌아가며 플레이 하고있어.
ㄴ dperussinaChibi
나도야, 지금은 urf로 돌아왔지만
ㄴ Vicious_Styles
나도 그래, 리그로부터 아주 기이이이인 휴식을 취하고있어.
ㄴ HastaKalista
나도그래 :)
NoSleepAddictedFire
디바를 플레이 하는 사람이 여기 아주 많아보이네
AnonTwoPixel
내가 하고싶은 말은, 이 게임은 아직 이슈되고있는 기간 이라는거야.
그 기간이 끝나야 우리는 오버워치가 그걸 어떻게 유지하는지 보게될꺼야.
하지만 아직 놀라운 게임이긴 해.
ㄴ Gharvar
맞아, 허니문처럼 말이지... 데스티니/더디비전도 2-3주간은 역사상
가장 훌륭한 게임이었고 그 후에 사람들은 그게 아니라는걸 깨달았지..
오버워치가 그렇다는건 아니야, 왜냐하면 오버워치는 블리자드 게임이고
그들은 보통 그들의 게임을 괜찮게 서포트 하니까. 그래서 난 이 게임에 기대하고있어!
ㄴㄴ kaspianhPixel
나는 데스티니가 2주 흥행하고 어떻게 된건지 알아보고있어. 걔네 뭐한거야?
ㄴㄴㄴ Gharvar
대부분 기어를 얻기 위해 스트라이크를 돌았지...
나는 일주일정도 레이드를 끝내고 그만뒀어. 특별할 것도 없고 지루했기 때문이지.
ㄴ I_BEAT_OFF_STRANGERS
맞아, 아냐(데스티니와 오버워치는 다르다는 말- 주).
ㄴ PsySick
그건 연장된 클로즈 베타때 이미 끝났어.
HappyLittleRadishesSomeone
2010년부터 리그오브레전드를 플레이했어.
만약에 메스 엑소더스를 가능하게 하면서
라이엇의 독주를 완전히 무너뜨릴 게임이 있다면, 그건 오버워치일꺼야.
mhk2192
나는 LOL을 일년 정도 플레이 안했어... 거기 soloq가 없다는 게 무슨말이야?
ㄴ Fredde1909
복귀하지마, 그 게임은 점점 구려지고있어.
심지어 거긴 무료 정글 타이머도 모두에게 공개되어있어.
ㄴㄴ mhk2192
맞아, 나 때도 그랬지. 나는 주로 정글러를 했는데 라이엇이 정글러 포지션에서
사람들이 원하는걸 진짜로 모르고있는 것 같아서 그만뒀어.
Sagumes
리그는 죽었어 친구들
ㄴ Erelah
그렇지는 않아. LOL은 전혀 다른 포지션이야.
나는 솔직히 다른 MOBAs(도타2나 히오스나 스미스같은)가 LOL을 위협한다고 생각해.
ㄴㄴ Rh0d1um
도타2에 한표
ㄴㄴㄴ Erelah
도타2는 이 시장에선 작은 부분밖에 차지하지 못하고 있어.
너는 각 게임의 메리트에 대해서 논쟁할 순 있겠지만 LOL은 유저 수로는 확실히 승자야
ㄴㄴㄴㄴ Mkilbride
ㅋㅋㅋ, 도타가 작다구
2위를 작다고 말할 수 없어.
HoN이 지금 작다고 볼 수 있지. 워3의 오리지널 모드도 지금은 작아.
스미스도 작고, 배틀본도 작아. 히오스는 중간이야.
나는 MOBAs를 좋아하지 않아. 도타2도 마찬가지...
하지만 그건 백만에 가까운 접속유저가 있어... 그건 절대 작은게 아냐 ㅋㅋ
ㄴㄴㄴㄴㄴ Gridoverflow
그는 롤과 비교해서 작다고 한거고 확실히 맞아.
도타2는 지난달 600K의 유저가 플레이 했어. 롤은 월 67밀리언의 플레이어가 있어.
확실히 엄청 큰 차이지. 그리고 롤과 비교하면 모든 게임이 작아.
ㄴㄴㄴㄴㄴㄴ Earwolfman_Jack
현재 접속자를 비교해야지 가끔 접속하는 유저까지 포함해서 월별 유저를 비교하는 건 쓸데없어.
그리고 도타는 600K가 아니라 12밀리언 플레이어야. 600K는 월평균이고.
ㄴㄴㄴㄴㄴㄴㄴ Rasp533
그래봤자 아직도 50M에 비하면 큰 차이지.
ㄴㄴㄴㄴㄴGyoin
“스미스는 작아”
그래? 내생각에 스미스는 상당히 위협적으로 성장하고 있는데,
최근에 플레이하진 않았지만 말야.
ㄴㄴㄴㄴㄴㄴㄴ Mishrito
빠르게 성장하고 있긴 하지, 하지만 빅보이(롤, 도타)에 비교하면, 맞아. 작아.
ㄴㄴㄴㄴ slaya45Whatcha
왜 너희들이 다운보트 했는지 모르겠다. 롤은 아직까지 매우 탄탄한 게임이야.
확실히 OW가 위협하고있긴 하지만, 롤이 무너지긴 힘들어.
개인적으로는, 나는 더 이상 롤을 플레이할 생각이 없어.
ㄴㄴㄴㄴsagume
와우
KinoTheMystic
여기 롤 안티팬들이 활개치는군. 나는 두 게임을 다 하고있어.
맞아, 난 그 두 개를 다 플레이 할 수 있어. 쇼킹하지?
Seasniffer
내생각엔 히오스가 롤보다 더 재미있어. ;)
dials_
나는 블리자드가 상장기업인지 몰랐어!
그들의 주식은 몇 달 전에 100% 올라버렸지. 기회를 잃었어 :(
ㄴ Gyointwitch.tv
음, 두배 오르지는 않았어. 하지만 마지막 하락에 비해 30%는 올랐지
ㄴㄴ dials_
오. 아쉬워라.
ㄴ tkim91321
그냥 베가스에 가서 도박을 해. 너는 시장을 탓 할 순 없을꺼야.
번역기자:제하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게임.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버워치 개발팀 한국 PC방 플레이어에게 패하다, 해외반응 (0) | 2016.07.05 |
---|---|
삼성 갤럭시 노트7, 8월 2일 발표, 일본반응 (0) | 2016.07.05 |
해외네티즌 " 한국 E스포츠는 아주 드라마틱 해" (0) | 2016.07.05 |
롤 MSI, SKT T1 그랜드슬램 달성, 일본 롤팬 반응 (0) | 2016.07.05 |
롤 MSI 결승, 韓 SKT 우승! 그랜드슬램 달성! 해외 롤팬 반응 (0) | 2016.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