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업이 갈라파고스화 하고 있다라는 기사가 올라와 많은 댓글이 달렸습니다. 이 기사에선 중국에 대한 투자가 미국, 유럽 등의 국가에 비해 상당히 적고 영토와 해역 문제로 인해 중국에 대한 일본인들의 적대 감정이 늘어나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세계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외 시장 전개에 소극적이고 그로 인해 갈라파고스화 현상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특히 현재 글로벌 기업들이 엄청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 시장에 대한 인식 부족, 정보 수집 부족, 중국 시장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를 지적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갈라파고스화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일본 기업의 체제 혁신 및 냉정한 판단, 중국 현지 출장과 중국 경제 보도뿐만 아니라 기업 정보 기사에 포함된 중국 정보에 대해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일본 야후 재팬 반응입니다.
<야후 재팬 댓글>
r2a***** 공감 265 비공감 8
현지에 있는 사람은 알겠지만, 반일 교육이 있어서 중국에서 생활하면
차별을 느낀다. 일본인이 중국에서 멀어지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人生谷あり谷あり、悪い事ばかり 공감 261 비공감 5
장사는 기브 앤 테이크가 기본이다.
중국과 거래를 하면 이런 기본적인 것이 성립되지 않을 뿐
swa***** 공감 206 비공감 6
이상한 나라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지 않는 게 상식적인 선택입니다.
세계 여러 나라는 경제적인 이익만 추구하느라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려고 하지만
최종적으론 후회할 겁니다.
sss***** 공감 186 비공감 9
현재 중국과 전쟁을 앞두고 있다,
그럴 때에 적국의 경제를 윤택하게 해줘선 안 되지만
첩보 활동으론 필요하다.
elc 공감 152 비공감1
그냥 갈라파고스라고 말하고 싶었던 것뿐이잖아.
ron***** 공감 145 비공감 3
고속철도 사건이라든지 기술 유출에 대한 위험 부담이 크니까.
올바른 결단이다!
got***** 공감 105 비공감 0
여러 가지로 검토해야 할 부분이 있어
진출을 신중하게 결정하려고 하는 건데
그게 왜 갈라파고스냐?
필자는 중국에서 비즈니스를 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그러니 이런 터무니 없는 기사를 쓰는 거다.
bla***** 공감 97 비공감 3
중국은 시장이 아닌데
bre***** 공감 93 비공감 4
뭐냐 이 기사는? 일부의 사례뿐이고
일본의 중국관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 같다.
중국을 치켜세우려고 쓴 기사가 틀림 없다.
acc***** 공감 89 비공감 3
그래서 뭐? 투자라도 하라고? 싫거든!
志願兵 공감 78 비공감 3
앞날이 캄캄한 중국에서 얼른 일본 기업들이 철수 했으면 좋겠다.
제조라면 베트남, 방글라데시 쪽이 품질도 좋다.
yag***** 공감 66 비공감 1
일본 기업의 사장이 일본인이라면
아무리 이익이 된다 하더라도
중국에게 위화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았을 거다.
그 사람들은 인간이니까.
t_y***** 공감 64 비공감 0
미국과 협력하여 투자를 확대해도
무슨 일이 생겼을 때의 책임은 일본이 제일 많이 진다.
그러니 한 발 물러서고 싶은 거겠지.
시장은 중국말고도 있으니까.
이건 일본식 위험 회피다.
lov 공감 62 비공감0
조만간 세계 주요국들도 중국의 더러운 성격을 알고
눈물을 흘릴 날이 올 거다. 인도네시아의 고속 철도처럼
ahi***** 공감 61 비공감 1
지금 중국 공산당이 하는 짓을
일본인들에게 전부 다 용납하라는 건가요?
농담도 적당히 하시죠?
syj***** 공감 57 비공감 0
이익보다 위험 부담이 크니 밀접한 관계를 맺지 않고
신중하게 검토하는 게 맞는 거죠.
중국 상황이나 정책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 한 시장 확대는 안 하는 편이 좋습니다.
rude***** 공감 55 비공감 1
중국 시장에서 소극적이라서 갈라파고스화라니 이야기가 지나치게 비약된 거 같은데요?
세계에는 중국 이외에도 시장이 있습니다. 일본은 그쪽을 선택한 것뿐이죠.
중국 언론 입장에선 이런 식으로 기사를 적고 싶겠지만요.
r4_***** 공감 53 비공감 0
뭐…? 무슨 개소리를 지껄이는 거냐~
ohi***** 공감 48 비공감 0
유럽, 미국과는 다르게 일본은 정치적, 사회적인 면에서 위험 부담이 크니까.
한국은 오히려 중국을 뺄 수 없는 경제 상태지.
중국에게 돈 받고 쓴 기사 같다.
donalds 공감 47 비공감 0
정치와 경제는 분리할 수 없지.
반일 국가와 지금까지 어떻게든 거래를 했다는 거 자체가 운이 좋았던 거지.
상황에 따라 자산 압류나 인질도 생길 수 있으니
동남 아시아나 인도에 투자하는 게 좋다.
yyh** 공감 46 비공감 1
이건 당연한 섭리지.
중국 이미지는 최악이니까.
☆☆☆☆☆☆☆☆☆☆☆☆☆☆☆☆☆☆☆☆ 공감 43 비공감 2
이익이 없으니 투자 안 하는 것뿐이지.
ons***** 공감 42 비공감 0
필자가 갈라파고스화한 것 같네.
쓸데 없이 길게 적지 마라
s80***** 공감 41 비공감 0
중국 정보는 국제적인 문제가 발생하면
중국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외 동포를 스파이 용의로 구속하거나
유치한 보복 행위를 과거에 몇 번이나 했다.
위험한 중국에 진출하는 것보다
노동력이 싼 친일 국가에 진출하는 게 좋다.
mac***** 공감 39 비공감 2
일반인이 읽을 필요가 있는 기사냐?
ho chi minh 공감 36 비공감 0
환구시보 뉴스라고 착각할 정도의 기사다.
적은 사람은 중국 학교 출신이냐?
dxk***** 공감 35 비공감 0
일본은 유럽, 미국과 다르게 한중과는 거리를 거두는 것이 정답이다.
stu***** 공감 35 비공감 1
‘영혼을 팔지 않는 게’ 일본인이다,
뭘 모르네…
adi***** 공감 33 비공감 0
경제도 중요하지만, 지금 일본은 영토 문제가 시급하다.
tak***** 공감 32 비공감 1
중국과 거리를 두고 있다라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는
훌륭한 내용이다.
tep***** 공감 28 비공감 0
더 이상 신뢰할 만한 부분이 없다.
dra***** 공감 27 비공감 3
갈라파고스라
과연 일본은 세계에서 고립된 걸까?
oo 공감 25 비공감 0
중국과는 모든 부분에서 거리를 둬야 한다.
경제도 마찬가지다.
gas***** 공감 22 비공감 0
갈라파고스화가 결코 나쁜 점만 있는 게 아니다!
neko 공감 21 비공감0
전쟁할 가능성이 높은 나라에
인재와 자본을 투입하는 경영자가 있을 리가 없지
(*☻-☻*) 공감 21 비공감 1
된장을 똥이나 다름 없이 여기는 중국이랑 거래를 해봤자
좋을 일이 없다.
yam***** 공감 17 비공감 0
중국이나 한국이랑 연관되지 않는 게 제일이다!
요점이 벗어난 기사다.
일본은 전혀 문제 없다.
一般市民 공감 13 비공감 0
한국에게 훔칠 기술이 없어서
또 일본에 손을 대려고 하는 거지.
연관되어 봤자 이용만 당할 뿐이다.
ten***** 공감 12 비공감 0
새롭게 투자하는 경영자는 미래를 예상하지 못하는 멍청이들이지.
xrc***** 공감 11 비공감 0
중국은 하락세입니다.
일찍 철수가 하는 게 좋습니다.
먼저 행동하면 반드시 이깁니다!
尖閣ハ日本固有ノ領土 공감 10 비공감 1
실제 버블이 붕괴하고 있다.
GDP 조작. 그래도 인구가 13억 있으니
물건은 좀 팔리겠지.
ty6***** 공감 9 비공감 0
중국 시장을 단념하고 동남 아시아 시장을 선택한 것뿐이잖아?
큰 문제 있냐!?
yy_***** 공감 9 비공감 1
중국 공산당을 믿을 수 없으니
일본은 지금 이대로 가는 게 좋다.
중국이 민주화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tak***** 공감 8 비공감 1
한중은 장사의 기본인 신뢰 관계를 쌓을 수가 없다.
돈만 보고 장기 투자하면 망하기 일쑤다.
Japan 공감 7 비공감1
멋진 기사네요.
영토보다도 돈이 중요하다라는 걸 배웠습니다.
goo***** 공감 5 비공감 0
일본이 과도한 투자를 안 하는 건
선견지명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GOMA 공감 5 비공감0
이 데이터로 알 수 있는 건 유럽, 미국의 투자가 적극적이라는 점,
2~3년 전에 일본 기업은 이미 투자를 줄였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일본 기업은 작년부터 이미 중국 투자에 대한
위험 부담을 제대로 회피했다는 거 아닌가요?
tsg***** 공감 4 비공감 1
일본은 자멸의 길로 헤매지 않고 나아가고 있다.
kaz***** 공감 4 비공감 0
일본에서 중국 기업을 내쫓아야 합니다.
naz***** 공감 4 비공감 0
갈라파고스라고 하지 마라.
적대 관계니 어쩔 수 없다.
그것보다 다른 나라가 중국의 지배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라는 점이
유감스러울 뿐이다.
어떻게든 해라.
日本人にしか解らない 공감 2 비공감 0
퀄리티가 낮은 중국제품이 세계에서 배제되고 있다라는 기사가
가끔 있던데요.
번역기자:레이인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경제.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 전자업체 연합, 한국에 도전, 日 네티즌 아우성 (0) | 2016.09.05 |
---|---|
한.일 통화 스와프 의논 합의, 일본반응 (0) | 2016.08.28 |
중국 '터널버스' 전세계 사기극 논란, 중국반응 (0) | 2016.08.27 |
해외네티즌 중국은 모든 하늘도 자기네거라 주장할거다 (0) | 2016.07.18 |
국제재판소 "남중국해 중국 영유권 근거 없다!" 중국반응 (0) | 2016.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