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 해당되는 글 건

반응형
해외 포스팅 내용:

오버워치와 롤이 한국에서 격돌하다

오버워치와 리그오브레전드(이하 롤;주)가 한국 PC방 가장 많이 플레이된 게임 랭킹에서 엎치락 뒷치락하며 자리다툼을 하고있다.

지난주, 오버워치는 롤을 누르며 PC방 게임의 왕좌에 올랐다. 제보자인 상씨가 오버워치는 롤을 지난 주 0.19퍼센트의 근소한 차이로 앞섰다고 게임메트릭스 사이트의 결과를 바탕으로 알려왔다.

하지만 오늘의 게임매트릭스를 살펴보면, 롤이 29.08퍼센트로 다시 1위로 올라와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버워치는 28.36퍼센트로 2위로 내려앉았다. 이 비율이 한국 PC방에서 얼마나 큰 비율인지 알 수 있도록 비교를 좀 해보면, 3위인 서든어택은 8.89퍼센트, 4위인 피파 온라인3은 5.49퍼센트, 그리고 5위인 리니지는 2.99퍼센트에 불과하다(걱정 마시라, 스타크래프트가 아직 6위이고 디아블로 3는 9위에 랭크되어 있으니).

라이벌 트랙킹 사이트인 멀티클릭의 오늘 자료를 찾아보면, 오버워치가 30.84퍼센트로 1위이며 롤은 29.74퍼센트로 2위이다. 이것은 정말 근소한 차이로 오버워치가 이번 주의 왕좌를 차지할 수 있을지 없을지 판가름하기 힘들다.

게임매트릭스에 따르면 롤은 아직 주간 탑 랭킹에서 내려앉지는 않을 것 같다 이 게임은 204주 연속 한국 PC방에서 가장 많이 플레이된 게임이다. 하지만 확실한건, 이 기록을 능가할 게임이 있다면 그것은 오버워치 일 것이라는 점이다.








댓글:



Jabrak
나는 오버워치가 출시된 이후로 롤을 플레이 한 적이 없어. 그리고 곧 돌아갈 것 같지도 않아.


ㄴ Nepu
맞아, 롤의 가장 힘든점은 너무 긴 플레이 시간인 것 같아


ㄴ TopinambourSansSel
HotS를 처음 플레이 하게 된 것도 같은 문제때문이었어:( 나는 롤을 2년 넘게 했는데도 롤을 다시 할 생각은 없어


ㄴ Davy M Jones
나도 역시 같은 이유로 HotS가 매력적이었지. 그리고 그 이유로 그 때부터 계속 그걸 플레이하고있어.


ㄴ Leech2999
나는 정 반대야. 오버워치 해보려고 했는데 너무 구려서 바로 롤로 돌아와버렸어.


ㄴ Koda Kazar
맞아, 평균 롤은 한판당 30분을 넘어가버리고 이런 생각이 들지, “이 시간이면 오버워치 3판을 할 수 있는데...” 그러다 오버워치만 하게되는거야.


ㄴ Invertex
나는 그런 관점이 이해가 안가는 게.. 너희가 몇 판을 하던 어쨌든 같은 시간 동안 게임을 하는거잖아. 단지 짧은 게임은 승리/패배 화면을 조금 더 자주 볼 뿐이고, 게임을 플레이 하는 게 재미있는거지 단순히 많은 승리가 재미있는 건 아니지.

ㄴ Razorboy
나도 그래. 새로운 챔피언이나 최근 변경된 패치내용을 확인하려고 시도 하는 건 사실 내 시간을 더 투자하게 만들지는 않아. 단지 롤은 내 시간을 써야 할 만큼의 가치가 없을 뿐이고 실제 게임 플레이의 대부분의 시간은 지루함뿐이지. 오버워치는 엄청 심오한 게임은 아니지만, 최소한 시시각각 최고의 즐거움을 안겨주지.


ㄴ Koda Kazar
나는 승리에 대한 얘기를 한 적이 없어.
그냥 10분이하의 게임을 3번 플레이하는게 한 게임에 30분 이상 걸리는 것 보다 재미있을 뿐이야. 전자가 더 좋은 게임 페이스를 가지고 있는거지.


ㄴ An Awful Shade of Puce
10분짜리 게임을 하는게 반시간짜리 게임을 하는 것에 비해서 자리를 뜨기 훨씬 편하지. 나한테는 30~60분동안 자리에 붙어있어야 하는 시간을 만들기가 정말로 어려운 편이야. 만약 내가 게임을 하려고 계획을 짜 놓지 않는 한 말이지. 아마 나 뿐만이 아닐꺼야.


ㄴ Antholology
“오버워치 해보려고 했는데 너무 쩔어서 바로 롤을 접어버렸어”
널 위해 수정해줬어(ftfy; fixed that for you; 누군가 오타나 잘못된 문장이 있을 때 사용하는 단축어입니다 – 위에 오버워치가 재미없다는 말을 오타라고 생각하고 수정해준 것 – 주)


ㄴ Jilkon
맞아, 네가 반시간짜리 게임을 한 판 할까말까 한 시간에 3번의 게임을 할 수 있다는 건 진짜 놀라운거야.


ㄴ SryButImNotSry
오버워치는 롤에서 지적되던 부분을 많이 강조했어. 오버워치는 롤보다 나은 로딩시간을 가지고있고, 그 잠깐의 시간에도, 로딩 스크린을 바라보고 있는 것 보다 즐길 수 있는 짧은 격전이 마련되어 있지. 사람들은 더 이상 보니 안에 갖힌 벽돌처럼 기다릴 필요가 없어. 게임 경험은 부드럽고 나쁜 연결 상태로 망쳐버리는 일도 없어. 새로운 사람들이 빠르게 양쪽 편에 충원되고, 게임 채팅 시스템은 키 하나로 채널 간 토글할 수 있고 편리해.

나는 오버워치가 출시된 이후 롤을 딱 한번 접속해봤어. 어땠을 것 같아? 쿼리는 취소되고 방해되고 해서 네번이나 실패했고, 나는 그냥 게임을 끄고 다시는 켜지 않았어.


ㄴ BAMFtastic
난 롤 도전해봤는데 완전 쓰레기였어


ㄴ Apollo
맞아. 오버워치는 내 롤 친구들을 갈라놔버렸어. 엿같지. 나는 정말로 롤이 무너지길 바라지 않아.


ㄴ Wafflecrisp
나같은 사람도 있어. 나는 오버워치에 정말로 어떤 매력을 못느끼겠어. 롤은 더 다채롭고 의미가 있어. 나는 5~10분 사이에 승리나 패배 화면을 봐도 아무것도 느낄 수 없어. 그리고 랭크 시스템이 그런 느낌을 바꿔줄지도 잘 모르겠어.


Akibaboy
한국 롤 플레이어는 한국 서버의 스크립터를 허용하기 위해 다시 라이엇 게임으로 돌아올꺼야. 최근 박빙의 경쟁을 하고있는지는 몰라도, 아마 그건 “신규 출시 게임” 효과일 뿐일수도 있어. 지켜보자구.


ㄴ Leolio x Leolio
사실 히오스는 새로운 게임이 아니야. 출시된지 2년이 됐고 정식출시된지 1년이 지났어. 그건 “새로운”게 아니야.

한국에 롤의 경쟁 게임이 있다는건 멋진거야. 왜냐하면 히오스는 흐름을 잘 못탔거든


ㄴ Necronaut
잠깐, 여기서 히오스 얘기가 왜 나오는거야?


ㄴ TopinambourSansSel
지금 오버워치 얘기중이었어, 히오스가 아니야 :D


ㄴ Leolio x Leolio
난 히오스가 잘되길 바래서 잘못 읽어버렸어 :D


ㄴ TopinambourSansSel
다른 관점에서 얘기해보자면, 거기에는 다른 영향이 있을 수 있어: 롤은 거의 6년이 다되가는 게임이고,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은 짧은 라이프타임을 가지고있어. 2년정도 말이지. 어떤 게임은 좀 특이하게 10년 이상 플레이되기도 하지만, 그런 경우 대부분 지역적인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기 마련이지(한국에서 리니지나 디아블로2, 워3가 계속 플레이 되는 것 처럼 말이야). 그러니까 롤이 “새로운 자”가 등장하면서 하락세를 보이는건 당연한거야. 그 새로운 게임은 꼭 같은 장르일 필요는 없어.


the most annoying potato
한개는 무료 게임이고 한개는 유료 게임인데 그 사실을 넘어서 어떤 점이 더 주목하게끔 만드는거지?


ㄴ Romen
사실 그건 별로 중요한 문제가 아니야. 이 포스트는 PC방 게임 순위에 관련된거거든.
나는 오버워치가 앞으로 몇 년동안 이 인기를 유지할 수는 없을 거라고 확신해. 그 게임은 재플레이률이 상당히 높긴 하지만 게임 모드는 PC게임처럼 낡은 수준이고 블리자드는 이미 더이상의 챔피언 추가는 없을 거라고 말했거든.
당연히, 다이나믹한 게임 플레이는 멋지고 나도 좋아하지만, 단순히 그것만으로 플레이어 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아.


ㄴ the most annoying potato
나는 한국 PC방에서 그 게임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지 몰랐어.
네가 말한걸 살펴보면... 내가 전적으로 반대하는 건 아니지만, 카운터스트라이크도 2000년도부터 비슷한 상황이지만 그건 여전히 건재해. 와우도 마찬가지야.

그리고 블리자드가 말한것도 내가알기론 여러 히어로들이 만들어질거라고 한걸로 아는데, 더이상의 히어로 추가가 없다는 말을 잘 모르겠어.


xtord
나는 오버워치나 롤을 플레이해보진 않았어. 하지만 누가 저 포스트에 나온 여자 캐릭터들의 이름을 알려줄 수 있을까? 고마워!


ㄴ Koda Kazar
블루 점프수트 입은 여자는 오버워치의 D.Va야. 그는 한국의 프로게이머이고, 메카닉 파일럿이야.

여우여자는 아리라고 해. 음, 맞아, 섹시한 여우여자지. 더이상의 설명은 필요 없을꺼야. :P


ㄴ FlashNeko
코다가 말한걸 추가해보면: 아리는 라이엇에서 한국 서버를 유지시킨 것을 기념하기 위해 추가되었으며 그녀는 한국 버전의 Kitsune, 구미호를 베이스로 하여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니까, 맞아. 저 두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OP 코리안 오버로드 캐릭터를 내세운거야.


ㄴ xtord
정말 많이 도움됐어. 알려줘서 고마워.


Xeemaru
저 웹사이트 방금 보고왔는데, 내 생각엔 다시 오버워치가 1등으로 업데이트 된 것 같아. 이런...ㅋㅋ 신경쓰지마... 포스팅의 마지막 부분을 못봤었네! 미안!


blackbass
난 최근에 도타보다 오버워치를 더 많이 플레이 했던 것 같아.


Fuelpowered
도타랑 히오스는 어디있는거야?



번역기자:제하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