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으로 시집온 호주처자의 영상입니다.
파주에 위치한 한국 현대역사 박물관에 방문한 후
흥미로운게 많은 장소라며 남편의 어릴적 추억을 찾아주고 한국의 지난 몇십년간의 빠른 변화를 보여주는 곳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MyKoreanHusband(영상 게시자)
한국의 현대 발전사는 정말 놀라워. 아마 세계에서 전후 폐허를 극복하고
기술발전과 함께 현대국가를 단기간에 만들어낸 몇안돼는 나라중 하나일거야.
한국은 한국전 이후로 해외원조를 받아야했고, 북한보다 한때 더 가난했지만 지금은 도움이 필요한 나라에게 도움을 주는 나라가 됐어.
이렇게 빠르게 발전하고 바뀔 수 있다는건 정말 놀라운 것 같아.
이게 최근에 지나간 역사를 돌아보는게 정말 매력적인 일인지에 대한 한 이유야. 내 남편의 어린시절은 나의 그것과는 정말 많이 달랐어.
내 엄마도 우리와 함께 다니며 내 남편의 어린시절이 내 어릴적인 호주의 1980~90년대보단 1960년대와 실제로 더 닮았다고 얘기를 나눴어( 왜냐면 과거 한국은 호주에 비해 많이 발전이 더뎠었거든)
요새는 사람들이 한국에 관심을 가지면 케이팝이나 케이드라마, 화려함과 기술을 주로 보는데, 그다지 멀지 않은 과거엔 굉장히 달랐어.
박물관이 대부분 그당시 생활상을 보여주려고 하기떄문에 박물관은 한국의 트라우마틱한 과거, 예를 들어 일본점령기나 한국전같은 역사를 보여줘.
파주로 이 박물관을 보러 가는건 충분한 가치가 있어.
└john smith
초점을 잘 짚어줬네 !!!!
Farah A
너희들 정말 귀엽구나 언제나 행복하게 지내길 바랄게
└MyKoreanHusband
고마워!
Patricia McLaughlin
정말 매력적인 장소구나! 역사의 발자취를 따라가기에 훌륭한 장소야
sillylindz
정말 흥미로운곳이네! 한국의 비극적인 전쟁사는 유감이야 :( 하지만 이렇게나 발전한게 정말 좋네. 게다가 네 남편 목소리 정말 좋구나 하하하
Ashlyn Nai
핑크 바지를 입고있는2:32의 여자와 남자가 모형인줄 알았는데, 갑자기 움직여버리네!
Kari Haruka
내 할아버지가 영국 왕실 해병 41코만도의 일원으로서 참전했기때문에 난 한국전에 정말 흥미가 있어. 그는 전쟁에서 무슨일이 있었는지 절대 말해주지 않았고 영국 교육시스템은 한국전을 제대로 다루지않아서 :/
└MyKoreanHusband
호주에서는 한국전을 종종 "잊힌 전쟁"이라고 불러 왜냐면 다른 전쟁들처럼 많은 회자가 안되거든 :(
Kaylie Nguyen
하하하 네 남편이 마지막에 노래하는거 너무 귀엽다!
BrownEyedGirl aka Tina Bo Bina
내 할머니는 영상 썸네일 사진에 있는 서랍장 갖고있어. 이 영상 올려줘서 고마워. 이런 서랍장은 언제나 내 엄마,이모, 할머니를 떠올리게 해. 엄마의 어린시절은 전쟁통이었어. 한국인들이 얼마나 강인하고 자부심있는지 보면 정말 놀랍다니까. 난 내가 한국계 미국인이라는게 정말 자랑스러워. 다시 한번 고맙다는 말을 전할게. 티나가.
Kentucky 1950
나도 저곳에 가보고싶네
Tahlula Park
약간의 한국문화의 역사가 담겨있어 좋네. 이런 역사영상을 좀더 보고싶어. 그리고 얼마나 한국이 서양화된지 궁금해. 난 지금 한국에있는 서양음식들은 많이 알지만 30~40년전에는 없던 다른 서양문화가 뭐가있을까?
└MyKoreanHusband
내생각엔 대부분의 쇼핑과 라이프스타일이 굉장히 서양적이라고 봐. 카페라든가, 쇼핑센터들, 대중교통 기타등등. 한국은 굉장히 많은 영어 차용 단어들이 있고(이게 왜 탈북자들이 한국와서 소통하기 힘들어하는 이유야, 굉장히 많은 영어단어들이 한국에서 쓰이거든) 말야. 하지만 서양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서양과는 다른 독특함이 있고 서구 사회와는 여전히 달라.
andreamoboe
난 오래된 다이얼 전화기들과 수동 tv들이 생각나. 내가 어릴적이 기억나네. 흥미로운 박물관 기행이었어. 고마워
TexasPinklady
놀라운 영상이야 - 올려줘서 고마워!
Amina .k
정말 정말 정말 멋진 영상이야 난 이걸보고 한국이 더 좋아졌어.
Calida
이걸 보면서, 난 뭔가 미묘한 어릴적의 추억이 느껴졌어
Club Soda
훌륭한 영상이야. 난 어릴적 한국에 가본게 기억나. 근데 그때는 버거 하나 먹어보기 힘들었어. 지금은 완전 쉽지만..
Larry Bothe
멋진 기행기야! 난 78~79년때 서울에서 영어회화를 가르쳤었어. 이런곳을 방문하길 좋아했어. 난 남학생들이 군대스타일 훈련을 위해 군복을 입은걸 기억해. 실제로 난 몇몇 장교,사병, 학생들을 가르쳤어. 그리고 공문서에 굉장히 많은 한자들이 쓰여졌던것도 기억나. 이상하게도 난 약간의 한국어를 지하철 표시판의 한글과 로마자를 보고 배웠었어! 난 91년도와 96년도에 다시 한국을 방문했었지. 갈때마다 많은 변화를 느꼈어. 내가 다시한번 가볼 수 있을진 모르지만, 그래서 그런지 너의 영상을 보는게 정말 고마워.
└MyKoreanHusband
우리가 우리의 블로그에서 한국의 모습과 변화를 보여줄 수 있어서 좋네. 내가 산 몇년동안에도 매우 많은 변화가 있어.
└musicalquotes
난 한국의 90년대 후반에 태어났는데, 박물관의 전시물을 보니 내 부모님 세대가 어떻게 살았는지 변화가 얼마나 많았는지 정말 놀라워. 한국은 90년대이래로도 많이 변화가 있었지! 나중에 시간이 지나면 다시 한번 가봐 ! :)
La jenkins
와우, 난 한국도 한자를 썼었는지 몰랐어! 멋진 영상이야!
└MyKoreanHusband
맞아 많은곳에 한자를 쓰는게 과거에 일반적이 었다는게 꽤나 흥미로워. 그리고 내 남편의 아버지는 한자 대부분 읽을 수 있어 왜냐면 그는 학교에서 배웠거든. 하지만 내 남편이 학교에 다닐땐 안타깝게도 교육과정에서 빠졌어. 특히 애국심이 강조될 시기였었지. 한국신문들을 보면 흥미로워 왜냐면 지금과는 다르게 한자로 가득차있거든.
└La jenkins
와우! 답변까지 해주다니 고마워 니콜라! 난 한국어 배우는중인데, 어렵지만 즐거운 도전이라고 생각해. 혹시 배우는 팁있니?
└MyKoreanHusband
하하 내가 줄 팁은 없어.. 난 한국어 진짜 느리게 배우는중이거든..
Amy Hart
지하철타고 갈 수 있는거니 여기는?
└MyKoreanHusband
버스가 나을거야 곧장 가거든. 하지만 지하철로는 안가봐서 모르겠어.
Bren Jones
좋은 영상이야. 여기 간 영상 두개다 봤는데, 정말 매력적이었어. 아마 내가 10월에 한국갈것같은데 이 박물관은 꼭 가봐야겠네. 근데 서울에서 저기 어떻게 가니? 파주 가는 열차있니? 찾으려고했는데 못찾겠어서..
└MyKoreanHusband
합정에서 2200버스를 잡아서 파주에 있는 이곳으로 갔어. 열차로도 갈 수 있을거야. 하지만 버스가 더 빠를수도있어... 최소한 서울쪽에서 오는거면 말야. 복잡하니까 관광객 센터가서 책자집어서 어떻게 갈지 알아보는걸 추천할게
Solomon Boukai
굉장히 매력적이면서도 날 슬프게 하는데 왜그런지 모르겠어.
└MyKoreanHusband
삶의 조건 변화, 의료제도, 더 길어진 수명, 더나은 식량사정, 더나은 구직기회.. 이 모든게 더 나은삶을 위한 변화야. 한국전 이후로 수많은 고아들이 쓰레기 더미에서 지냈었어. 한편 지금은 자살률이 발전된 "1세계 국가들" 의 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지. 한국도 자살률에선 정말 안타까워, 하지만 극도로 굶주려 죽던 것과 비교하면 난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예전의 전쟁에 따른 굶주림에 시달리는것보단 오늘날의 한국을 좋아할거라 생각해. 이게 왜 나이든 세대가 오늘날의 한국이 있도록 열심히 일한 이유일거야. 한국은 많은 전통들을 보존했고 그들의 문화를 자랑스러워해. 한복도 특정한날이 되면 입고말야. 여전히 전통은 많이 남아있고 예전과같은 방식으로 살진않지만 많은곳에서 전통적인 것을 볼 수있어. 사실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전통적인 방식으로 사는 마을도 있고.
└Lorien
맞아! 급속한 변화와 더불어 전통문화의 실종이 날 안타깝게 해.. 그리고 한국의 변화는 더 나은것을 향한 변화처럼 보이지 않아, 최소한 정신나간 자살률로는 설명이안돼. :/
번역기자:지니유양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사회.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한의원에서 얼굴에 침 100방 맞은 영국 신부님! (0) | 2016.08.27 |
---|---|
해외 네티즌이 말하는 한국에 오고 싶은 이유 1부 (0) | 2016.08.27 |
한국의 매운닭발 먹고 입원한 영국 신부님 (0) | 2016.08.27 |
해외네티즌 "한국의 전통과자 한과" 해외반응 (0) | 2016.08.27 |
대만女 "한국의 고층 사다리차 이사" 대만반응 (0) | 2016.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