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응형

''에 해당되는 글 건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반응형
레딧 유럽 게시판에 각국의 평균적인 영화 티켓 값을 묻는 글이 올라오며 유럽 여러나라의 댓글반응이 올라오고 있었습니다.
 
<본문내용>
너희 나라는 영화 티켓 가격이(평균적으로) 얼마야?
 
난 한국에 살고 있는데 극장에서 영화보는걸 정말 좋아해
여기선 11달러정도인데, 너희 나라는 어때?
 
 
 
 
 
 
 
<댓글반응>
 
 
 
lucapal1
난 이탈리아에 살고 있는데 
내가 사는 도시에서 가장 가까운 영화관 티켓은 7유로야.
규모가 제일 큰 멀티플렉스는 8유로가 표준가격이구.
관람객, 영화 종류에 따라 할인도 제공하고 있어!
예를들면~ 옛날 영화들은 6유로면 볼 수 있지
 
 
-LyannaTarg
여기 밀라노 근처에 돌비나 다른 첨단 기술들이 적용된 
극장은 10~12유로까지 가격이 올라가...
그리고 그런 영화관은 좌석이 크고 공간이 아주 넓지.
다른 멀티플렉스만큼 광고도 많이 내보내고 30분 이상 광고를 틀어주는 극장도 있어
 
 
-sololander
지금 아사고 UCI는 17유로야..ㅠㅠ
 
 
-LyannaTarg
UCI는 광고시간만 최소 30분은 될거야
 
 
-Liscetta
마지막으로 영화보러 갔던게 팬데믹 이전이라
요즘 가격은 어떤지 몰랐는데 정말 미쳤네!!
 
 
-FedericoRO
영국에서 영화보러 간 적이 있는데 
광고때문에 영화가 30분이나 지나서 시작하더라
거기선 그게 평균적인건가?
 
 
Ennas_
우리 지역은 표준 티켓값이 12.50유로야.
3D나 러닝타임이 긴 영화는 더 비싸고
어린이, 10대, 학생, 연금수급자들을 위한 할인제도가 있어.
 
 
-me_colin
수급자를 수감자라고 읽고 깜짝 놀랐네 ㅋㅋㅋ
 
 
-qwerty-1999
나도 ㅋㅋㅋㅋ 
"수감자들도 극장에 데려가는구나. 엄청 나이스하네" 하고 생각함 
 
 
BiggusCinnamusRollus
극장, 시간, 날짜, 최신작이 뭔지에 따라 달라져
헬싱키에서는 보통 6-12유로정도인데 핀키노같은 대형 극장에서는 10~20유로까지 올라가.
참고로 12유로정도면 점심 외식값인데 20이상이면 근사한 점심식사보다 더 비싼 가격이야.
 
 
Bacalaocore
스웨덴에서는 14~15.4유로 사이야
IMAX는 25유로
 
 
-acke
정말 비싸네
 
 
-LeberechtReinhold
근데 솔직히 IMAX는 3D랑은 차원이 달라.
정말 아름다운 경험임
 
 
-Bacalaocore
맞아. 
방금 스파이더맨 티켓 얼만지 확인했는데 동네에 따라 다른것 같아
 
 
-me_colin
스웨덴은 영화 티켓값이 비쌀 줄 알았는데..
왜냐면 북유럽은 모든게 다 비싸다고 들었거든
의외로 괜찮은 가격이네!
 
 
-LtWorf_
아니야 너무 비싼거야.
이탈리아는 4유로면 큰 도시는 아니어도
작은 동네에서 훨씬 좋은 극장에 갈 수 있어.
나라면 스웨덴에선 진짜 명작 아니면 영화를 보러가지 않을것 같아.
 
 
-Lore_of_metal
하지만 스웨덴은 임금도 더 비싸기때문에 물가도 더 높은 경향이 있어
 
 
Yami_no_Chikara
브라티슬라바에서는 성인은 9유로, 다른 도시는 8유로야
내가 마지막으로 영화관 갔을 때가 2019년 스타워즈보러 갔을때인데
그때 성인2명 2D로 13.50유로를 지불했었어.
 
 
-TwiceHill
그런 극장은 큰 체인이고 좀 작은 시네마는 3-5유로면 볼 수 있어.
그리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영화나 수상 이력이 있는 유럽 영화들은 티켓값이 1유로까지 내려갈때도 있지.
하지만 그런 영화관은 마블이나 제임스본드같은 영화는 상영하지 않아.
 
 
-black3rr
심지어 브라티슬라바에도 작은 극장들은 2D티켓 5유로면 살 수 있어
 
 
Inccubus99
리투아니아는 7-9유로.
프리미엄은 11-13유로인데 리클라이너 좌석에, 훨씬 넓고, 스낵을 먹는 테이블도 있어. 
 
 
-me_colin
나라면 가격이 조금 더 나가도 프리미엄 티켓을 살 것 같아.
 
 
PricelessPlanet
스페인은 첫째 주 주말에 가면 9-11유로야
근데 난 보통 주중에 가서 4-6유로를 내고 관람해.
그리고 20유로짜리 본드카드를 하나 사면 티켓 5장을 받을 수 있는데 
이걸 다 쓰지 않더라도 갈때마다 한장씩 사는 것 보다는 저렴해
 
 
-me_colin
그 본드카드라는게 스페인에서 흔한 시스템이야?
안쓰는 사람이 바보같은데~
너 덕분에 스페인에 대해 새로운걸 알게됐어~!
 
 
-Apple_The_Chicken
아 난 스페인에서 영화못보겠더라
대체 왜 자막을 안쓰는거야??
 
 
-qwerty-1999
사실 그거 정말 뜨거운 토론주제야.
하지만 실제로 많은 영화관(특히 규모가 큰 곳)들이 더빙판 말고 그냥 자막버전도 있긴있어.
난 개인적으로 더빙버전을 더 좋아하는 편이야.. 자막 읽느라 몰입에 방해받고 싶지 않거든.
하지만 반대하는 사람들도 이해해ㅋㅋㅋ
더빙/자막 둘 다 제공하면 아무 문제 없을듯~!
 
 
-djac_reddit
'몰입'이라는건 진짜 배우들의 목소리, 배우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을 직접 듣는거야
더빙을 듣는게 아니라..
 
 
-PricelessPlanet
글쎄 난 어떤 버전이든 별로 신경 안쓰여.
스페인 성우들은 똑같은 배우 목소리를 계속 연기하거든.
무슨 뜻이냐면, 우리는 케이트 블란쳇 성우 목소리가 너무 익숙해져서 
진짜 목소리를 들으면 영화를 망쳐버릴수 있다는거야
그리고 성우들도 감정전달을 아주 잘해. 
애니메이션 영화들도 인기 많잖아
 
 
-qwerty-1999
그건 네 생각이지..
 
 
Redrunner4000
아일랜드는 더블린은 잘 모르겠고 
인구가 2만~2만3천 명 정도 되는 곳은 7-10유로 정도해
 
 
-makeitmorenordicnoir
그건 진짜 작은 동네 티켓 값이고 더블린은 극장에 따라 12-20유로야...
더블린은 진짜 다른 도시랑 비교하면 너무 비싼것같아
 
 
-Redrunner4000
작은 동네라 그런게 아니라 더블린만 아니면 다 비슷함
 
 
-CrypticSniper
더블린 시네월드는 티켓 값이 20유로까지 올라가..
개인적으로 미쳤다고 생각함
 
 
SaraHHHBK
스페인은 도시에 따라 가격이 달라져
우리 동네에서는 7.50유로 내고 영화봤는데
마드리드에 갔을 땐 9.50유로를 냈어
 
 
SkyWalkerSrb
세르비아는 일반 영화는 2-3유로, 3D영화는 4유로까지 올라감.
 
 
LionLucy
영국은 극장에 따라, 주말이냐 주중이냐에 따라 5파운드에서 8-10파운드까지 달라져.
 
 
moenchii
독일 지방의 영화관은
좌석이 어디냐에 따라 8유로에서 9.5유로 사이야
 
 
-me_colin
그럼 좋은 좌석에 앉아서 보는 사람들은 더 내야된다는거야?
 
 
-moenchii
좌석 앞쪽 절반은 8.5유로, 뒷쪽은 9.5
 
 
Midgardsormur
아이슬란드는 영화티켓 하나에 12.5유로정도해
화요일은 티켓이 반값이라 화요일에 영화보러가는거 좋아함
 
 
-me_colin
오! 반값 화요일이구나!!
 
 
Ishana92
크로아티아는 작년에 영화 티켓값을 올려서 지금은 6-7유로인데
상영시간, 러닝타임, 포맷에 따라 가격이 추가돼
 
 
-me_colin
영화 러닝타임이 티켓 값에 영향을 준다고? 정말 흥미롭네
 
 
severnoesiyaniye
러시아에서는 티켓값이 4-5유로인데 난 꽤 비싸다고 생각해.
맥주도 비싸. 팝콘은 티켓값의 절반정도 될걸, 그보다 살짝 더 싸거나.
 
 
Micek_52
슬로베니아는 150분 안쪽의 2D영화 한 편에 6.8유로야
 
 
ItsJustGizmo
내가 사는 곳 근처에 오데온이 있는데 아마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비싸기로 악명높은 곳일거야.
오늘 스파이더맨 보려고 티켓 값 확인해보니 성인 한명에 8파운드네.
이 전에는 한 두배정도 지불했었는데 ㅋㅋㅋ
 
 
Raphelm
프랑스는 작은 동네에 있는 영화관은 8유로, 큰 곳은 평균적으로 12유로정도 될거야
 
 
-Half-Light
나도 프랑스인인데 어디서 이렇게 싼 티켓을 구하는거야?
내가 사는 동네는 항상 20유로정도인데
 
 
Silkehop
덴마크는 13.5유로야
여긴 영화관 전체적으로 티켓값이 비싼 편인 것 같아
 
 
the_End_Of_Night
여긴 독일인데 11월달에 영화보러갔을때 11유로 냈어.
락다운 기간동안 내부공사 다 하고, 좌석에 발 뻗을 수 있는 테이블도 놓고 넓어졌길래 깜짝 놀랐어
그정도면 15-16유로는 될 것 같았거든
 
 
DomOfMemes
리투아니아는 방금 확인해보니 스파이더맨이 7유로네.
프리미엄 좌석은 8~9유로야
 



번역기자:위갓알리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팁 5천원을 요구한 음식점에 대한 해외네티즌 반응입니다.
 
<주제글>
'한국에서 서양의 팁문화를 강요하지 말라'
서빙직원들에게 오천원의 팁을 요구한 음식점이 비판을 받고 있다.
 
 
 
 
 
<댓글>
 
betapen
안돼, 난 팁문화가 싫어.
직원들에게 적절한 임금을 주라고.
 
 
ㄴCurseYourSudden
맞아. 팁은 단지 착취의 수단으로 계속 존재해온거야.
최저임금이 생기기전에 만들어진것이고, 그당시 대부분의 직원들도 고용주의 가족들이었어.
 
 
ㄴaireads
팁문화는 붐비는 식당에서 더 좋은 서비스를 원하는 부자들이 팁을 주면서 생긴거야.
팁(TIPS)은 'To Insure Prompt Service'(신속한 서비스를 보장)의 약자야.
기본적으로 뇌물이지.
 
 
ㄴCurseYourSudden
aireads/그건 잘못된거야.
그 약자는 1909년 이후에나 나온 말이잖아.
'감사'의 수단으로 쓰인 '팁'은 1706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PeperroniPepe
미국의 팁은 내가 살고 있는 독일과 너무 달라.
다른 서양 국가들도 마찬가지일거라고 생각해.
서양에는 획일적인 팁문화는 없어.
서비스가 좋았으면 그들이 받을만하니까 팁을 조금 주는거지.
그렇지만 안줘도 상관없어.
미국처럼 숨겨진 비용이 아니라는거야.
 
 
ㄴbinhpac
혐오스러운 점은 계산서에 자동적으로 팁이 첨부되어서 세금처럼 지불해야한다는거지.
미국은 자발적인 금액도 아니야.
 
 
ujimilkcha
유럽의 많은 나라들은 미국과 달리 종업원들에게 적절한 임금을 주고 있지만 팁문화는 아직 인정받고 있어.
적절한 임금을 받고 있으니까 팁이 필요없다는 이야기는 어디에도 없어.
팁의 원래 목적은 서비스를 잘해서 종업원에게 고맙다는 의미야.
유럽에서는 이렇게 하고 있어.
 
 
ㄴKimchiMaker
유럽에서는 거스름돈이나 동전 같은 소액을 받지 않고 나와도 괜찮아.
선택사항인거지.
근데 미국은 아니야.
 
 
ㄴrvd98072
KimchiMaker/나도 그런지 알았어.
근데 내가 몇년전에 직장동료들과 독일에 있었을때 슈튜드가르트의 이탈리아 식당에 간적이 있어.
다 먹고 10유로정도를 계산했는데, 웨이터가 따라와서는 우리보고 왜 적당한 팁을 안주냐며 미국 스타일의 팁을 요구하더라고.
그래서 식당으로 돌아가서 15%정도의 기본적인 팁을 줬어.
(미국에서는 보통 25%정도 주거든)
우리가 미국인이라는 걸 안 부도덕한 웨이터일수도 있고.
 
 
ㄴdoesnotlikecricket
rvd98072/부도덕한게 아니라 그 식당의 관례일 수도 있지.
영국에서도 팁문화는 그렇게 중요한 건 아니야.
난 고급 식당에서 일한적이 있는데 그때는 정말 괜찮은 팁을 받았어.
아마 고급식당이라서 그랬나봐.
근데 적절한 임금을 받고 있기때문에 팁은 그냥 주면 좋은 보너스야.
 
 
ㄴSennksa
나라마다 그리고 뭘 먹느냐에 따라 다른 것 같아.
영국은 서비스가 좋아서 주고 싶다면 기본적으로 12.5%정도의 팁을 남겨.
하지만 미국처럼 의무적인 것은 아니야.
또 팁 못 받았다고 누구도 짜증내고 그러지 않아.
 
 
lotso-bear
고용주들이 직원에게 공정한 임금을 준다고 하면, 뭐가 '공정한' 기준이야?
미국에서 월급보다 팁으로 더 많이 버는 웨이터들이 많아.
그래서 고용주들이 먹고 살 수 있는 임금을 주더라도 팁문화는 사라지지 않을거야.
 
 
ㄴitsgms
내 생각에 생존하기 위해서 노동자들에게 생활 불가능한 임금을 주는 곳은 이 나라에서 사라져야 해.
어떤 업종이든지 다 포함이야.
그리고 생활 가능한 임금이라는건 최저 생활 이상, 괜찮은 삶을 살만한 임금을 줘야한다는거야.
 
 
ㄴSoyul
팁을 선호하지 않는 웨이터들도 있어.
월급보다 팁을 더 받는 것을 생각하기 전에 먼저 월급을 적정수준으로 높여야지.
 
 
puffbroccoli
팁문화는 쓰레기야.
제발 한국은 그러지 말기를...
 
 
ㄴTrollingKevi
한국에서 팁을 받는다는 것이 비판받고 있다는 내용을 보니 이렇게 마음이 편할 수가 없어.
한국에서는 제발 팁문화가 생기지 았았으면 좋겠어.
팁문화는 좀 말도 안되는거야.
 
 
optimumloqui2
제발 한국에서는 저런 터무니 없는 것을 시작하지 말길.
캐나다에서도 팁문화 폐지가 심각화게 논의되고 있어.
왜냐하면 팁문화가 오히려 서비스 질을 악화시키고 통제가 안되기 때문이야.
직원들에게 적당한 임금을 지불하고 자신의 무능한 운영 능력을 고객에게 떠넘기지 않았으면 좋겠어.
 
 
ㄴanal_coomer
'치즈케잌 펙토리'도 8인이상 손님들은 의무적으로 팁을 줘야하더라.
차라리 맥도날드가 서비스가 더 좋더라고.ㅋㅋㅋ
 
 
ㄴaireads
anal_coomer/근데 그건 일리가 있는데.
거기서 파티를 하면 더 많은 일거리와 준비가 필요하잖아.
물론 서비스가 형편없다면 팁 줄 가치도 없는거겠지만.
 
 
ㄴxninah
optimumloqui2/팁문화가 오히려 서비스 질을 악화시킨다고?
왜 그런건데?
나도 얼마전까지 웨이트리스를 했는데 뭔가 서비스가 잘못 되지 않을까 걱정을 많이 했어.
왜냐하면 서비스가 잘못되면 내 수입에 당장 지장이 있으니까.
우리 식당 서비스는 좋았는데 항상 뭔가 부족하지 않을까 하고 스트레스가 심했거든.
내 생각에 팁에 의존하는 직업은 고객들에게 더 많은 권력을 주고 웨이터들에게는 학대의 경계선이 있는 것 같아.
 
 
ㄴmelonowl
xninah/내가 듣기로 미국 고객들은 종종 외모에 따라서 팁을 얼마나 줄지 고정관념이 있어서 서비스도 그런것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던데.
그래서 팁을 적게 줄 것 같은 사람이면 낮은 서비스가 보장되는거지.
 
 
ㄴxninah
melonowl/재미있는 이야기네.
나는 그런 경험은 없지만 그런일이 있을 것 같기도 해.
호텔 레스토랑에서 일했던 친구가 호텔에 머무르고 있는 외국인들은 팁이 후하지 않다고 불평했던 적이 있어.
아마 외국인들은 미국 팁문화가 익숙하지 않아서 그럴거야.
 
 
ㄴumpostm
xninah/미국이 아니라 캐나다에서는 종업원들은 적어도 최저임금을 받아.
그리고 팁은 일종의 보너스야.
근데 서비스 질이 더 악화된다는 건 무슨 의미인지는 나도 모르겠어.
 
 
WanderlustFella
난 보통 한국에 오면 팁을 주는데.
근데 길거리 음식을 파시는 할머니들에게만 드려.
 
 
ㄴDopeAsDaPope
한국에서는 팁을 주면 화를 내거나 거절하는거 아니야?
스코틀랜드에 갔을때도 같은 경험을 했는데.ㅋㅋㅋ
 
 
Nurigaram
난 한국인인데 말문이 막혀.
북미나 유럽의 팁문화는 알겠는데 한국의 팁문화는 이해도 안되고 받아들일 수도 없어.
 
 
ㄴmistrpopo
팁문화는 북미만 해당하지.
영국에서 관광객들이 팁을 주는 것을 봤어.
유럽에서는 팁을 안줘도 상관없어.
 
 
ㄴTL_DRespect
mistrpopo/영국에서는 음식이 맛없을지 알았는데 생각보다 맛있다는 감사의 표시지.
팁을 안줘도 되지만 감사의 표시로 줘도 괜찮아.
근데 난 한국의 시스템이 더 좋아.
그냥 음식 가격만 계산하는게 편하지.
 
 
ㄴZyhmet
mistrpopo/오스트리아에서는 팁이 흔해.
내 생각에 독일도 그렇고.
모든 유럽이 다 같지는 않아.
 
 
ㄴProfessionalGarden30
Zyhmet/맞아 네덜란드에서도 드문 건 아니야.
특히 배달의 경우에는 말이야.
 
 
ㄴAppropriate-Emu-3827
ProfessionalGarden30/하지만 미국처럼 의무적인 것은 아니잖아.
그리고 내 경험에는 유럽에서는 팁을 요구하지 않았어.
 
 
ㄴNurigaram
mistrpopo/2시간전에 2019~2020 코비드 전에 유럽 여행을 다녀 온 친구에게 물어봤는데, 영국에서는 팁보다 테이블 세팅하는데 돈을 더 냈다고 하던데 정말이야?
 
 
ㄴmistrpopo
Nurigaram/솔직히 말해서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인데.
 
 
ㄴYongPope
Nurigaram/유럽의 일부 국가(예를들어 포르투갈)는 테이블 세팅에도 1~3달러 정도 청구해.
그냥 자리에 앉는 것도 요금이 청구되는거야.
메뉴에도 적혀있어.
 
 
ㄴBlackMesaEastt
오직 미국사람들만이 팁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거야.
왜냐하면 식당종업원에게는 최저임금이 다르거든.
미국의 최저임금은 7.65달러(확실하지는 않아)인데 식당 종업원은 2.13달러인가 그래.
캐나다나 영국도 팁을 받겠지만 적어도 그들은 식료품점의 점원들 수준의 임금은 받을거야.
 
 
ㄴbestknightwarrior1
BlackMesaEastt/내가 캐나다 사람인데 토론토에서는 최소 15% 팁은 줘야해.
 
 
ㄴJCongo
bestknightwarrior1/대부분 음식점의 카드리더기는 팁 18%가 기본값이야.
15%만 주면 망신당할거야.
 
 
ㄴbestknightwarrior1
JCongo/내 말은 현금으로는 15%면 된다는거야.
카드 같은 경우는 15%에서 더 올라가겠지.
 
 
ㄴNo_Entrepreneur_8255
bestknightwarrior1/무례할 수 있지만 팁 주는 걸 거절할 권리는 없어?
 
 
ㄴbestknightwarrior1
No_Entrepreneur_8255/그냥 가도 되긴하지.
근데 서비스 요금으로 계산서에 팁을 넣어서 줄거야.
그런 상황에서는 못 빠져나가는거지.
 
 
ㄴHi_Kitsune
근데 미국은 여기서 눈여겨 볼 점이 있어.
팁으로도 최저임금까지 도달 못한다면 고용주가 그 차액을 부담한다는거야.
 
 
ㄴDayreach
Hi_Kitsune/그건 고용주들을 화나게 하겠네.
왜 종업원들이 팁을 못 받는지 생각할 거 아니야.
그냥 고객들이 돈이 없어서 안준다고 생각은 안하고 직원들 탓하겠지.
 
 
ㄴpokedrawer
Dayreach/돈 없는 사람들은 팁을 많이 주지 않아.
그래서 비수기일때는 손님들이 많이 없어서 그런일이 일어나.
 
 
ㄴRickdrizzle
난 팁문화가 멍청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그렇지만 식당 종업원 시급이 2.13달러라는 건 못 믿겠어서 구글 찾아봤는데 사실이야.
이 나라는 도대체 왜 이 모양인거야?
 
 
ㄴparksoeun
Rickdrizzle/팁과 2.13달러의 합이 평균 최저임금에 도달하지 못하면 고용주가 지불해주잖아.
미국의 2%미만만이 연방 최저임금을 받고 있어.
 
 
ㄴxninah
Rickdrizzle/내가 일하고 있었을때는 조금 더 시급이 많았어.
1시간에 3달러.
왜냐하면 일하던 곳이 괜찮은 카페였거든.ㅋㅋㅋ
 
 
ㄴLiloGeorge
미국의 20개 주에서 최저임금은 15달러야.
거기에 15~20%팁인거고.
식당 종업원에게도 팁, 바리스타에게도 팁, 호텔 메이드에게도 팁, 미용사에게도 팁, 배달하는 사람에게도 팁.
좀 인상해준다고 해도 시급 15달러면 미국 한가정 생활에는 빠듯하지.
 
 
ㄴpuffbroccoli
내가 살고 있는 주의 시급은 여전이 7.25달러인데.
10년이 넘었는데도 1센트도 안올랐어.
 
 
ㄴfighton09
puffbroccoli/최저 임금은 그냥 정해진거고.
실제 대부분 사람들은 최저임금보다 더 벌잖아.
 
 
Scusemahfrench
근데 이건 미국 팁 문화지.
원래 서양 문화는 아니야.
 
 
ㄴlestratege
맞아.
원래 팁을 주는건 대부분 서양 문화에서는 관습적인게 아니야.
 
 
ㄴM40A1
한국에서는 백인=서양=미국인이잖아.
 
 
ㄴBuck_Nastyyy
캐나다, 멕시코, 영국, 프랑스 다 팁문화가 있는 나라잖아.
내 생각에 팁이 서양문화 맞는 것 같은데.
 
 
ㄴScusemahfrench
Buck_Nastyyy/프랑스에는 팁문화가 없어.
여기서 팁을 주는건 아주 드문 경우야.
그리고 카드 사용이 더 많아지고 있고.
 
 
ㄴsnack_case
Buck_Nastyyy/영국도 팁문화는 없어.
뭐 팁을 줘도 상관은 없지만 당연히 줘야하는건 아니야.
 
 
ㄴDanTheRadarMan
snack_case/영국에서는 내가 팁을 남겨놓고 나갔는데 식당 종업원들이 거스름돈을 잊어버렸다고 생각했는지 주차장까지 와서 주더라고.
내가 팁이라고 했는데 필요없다고 거절한 경험이 있어.
 
 
ㄴsnack_case
DanTheRadarMan/나도 같은 경험을 한국에서 했어.
습관적으로 팁을 남겼는데 종업원이 쫒아와서 돈을 주더라고.
 
 
Ausea89
팁주는 것 괜찮지.
근데 미국처럼 강압하는 건 정말 싫어.
 
 
Historynerd0921
팁문화를 좋아하든 안하든 5000원이 많다는 것에는 아무도 반대하지 않을거야.
5000원이면 국밥에 캔커피까지 사먹을 수 있는데 말이야.
 
 
ㄴcim83
맞아, 5000원이면 작은 식당에서는 식사가 가능한데.




번역기자:알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지난 2일 korea레딧에 올라온 글과 댓글반응입니다.
 
<본문내용>
미숙한 한국어 때문에 어색했던 경험이 있다면 공유해줘!
 
난 작년에 겪었던 일인데, 서울에서 부산까지 바이크 여행을 하고 있었어.
첫번 째 모텔 카운터에 있던 사람이 아주 친절했었지.
그 사람이 물도 주고, 바이크 옮기는 것도 도와주고 정말 친절했어.
나 같은 손님들이 많았는지 준비도 잘 되어있더라구.
내가 배정받은 방은 2층이었는데, 바이크에 짐이 꽤 많았어(5일짜리 여행이었거든)
그래서 그 사람이 내 바이크를 들고 계단을 한번 올려다보더니 다시 바이크를 쳐다보더라.
아마 무거울 것 같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어. 한 50대쯤 되보였는데 나이가 엄청 많은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완전 젊은 것도 아니잖아.
그래서 내가 스스로 옮기겠다고, 도와줄 필요 없다고 말하고 싶어서 "할 수 있어요!"라고 말했지.
내가 한 말을 들은 것 같았는데, 날 쳐다보지 않고 계속 올라가더라구.
왜냐구? "제가 할 수 있어요!" 아니면 "제가 할게요"라고 말 했어야 하는데 "(당신은)할 수 있어요!"라고 말 했던거야..
방에 들어와서야 깨달았어. 어찌나 민망하던지..
물론 그 다음날에도 계속 친절하게 대해주셨지만..ㅋㅋ
그리고 웃긴건 그 말 하기 전에도 계속 한국어로 대화했기 때문에 
아저씨가 "아 쟤가 왜국인이라 헷갈리나보다"하고 생각하는 그런 상황이 아니었다는거지..
정말 슬퍼..
이런 바보같은 실수를 해도 낙담하지 않는게 중요해~! 
최소한 나처럼 재밌는 썰은 하나 얻을 수 있잖아!
너희도 이런 경험있으면 얘기해줘~! 
 
 
 
 
 
 
 
 
<댓글반응>
 
 
 
youhadmeatanyeong
난 고등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웠어.
연말에 한국어 선생님이 우리를 한식당에 데려가줬는데, 
냅킨이 필요해서 식당 아주머니한테 "휴지 어디에요"라고 말했더니 그 아주머니가
"유진이?" "유진이 한국에 갔어요"라고 대답했어.
난 대체 유진이가 누구지? 하면서 혼란스럽게 앉아있었지 ㅋㅋ
 
 
-dalbit4
아 웃기네 ㅋㅋㅋㅋ
 
 
-chillydownfiregang
재밌는 이야기네! 
근데 한국말고 다른 나라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거지?
수업을 선택할 수 있는거야?
 
 
-youhadmeatanyeong
응. 뉴욕에 있는 학교인데 우리 학교는 6가지 언어수업이 있어.
뉴욕은 워낙 인종이 다양한 곳이잖아.
고등학교때 3년동안 외국어 하나는 배워야 해.
그리고 리젠트라고 불리는 3시간 짜리 언어 테스트를 봐야 하지.
듣기, 읽기, 말하기, 에세이.
 
 
-chillydownfiregang
오 그건 몰랐네! 멋진 시스템이다!
영국도 언어 교육을 그렇게 했으면 좋겠어.
우리 고등학교는 선택에 프랑스어밖에 없었거든.
단 한번도 좋아한적이 없어...ㅋㅋ
 
 
-kimbap_cheonguk
90년대 후반/2000년대에는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수업이 있었어.
요즘엔 만다린어 수업도 꽤 많이 하는 듯
 
 
ErwinFurwinPurrwin
몇 년 전에 구글맵이나 gps네비게이션이 나오기 전에
세미나때문에 충주로 운전해서 간 적이 있는데, 그쪽 동네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어.
그래서 그냥 쉬운 랜드마크에 주차하고 세미나 장소까지 택시를 타고 가야겠다고 생각했지.
차를 몰고 가다가 공공건물 같은걸 발견하고 거기에 주차를 했어.
모든게 다 한문으로 써있어서 꽤 알아보기 쉬울 것 같더라구.
거기서 주차하고나서 사진도 좀 찍고 택시를 잡았어.
택시기사한테 세미나가 열리는 장소인 '충주문화원'이라고 적힌 노트를 건넸는데 택시기사가 갑자기 멈칫하더라고.
말 한마디 없이 무표정한 얼굴로 나를 쳐다보더니 아까 그 건물(한문으로 써있는)을 가리키더라..
죄송해요 아저씨..
 
 
-ohsayaa
일본에서도 똑같은 경험있었어.
택시 타고 문 닫았는데
택시기사가 날 돌아보더니 아무 표정없이 문을 다시 열어주더라고
 
 
cupcakefantasy
난 휴가때 한국에서 써먹으려고 기본적인 것들을 연습해갔어.
서점에서 어떤 사람이랑 부딪혔는데 '죄송합니다'라고 말 하고 싶었지만
다소 공격적으로 '괜찮아요'라고 말해버렸어.
이상하게 쳐다보더라구..
 
 
-iamnotamangosteen
나도 당황해서 한국말 틀리게 한 적 여러번 있어 ㅋㅋ
다행이다 나만 그런게 아니구나.. 
 
 
-Ravenlaw512
나도 '죄송합니다'랑 '괜찮아요'가 헷갈려
왜 그런지 모르겠어 ㅋㅋㅋ 
 
 
xxfblz
아주 오래전에 완전 초보일때 있었던 일이야.
친구A한테 친구B가 못 올거라고 문자를 남겨야 하는 상황이었어.(A,B는 둘 다 한국인)
"그녀는"이라고 보내야 하는데 "그년은"이라고 보내버렸어..
 
 
-Revoltlll
나도 그런 적 있어!
'나는->난', '저는->전' 처럼 '그녀는'도 
'그년'으로 축약 할 수 있는 건 줄 알았거든 
 
 
oliveisacat
내 친구는 점심으로 생선요리가 먹고 싶었는지 "물고기 먹고 싶어요"라고 말했어.
또 다른 친구는 맥도날드에서 감자튀김먹고 점원한테 "감자튀김이 너무 추워요"라고 말 했지.
제일 좋아하는 에피소드는 친구가 설악산 티켓 파는데서 "2인분"이라고 말한거 ㅋㅋ
 
 
-emimagique
'물고기 먹고싶어요'가 왜 잘못된거야?
 
 
-megoyo
먹는 물고기를 말 할때는 생선이라는 단어를 써
 
 
-oliveisacat
물고기는 살아있는 생물을 말할 때 쓰는거고,
생선은 먹는 물고기를 말할 때 쓰는거야.
그래서 너가 만약 물고기를 먹고싶다고 말하면, 금붕어를 먹겠다는것처럼 들리는거지
 
 
-Annoying_chicken_69
'너무 추워요'는 왜 틀린거야??
 
 
-oliveisacat
음식의 온도를 말할때는 사용하지 않는 말이야.
따뜻해야 하는 음식이 차가워졌을때는 '식었다'라고 말해야 해.
감자튀김이 춥다고 말하는건 감자튀김이 살아있는것처럼 느껴지거든
 
 
victoriamaj
택시 기사한테 '직진'해 달라고 말하고 싶었는데 직진대신 '지진'이라고 말했어.
엄청 혼란스러워 하더군..
너무 창피해서 그냥 내려서 100미터 더 걸어갔지
 
 
Heckelopter
이건 말하기 보다는 이해의 문제이긴 하지만.. 암튼
한국에서 처음으로 병원갔을 때, 의사가 "어떻게 오셨어요"라고 물어봐서 "버스로...?"라고 대답했어 
 
 
-Kingkwon83
하하 나돈데
 
 
DasKesebrodt
난 내 여자친구한테 귀엽게 프린세스라고 부르고 싶어서
"우리 공자"라고 불렀더니 몇분동안 웃던데..
 
 
-Rusiano
여기 댓글중에 가장 깜찍한 실수네 ㅋㅋㅋ
 
 
Found_Croatoan
새해 첫날에 장모님한테 카카오톡으로 사진보내면서
"우리가 만든 독국이에요"라고 보냄 
 
 
liumr92
한국에 처음 왔을 때 내 여자친구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여자친구'라고 말 안하고 '야자친구'라고 했어.
한마디로 그녀를 야자나무 친구라고 부른거지.
그때 아무도 지적하는 사람이 없었는데 나중에 여친앞에서 그렇게 불렀다가 
그제서야 실수라는걸 알게되었어.
 
 
CocoaKong
'재수없다'가 '운이 없다', '아쉽다'라는 뜻이라는걸 배웠어
그래서 나이 많은 직장 동료가 운 나쁜일이 생겼다길래 내가 말했지
"재수없어요!"
 
 
Ok_Attorney_5431
한국어 처음 배울때 동사를 잘 몰라도 "해요"를 쓰면 꽤 말이 된다고 배웠어.
예를들면 "사진을 찍어요" 대신 "사진을 해요"라고 말해도 사람들이 대충 뭔말인지 알아들을꺼라고.
그러고 서울에 있는 궁에 가서 한복을 찍고 놀았지. 정말 즐거웠어.
일주일이 지나서 한국 친구랑 같이 만난 나이 많은 여성분과 한국어 연습을 하고 있었는데, 
나한테 지난주에 뭘 했냐고 묻더라구.
그땐 "입다"라는 단어를 몰라서 자신있게 말했지 "할복했어요!"
그때 그 여자분은 심장마비라도 걸린 듯한 표정이었고, 내 친구는 빵 터지더라 ㅋㅋ
발음도 안좋아서 '한복'이라고 제대로 말을 못했던거야..
 
 
stop_drop_roll
난 미국에서 이민자 부모님 밑에서 자라서 한국어가 서툴렀어..
한국 여자랑 결혼했는데 카카오톡으로 대화하는게 읽기/쓰기 같은 기본적인 실력 향상에 도움이 많이 됐지.
어느날 아내 일과 관련해서 한국 교회를 알아보고 있었는데, 그때 사람들이랑 대화할때 말 실수를 했어.
아내에 대해 이것저것 얘기하면서 계속 아내라는 단어대신 '내 남편'이라고 말해버린거야..
그땐 남편이라는 말이 '당신'처럼 성별에 상관없이 쓸 수 있는 단어인 줄 알았어. 왜그렇게 생각했던건지ㅋㅋ
아무도 지적하는 사람이 없었지만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창피해..
 
 
KookyJoe
한국인 장모님께 올해는 뉴욕에 놀러오시라고 말하는데
"이번 해"라고 안하고 "이 년"이라고 말 해버렸어.
하.. 히스테릭하게 웃더니 가족들한테 다 말하시더라구 
 
 
-ExtremeConsequence98
난 한국에서 새해가 밝았을 때 "새 년 왔어요"라고 했어ㅋㅋ
 
 
-proseccogecko
헐..
'이 년'이 '이번 해'가 아니라는걸 이제야 알게됐어....
 
 
billhyun
난 연신내에서 피자 가게를 찾으며 돌아다니다가 근처 약국에 들어가서 물어봤어.
핏-자 음절을 잘 못 알아듣는 것 같더라구.
그래서 한국식으로 피-자 라고 발음했더니 바로 알아듣더라
 
 
WormInWaiting
우리학교에 중국인이 한명 있었는데 
나 스스로 되게 재밌고 재치있다고 생각하면서 그 친구한테 "빨갱이"라고 불렀어..
15년이 지났는데 아직까지도 너무 오글거리고 창피해
 
 
-_b33p_
이해 못하는 친구들을 위해 설명해주자면,
이건 공산주의자에 대한 욕같은거야 
 
 
gwangjuguy
미안한데 너무 웃겨 ㅋㅋㅋㅋ
고마워 친구들
 
 
samtastic2027
난 한국인 친구들한테 캐나다에 사슴 종류가 정말 많다고 얘기하면서
종류도 다양하고, 한국 사슴보다 크다고 말하고 있었는데..
사슴대신 가슴이라고 말해버렸어.
내 친구들은 잠시 망설였지만 동의하며 고개를 끄덕였지.
 
 
Udonov
난 지갑을 잃어버렸는데
그 중요한 순간에 '지갑'이라는 단어랑 '장갑'이라는 단어
이 둘 사이에서 뇌가 멈춰버린거야..
그래서 캠퍼스에 막 돌아다니면서 내 장갑 봤냐고 물어보고 다녔어ㅋㅋ
그때 30도가 넘는 날씨였는데..ㅋㅋㅋ
 
 
-ExtremeConsequence98
오 나도 그 두 단어 맨날 헷갈려
내 생각엔 소리가 어렴풋이 비슷하게 들리는것 같아
다들 비슷한 실수를 하는구나~~
 
 
SigniorGratiano
난 '양말'이랑 '양고기'랑 헷갈려서
직장동료한테 이태원에서 양말먹었다고 했어
 
 
Lokimonoxide
난 추어탕이 냉면의 한 종류인줄 알았는데..
 
 
irn_br_oud
난 어느 주말에 내가 제일 좋아하던 닭갈비집에 다시 방문했어.
가게 주인은 평소처럼 친절하게 나를 반겨주었지.
난 한국말을 잘 못했지만 그래도 조금이라도 더 이야기 나누고 싶어서 최선을 다했어.
우리 가족이 그 식당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말해주고 싶어서 구글번역기에 의지했지..
정확하게 번역되길 바라면서 타이핑을 하고 주인에게 읽어보라고 건네줬는데..
정말 친절하고 따뜻했던 주인장 표정이 겁에 질린것 같더라고.. 
다시 평정심을 되찾은 얼굴로 핸드폰을 나한테 돌려줬는데 다행히 스크롤을 다 내리지는 않았더라
번역문에 온갖 욕이 다채롭게 써 있었거든.
 
 
easytorememberuserid
이 말은 꼭 해야겠어..
이거 글쓴이 경험담이 제일 웃겨ㅋㅋㅋ
 
 
Revoltlll
내 친구랑 나랑 둘다 '개의 해'에 태어났어.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됐는데, 내 친구가 자기는 '개띠'라는걸 말하고 싶었나봐..
근데 '개띠'라고 안하고 '개 년'이라고 해버렸어
 
 
Phish-Tahko
난 약국에서 온도계를 사려고 한 적이 있어.
몇 군데를 들렀는데 다 없다고 하더라구.
그제서야 깨달았어 내가 찾던건 체온계라는걸!
 
 
-Zarekotoda
사실 나도 며칠전에 그랬어!!ㅋㅋ
내가 온도계 달라고 했더니 약사가 혼란스러워 하는 것 같았어
그 둘이 무슨 차이가 있는거지?
 
 
-jiabi
내가 잘못 알고 있는게 아니라면
온도는 바깥 기온을 말하는거야(날씨에 대해 얘기할때)
그리고 체온은 몸의 온도를 말하는거구.
 
 
-_b33p_
'체'는 체육관할때 그 '체'야
몸을 말하는거지
 




번역기자:위갓알리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주제글>
왜 젊은 한국 사람들은 밖에서 더 자주 운동을 하지 않나요?
한국은 정말 아름다운 자연 환경을 가진 나라고 정부도 산이나 강 주변의 자연을 보존하기 위해서 많은 돈을 쓰고 있어요.
주변에 운동 시설을 갖춘 공원도 많습니다.
 
이런 상황인데 왜 젊은 한국 사람들은 실내 러닝머신에서 걷고만 있나요?
아름다운 자연을 생각해보면 말이 안됩니다.
 
 
 
 
 
 
<댓글>
 
NyxxyStyxx
걷고 하이킹하고 자전거 타고 있는 젊은 사람이나 나이든 사람들이 항상 많이 보이던데.
 
 
ㄴcorp2084
'러닝머신에서만 걷는다'고 쓴 걸 보면 왜 뛰지 않냐고 말하는 것 같은데.
그리고 나도 동의해.
한국 사람들은 밖에서 잘 뛰지를 않더라고.
 
 
ㄴLollyLabbit
corp2084/많은 젊은 사람들은 계천이나 공원의 트랙에서 뛰고 있어.
예를들어 보라매 공원에는 조깅하고 걷는 사람들 많아.
코비드 전에는 엄청 붐볐어.
 
그리고 체육관은 편해서 많은 사람들이 가는 것 같아.
야외는 가기에 집에서 멀잖아.
 
 
mirkk13
공기질 때문이야.
 
 
ㄴReception-External
전적으로 동의해.
런던과 비교해서 내가 한국에 대해서 신경쓰이는 점은 공기질이야.
런던은 항상 공기가 깨끗하거든.
서울은 가보면 항상 보통이거나 안좋거나 그래.
지난 14년 동안 한국에 들락날락하면서 살고 있는데 최근 7년이 정말 안좋은 것 같아.
사람들이 장기간 그런 공기에 노출되면 어떤 건강 문제가 생길지 모르겠어.
 
 
ㄴelelkaal
러닝머신에서 뛰면 다른 것 보면서도 운동할 수 있잖아.
 
축구 보면서 운동하면 3시간도 금방 지나가더라고.
 
 
ㄴTheDogfatherimnida
근데 실내 공기도 밖에 공기와 비슷하지 않아?
여과 시스템이 없거나 문과 창문이 모두 밀폐되어 있지 않으면 그럴 것 같은데.
 
 
ㄴlSeraphiml
TheDogfatherimnida/실내 창문이나 문이 얼마나 미세 먼지를 막는지는 모르겠어.
난 공기 질이 안좋으면 알레르기 반응이 생겨.
샤워를 하지 않으면 실내에 들어가도 계속 그런 반응이 일어나.
근데 그때 실내에서 샤워후에 운동하면 더이상 알레르기 반응이 안생기더라고.
 
 
ㄴpjoye
lSeraphiml/머리카락에 남아있는 먼지때문일수도 있어.
나도 여름에 꽃가루 같은 것 때문에 같은 증상이야.
 
 
ㄴmooncharlie
여기 헬스장은 안가봤는데 공기 여과 장치가 없으면 놀라울 것 같아.
 
 
ㄴThunder_Tree
밀폐가 잘 된 실내는 공기질이 조금 괜찮겠지.
조금이라도 공기가 걸러질거 아니야.
 
 
근데 여기 대부분 헬스장은 공기 여과 장치가 없어.
있더라도 창문 열어놓은 경우가 많더라고.
 
 
ㄴChilis1
공기질 문제는 부차적인 이유야.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는 곳 근처에는 운동할 수 있는 야외 공간이 없는게 주요 이유야.
많은 사람들이 공원 근처에 살지 않으니까 그냥 인도 위를 뛰어다녀야 하잖아.
 
 
Eternalnextyear
많은 대학생들은 야외에서 축구, 농구, 달리기를 하던데.
 
 
Ice_Mango
니가 못 본 거겠지.
한강 가 봐.
 
 
ㄴOlorune
맞아. 그리고 아파트 근처의 작은 계천 보면 항상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조깅하고 운동하고 있던데.
 
 
ㄴrandomjak
상대적이지.
한강에서 운동하는 사람이 많지만 런던의 자전거 타는 사람이나 조깅하는 사람과 비교하면 
아주 적은 편이야.
 
개인적으로 영국과 비교해서 한국은 조깅하기에 엄청 불편해.
공원은 괜찮지만 도심지역에서 뛰기에는 무단행단에 대한 인식이 안좋아서 불편해.
만약 뛰게 되면 빨간불에 걸려서 밖에 있는 시간의 반은 멈춰서 있어야 할거야.
그래서 공원 근처에 살지 않으면 20~30분 걸려서 운동할 수 있는 곳으로 가야해.
그냥 집 근처 헬스장에 가는게 낫겠지.
 
 
ㄴclasss3
randomjak/무단횡단에 눈살이 찌푸려진다고?
다른 대도시들처럼 한국도 무단횡단이 흔한 것 아니었어?
 
 
ㄴrandomjak
classs3/영국에는 무단횡단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어.
그냥 차 사이에 틈이 있으면 건너는게 당연한거야.
물론 한국에도 그런 사람이 있겠지만 90%의 사람들은 규칙을 따를거야.
서울이나 수원에 있을때 다른 사람들은 다 기다리는데 나혼자 건너는 외국인이 될 수는 없잖아.
 
 
ㄴcorp2084
randomjak/맞아 한국에서는 무단횡단 하는 사람을 보는게 쉽지는 않아.
그렇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은 실제 무단횡단이 뭔지 모르는 사람이야.
런던의 중심가에서 걷고 운전하다보면 바로 알텐데 말이야.
 
 
ㄴclasss3
corp2084/우리는 다른 한국에 살고 있는 것 같은데.
 
 
ㄴKushmongrel
classs3/아니야. 
여기서는 사람들이 무단횡단을 하지 않아.
사람들이 시야에 차가 없어도 그냥 신호등만 보고 있더라고.
 
 
ㄴshark_eat_your_face
나도 무단횡단하는 사람들 잘 못봤어.
자정에도 차가 없는데 빨간불이라고 사람들이 기다리더라.
아마 위례였나 그랬어.
 
 
ㄴSupahSang
근데 재미있는 사실은 무단횡단이라는 개념이 자동차 사고시에 보행자에게 책임을 미루기 위해서
미국 자동차 회사에 의해 만들어진 말이라는거야!
 
 
9082_flex
난 10대인데 밖에서 뛰는 걸 좋아하거든.
근데 밖에서 뛰다보면 나랑 비슷한 사람들 많이 보이던데.
 
 
ㄴSpencercr
넌 공원에서 운동하는거야? 아니면 인도에서 달리는거야?
나는 한국에서 10년은 살았는데 서울에서는 조깅하는 사람들을 많이 못봤어.
 
 
ㄴgalvanickorea
Spencercr/대부분은 근처 공원이나 한강에서 뛰겠지.
 
 
ㄴ9082_flex
Spencercr/나는 사실 학교 근처에 살거든.
그래서 학교 트랙에 가서 뛰고있어.
 
 
ㄴKnightoforder42
나는 서울밖 고양시에 살았었어.
날씨가 좋으면 많은 사람들이 밤에 공원이나 집 옆길에서 뛰는 걸 봤어.
나도 작은 공원에 나무가 줄지어 있는 거리를 자주 갔는데 거기도 뛰거나 걷는 사람이 많았어.
 
 
warpswede
공기질때문이야.
여름이나 겨울에는 밖에서 유산소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없어.
 
 
Xraystylish
공기질 영향이 크지.
근데 시간에 따라 다를 수도 있어.
나는 젊은 사업가들이 많고 한강에 접근이 쉬운 곳에 살고 있어.
거기는 저녁 8시에 가보면 사람들이 많아.
팬데믹 전에는 공공 운동기구에는 항상 사람들이 가득했어.
 
또 다른 이유는 인스타에 올리거나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으려는 거겠지.
몇몇 사람들은 사진찍으려고 헬스장 가거든.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기온도 유지되니까, 노출있는 옷도 입을 수 있고.
 
 
MOSSCHARGER305
한강 근처에서 한동안 살았는데 조깅하다보면 젊은 한국 사람들도 많더라고.
공기질도 문제가 있겠지만, 그렇게 큰 이유는 아니야.
 
 
test_unit33
그 이유는 지금 춥잖아.
 
 
mikesaidyes
적어도 서울에서 걷는 건 너무 사람들이 많아서 복잡해.
 
 
ㄴchillydownfiregang
규칙1. 강남에서 살지마라.
 
그냥 농담이야.
 
 
ㄴmikesaidyes
chillydownfiregang/맞아 강남에서 사는 유일한 단점이지.
 
 
ㄴMOSSCHARGER305
강남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달라.
강남 역 근처에 살면 정말 지옥같아.
 
 
ㄴmikesaidyes
난 4번 출구 쪽에 사는데, 그래도 CGV나 카카오프렌드 거리 쪽이 아니라서 다행이야.
5번 축구 삼성타운쪽은 좀 지루할거야.
우리 집 근처에는 먹을 곳도 많고 2호선 승강장까지 10분 거리야.
 
 
ㄴMOSSCHARGER305
mikesaidyes/난 11번 출구 근처에 살았는데.
정말 힘들었었어.
 
 
PrestiD
적어도 서울은 날씨가 따뜻해도 황사때문에 공기가 안좋아.
그리고 내가 자전거  도로에 타러 나갈때면 개 끌고 나온 아줌마, 아저씨들 많아서 타기 힘들었어.
 
 
ㄴchillydownfiregang
꼭 그런건 아니야.
난 한강에서 자전가 타는데, 주말은 캐주얼하게 자전거 타는 사람이 많겠지만 그래도 탈공간은 여전히 많아.
주말은 아침에 가는게 가장 좋고 평일에는 오후 3,4시면 자전거 타기에 끝내주게 좋아.
 
 
ㄴPrestiD
chillydownfiregang/
나는 9월에서 10월달에 퇴근후 매일 회기에서 종로3가까지 자전거를 탔어.
동묘 근처에 청계천을따라서 자전거 도로가 하나 있는데 거기는 타기가 나빴어.
사람들이 아래쪽 청계천에서 개를 끌고 다니는 대신에 그 도로를 이용하더라고.
도시의 자전거 도로와 한강길은 전혀 다른 이야기야.
 
 
Char_Aznable_Custom
아마 하이킹이나 트레킹이 젊은 사람들에게는 유행일거야.
 
 
ncdf
자전거 도로 보면 사람들 많지.
코비드 이전에는 훨씬 많았어.
 
 
AppleSlytherin
요즘 한국에서는 하이킹이 가장 인기있는 오락거리 중에 하나야.
 
 
shyneeup
왜 여기서는 성급하게 한국사람들을 일반화하는거야?
 
 
ㄴneversaidnothing
레딧에서는 원래 모든 것을 다 성급히 일반화하잖아.
 
 
Tesilio
한국 사람들은 원래 매일 많이 걷잖아.
따로 운동할 필요가 없지.
 
 
Straight-Ad-8704
한국인들은 보통 밖에서는 잘 뛰지 않아.
그러면 다른사람에게 눈에 띄게 되잖아.
관심을 받는 걸 좋아하는 사람들이 아니야.
겨울 옷을 봐도 눈에 띄지 않도록 보통 검은색이니 어두운 색깔을 많이 입어.
 
 
rizzineq
여기에는 언급이 안되었는데 대부분의 공공 운동기구는 제대로 된 운동이 아니라 오락거리를 위해 만들어진거야.
 
내가 가장 불만인거는 철봉이 아이들이나 키가 작은 사람들에게 맞게 만들어졌다는거야.
다리를 굽히지 않고는 매달릴 수 있는 곳이 없어.
 
 
ㄴppptmstr
맞아 미국 호텔의 헬스장과 비슷해.
헬스장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 더 맞게 만들어졌어.
 
 
powh
우리집 근처 공원은 밤 10시에도 뛰고 걷는 사람들로 가득해.
 
글쓴이가 무슨 말 하는지 잘 모르겠어.
서양쪽에도 헬스장이 없는 건 아니잖아.
 
 
purplanet
너무 덥고, 먼지도 많고, 또 너무 춥고.
연중에 90%는 위에 세가지중에 하나야.
지난2년동안은 코비드영향때문인지 공기질이 훨씬 좋았어.
하지만 너무 덥고, 추운 날씨는 여전해.
한국인들은 산에 오르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아.
여름에는 산이 공기도 더 좋고 도시보다 덥지도 않으니까.
나도 조깅은 안해.
이 나라 사람들도 대부분 조깅하는 습관은 없는 것 같아.
 
 
ebolaRETURNS
내가 한국에 있을때 하이킹 하는 사람들은 많이 봤어.
 
근데 자전거는 사회기반시설이 잘 안되어 있는 것 같아.
자동차와 자전거가 같이 섞여 있어서 너무 위험해.
 
 
jmlee2001
꽤 간단한 이유가 있어.
극단적인 날씨.
나도 밖에서 뛰었는데 환절기에 덥고 춥고가 너무 빨리 변해.
봄과 가을은 점점 짧아지고 있어서 실내에서 운동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야.
 
 
Lopsided_Pineapple67
제주도에는 사람들이 밖에서 걷고 하이킹하고 뛰는게 일상이야.
서울에도 가본적이 있는데 비슷하던데.
한강에 가보면 많은 사람들이 야외할동 하더라고.
 
 
ihq12345
한국 사람들은 어릴때는 야외에서 많이 뛰어놀아.
그런데 14살 이상되면 대학 준비때문에 운동할 시간이 없을거야.
수능이 어렵기 때문에 10대들 90%이상은 공부하기 위해서 학원에 가거든.



번역기자:알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지난 1일 korea레딧에 올라온 글과 댓글반응입니다.
 
 
<본문내용 요약>
한국의 음식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사실들
 
1.한국인들은 젓가락을 사용하는데, 한국의 식기는 중국, 일본과 다르다.
수저의 모양, 재질, 용법에 차이가 있는데 한국은 거의 모든 식사에 숟가락이 필수인 반면,
일본에서는 밥을 먹을 때 젓가락을 사용하며, 국수나 중국요리를 먹을 때 숟가락을 사용한다.
 
 
 
 
 
 
2.한국인의 1인당 육류 소비량은 약 54.6kg으로 아시아 1위이며, WHO조사에 따른 채소 섭취량은 세계 11위이다.
해산물 소비량은 68.1kg으로 세계 1위이며, 일본이나 노르웨이보다 더 많은 해산물을 소비한다.
즉 세계에서 가장 많은 해산물을 먹고,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고기를 먹고, 세계 평균보다 더 많은 야채를 섭취한다는 것인데
중국은 한국보다 육류와 해산물을 적게 먹고, 채소를 두배 더 많이 섭취하며, 일본은 한국인보다 고기, 해산물, 야채를 적게 먹는다.
이러한 영양 섭취 차이로 각국의 남성 평균키도 다른데, 한국 성인 남성은 아시아에서 이스라엘 다음으로 키가 크다.  
 
3.일반적인 한국 서민들 사이에서 채식주의자를 찾기란 매우 어렵다.
한국은 남의 집에 초대받았을 때 음식을 남기지 않고 다 먹는 것이 예의이며, 
일제식민지와 전쟁을 겪은 노인들에게 음식을 남기는 것은 죄로 여겨지기까지 한다.
한국에도 채식주의자 집단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불교 승려들이다.
불교는 과거 한국의 국교였고 승려들은 불교 법에 따라 채식을 한다. 
한국의 사찰 근처에는 채식 식당이 있는데 보통 승려들이 방문하지만 누구나 이용가능하다.
 
4. 반찬은 밥과 함께 먹는 대부분의 음식을 말한다.
한식당에 가면 다양한 반찬이 테이블 위에 올라오며, 고급한식당 일수록 더 많은 반찬들이 제공된다.
음식이 식는걸 방지하기 위해 뚝배기에 음식이 나오기도 하고, 아주 뜨거운 밥이나 국을 담아 내기도 한다.
한국식 바베큐 스타일은 테이블 중앙에 있는 그릴에 굽는 것인데, 바베큐가 아닌 다른 음식(조개)을 굽기도 한다.
또한 테이블 한가운데서 즉석으로 요리를 하고 음식을 덜어먹는 것은 한국에서 아주 흔한 광경이다.
 
 
 
 
5.김치가 매우 다양하다.
한국에는 수백 종류의 김치가 있고, 조리법은 지역, 집안마다 다르다.
한국인들은 거의 매일 김치를 먹고, 김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을 만든다.
김치와 관련된 '김장'이라는 문화도 있는데, 몇 달동안 먹을 만큼의 김치를 담그는 것이다. 
가까운 이웃이나 친척과 함께 많은 양의 김치를 만들고 서로 나눠먹기도 한다.
한국의 가정집에는 김치 전용 냉장고가 있는데, 통계에 따르면 90%이상의 가정집에 김치냉장고가 있다.
온도 조절, 숙성 정도 조절 기능이 있는데, 숙성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한국인에게 김치는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음식 문화이다.
 
 
 
 
<댓글반응>
 
 
 
apart4
정말 읽기 좋은 글이네
공유해줘서 고마워!
 
 
soyfox
훌륭한 포스팅이야!
흥미로운 사실 하나 덧붙이자면, 한국 음식문화의 공동체적 특징(큰 식탁에 함께 앉아 음식을 나누어 먹는 것)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의 여파로 가난에 시달리던 시기에 등장한거야.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현상이지.
그리고 조선시대에는 이런 식탁에서 밥을 먹었대.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역사적으로도 일인당 섭취량이 꽤 많았어
 
 
-Horror_Secret
저건 특별한 날, 사진 찍기 위해 일부러 많은 양을 담은것 같아. 
그리고 저 사람이 얼마나 부유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 같기도 하고!
내가 추천하고 싶은 책이 하나 있어.
카타르지나 조안나 츠비에르트카의 '요리, 식민지, 냉전 :20세기 한국의 음식' 이라는 책이야.
 
 
youhadmeatanyeong
와 엄청 디테일한 글이네
학교 프로젝트같은거야?
 
 
-butterdorb
이 포스팅 덕분에 누군가는 겨울방학 숙제를 잘 제출할 수 있겠군 ㅋㅋㅋ
 
 
-Potential-Bread6751
그냥 심심해서 취미로 쓴거야 :)
 
 
nebuluv
젓가락을 금속 소재로 만드는 이유가 있나?
그리고 왜 납작하게 만드는걸까?
 
 
-Potential-Bread6751
나무가 아닌 금속으로 만들면 훨씬 오래 가거든.
평생 사용할 수 있는거지.
그리고 청소가 쉽고 위생적이야. 
구리, 황동, 은으로 만들어져서 그 자체로 살균 기능이 있고, 식중독과 전염병 예방에 도움이 되지.
모양이 납작한건 왜 그런지 잘 모르겠어. 하지만 굴러떨어져서 잃어버리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건 알고있어.
 
 
-NotAmusedOK
적어도 지금은 금속 젓가락이 더 위생적이고 안전하다고 여겨지지.
(플라스틱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나오는 화학물질도 없고, 나무젓가락은 오래 못 쓰고 만들때 화학물질 처리도 되니까)
납작한 이유는 잘 모르겠어~
 
 
-Only____
난 납작한 젓가락이 좋더라
음식 집을 때 더 잘 잡히는 느낌이 나거든
 
 
-jenjen96
난 금속 젓가락이 좋아.
일본에 살았을 때 항상 너무 습해서 스패츌라나 젓가락처럼 나무로 된 식기에 곰팡이 문제가 생겼었거든.
그래서 금속으로 바꿨는데 확실히 더 위생적이야.
 
 
-WillAdams
식탁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전통도 영향을 미쳤을 것 같아.
나무젓가락을 사용한다면 그릴위에서 음식을 뒤집거나 가져올 때 그을리거나 타버릴테니까
 
 
-Shadowalker3065
젓가락이 납작한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내가 들은바로는 한국에서 금속을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래.
신라 시대때는 젓가락/숟가락이 금으로 만들어졌다는 전설도 있어
 
 
-aznxtl
오 나는 은으로 만들어졌다고 들었는데~
그래서 음식으로 왕을 독살하려고 하면 젓가락 색이 변한다구
 
 
-mister_damage
그게 가장 흔한 설명이지.
근데 그냥 메탈이 나무보다 내구력이 좋아
 
 
_FleetingGlance
-젓가락이 납작한 이유는 금속을 덜 쓰기 위해서라고 들었어.
얼마나 정확한건진 모르겠지만 적어도 말은 되는듯!
 
 
rhks92
이렇게 디테일한 포스팅을 볼 거라고 기대도 안했는데 !!
 
 
lazerbullet
대박.. 이거보니까 너무 배고프잖아
 
 
asdf2k7
한국 피자에 올리는 옥수수에 대해서는 얘기 안해줄거야? ㅋㅋ
농담이야 잘 읽었어!
 
 
jeminigupiter
한국 가기 전에 이걸 다 알았더라면 좋았을텐데!!
서양보다는 확실히 채소가 많았어.
 
 
makarebi
한국 성인 남자 평균 키는 173cm정도 될 것 같아
 
 
soyfox
내 생각엔 사람마다 키 차이가 커서 평균치는 별로 의미가 없을 것 같아.
2020년 입영 대상 남자 28만명을 기준으로 했을 때 평균이 174cm였어
이건 젊은 성인 남성들 사이에 가장 정확한 통계라고 생각해.
하지만 얼마 안있으면 학생들 평균 키도 175cm가 될거같아
 
 
Foyles_War
이 포스트 덕에 기분이 좋네. 사진도 마음에 들어!
나도 금속 젓가락이 최고라고 생각해
아 저런 음식들을 먹을 수 있다면 150달러는 낼 수 있을텐데
그리고 해산물도 너무 먹고싶어
 
 
HayfeverTID
멋진 포스팅이야! 그릴부분 마지막 사진에 있는 음식은 뭐야?
가운데 치즈가있는것 같은데
 
 
-winter3218
닭갈비 아니면 제육볶음.
그리고 가운데 치즈 맞아!
 
 
stellarpando
한국의 모든걸 사랑하지만 젓가락은 좀..
무거운것도, 금속인것도 다 상관없는데 왜 모양이 납작한건지 모르겠어
평평한 젓가락 최악이야..
 
 
synthetictangerine
납작한 젓가락이랑 둥근 젓가락은 
땅콩이나 은행같은 음식을 집기에 더 쉬워
 
 
aylko
실용성, 제조 공정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해
납작한 젓가락은 테이블이나 그릇에 올려뒀을 때 굴러 떨어지지 않아서 좋고
아마 만들때도 금속 막대를 뽑아서 납작하게 두드려서 만들었을거야
 
 
cyrnios
난 금속 젓가락은 꼭 써야 하는 경우가 아니면 거의 사용하지 않아
먹을때 너무 뜨거워지는 것 같아서
 
 
-juicius
난 그런 경험 한번도 없는데
화기에 젓가락을 너무 가까이 둔거 아니야? 
그리고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만든 젓가락은 녹거나 불이 붙을수도 있어
 
 
-cyrnios
막 엄청 뜨겁다는게 아니구
그냥 뜨거운 밥이나 라면같은거 먹을때 말 하는거야
그런 음식을 먹을때는 플라스틱이나 나무 젓가락을 사용하는게 훨씬 편하더라구
 
 
bmomtami
몇 년 전에 푸드 페스티벌에 갔었는데 
김치는 다양한 재료를 묻고 숙성시켜서 만드는거라고 들었어.
어디서 온 문화인지 확실히 잘 몰랐었지.
냄새는 정말 안좋았지만, 맛은 좋더라! 대체로 배추로 만드는것 같던데..
정말 흥미롭고 유익한 포스팅이야 고마워!!
 
 
zealousidealdream299
그거 알아?
한국 젓가락이 소맥 만드는덴 최적이야
 
 
therookling
진짜 교육적인 글이야
저장해뒀어!
 
 
kimchi-chronicles
난 항상 한국 젓가락이 싫었어.
음식을 못 집겠더라고
난 더 크고 나무로 된게 편해
 
 
tjdans7236
훌륭한 포스팅이야!
1학년때 한국에 살던 때가 생각난다.
모든 아이들이 쉬러 가기 전에 식판에 있는 음식을 다 먹어야 했는데~
 
 
davidlinkorea
한국 음식에 대한 훌륭한 프레젠테이션이야!
너무 잘 썼다~!
 
 
punksakura
정말 좋은 읽을거리야!
간결하고 유익하네.
근데 읽다보니 배가 많이 고파..ㅋㅋ
 
 
headmischief
난 한국 숟가락이 제일 좋더라.
친구네서 가져온게 하나 있는데 너무 좋아
 
 
-knightoforder42
맞아. 나도 한국에서 은수저 세트 몇 개 사서 집에 가져왔거든.
특히 숟가락! 
아마존에서도 팔아. 
내가 한국에서 구매한 곳 링크 알려주고 싶은데 영어나 외국어 지원이 안되는것 같아..
 
 
shapark11
훌륭한 포스팅이야
넌 여기 레딧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멤버가 되고 있어!
 
 
swing39
흥미로운 글이네, 고마워!
매운맛이 한국 음식 고유의 특징이라고 생각된다면 
저 글에 매운맛도 언급할 수 있을듯 ㅎㅎ
 
 
 
BIZARRE_TOWN
오.. 그렇구나
한국 사람들은 채소만 보면 "김치로 만들 수 있을까?"하고 생각하는것 같아 
가능한 모든 채소들을 김치로 만들려고 할 듯~!
우리는 올해 공급 문제로 나파 배추를 일찍 구매하지 못해서 로메인상추, 양파, 빙산 상추로 김치를 만들었는데 꽤 괜찮았어.
11월에 드디어 나파 배추를 구해서 3일동안 김치 담갔는데 지금 잘 발효되고 있는것 같아~!
 
 
SailingArtist
멋진 포스팅이야!
난 항아리같은데 관심이 많은데 
한국의 풍성한 항아리 역사와 음식, 문화와 관계에 대해 무척 관심이 많아. 
예를들면 옹기, 분장, 달 항아리같은거.
나중에 또 심심해지면 항아리에 대한 글도 부탁해!
 
 
Pinkskippy
정말 유익하고 좋은 포스팅이네. 고마워~!
 
 
pluplup
다 읽고나니 너무 배고파졌어
 




번역기자:위갓알리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주제글>
한국의 베이커리 체인점인 '파리 바게뜨'는 프랑스에서도 인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 살고 있는데 제 동료와 빵에 대해서 이야기 했었어요.
그 중 한명이 한국 제과 체인점인 '파리 바게뜨'가 프랑스에서도 인기있다는 것을 들었다고 했어요.
진짜 그런가요?
 
와! 내가 생각한 것 보다 많은 답변이 달렸어요.
시간들여 답변해줘서 고마워요.
오늘 동료들과 이 답변들에 대해서 이야기 해봐야겠어요.
모두 멋진 새해가 되길 바래요.
 
 
 
 
 
 
 
<댓글>
 
 
antonindc
난 프랑스 사람인데 미국에서 살다가 한국 동료들 때문에 이 체인점을 알게 되었어.
내 생각에 '파리바게뜨'는 프랑스에서 인기가 있지는 않을거야.
한국 친구들과 이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 해봤고 몇가지 먹어도 봤어.
근데 거기 바게뜨는 그 이름으로 불리기에는 너무 부족해.
파리에 있는 것과 전혀 맛이 달라.
오히려 이름때문에 더 불만스럽더라고.
 
 
Remix1385
서귀포에서 '파리바게뜨'를 본적이 있어.
근데 전에 프랑스에 있을때는 들어본적이 없는데.
 
 
Panninini
프랑스에서 살다가 미국에 이사가서 그 브랜드를 봤어.
전혀 프랑스 빵을 대표하지도 않고, 내가 프랑스에서 먹었던 빵과도 달랐어.
 
 
Lekeau 
많은 프랑스 사람들은 아마 모른다고 대답할거야.
근데 나는 한국에 갔을때, 친구가 내가 프랑스 사람이라고 거기로 데려가서 알고 있어.
프랑스에 '파리바게트'가 있다는 것을 들었을때 엄청 놀랐어.
파리에 위치한 곳은 가보지 않았는데, 그 이유가 거기는 한국 프랑스 퓨전 스타일 같더라고.
거기는 kpop/k드라마 팬들이 간다고 들었어.
그들은 한국의 모든것을 좋아하고 흔하지 않은 것들도 시도해보고 싶어해.
결론은 내 생각에 '파리바게뜨'는 프랑스 빵집과 경쟁하기에는 프랑스 빵과 맛이 너무 달라,
또 한국 빵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도 뭔가 부족해.
심지어 브랜드가 '파리 바게뜨'라서 전혀 한국과 연관되어 보이지도 않고.
 
 
steve_colombia
재미있는 질문이네.
근데 우린 '서울불고기'라는 음식점은 있어.
 
 
ndefontenay
'파리 바게뜨'는 오히려 미국에서 인기가 있어.
자주가서 먹고 있어.
프랑스에서는 인기가 없을거야.
 
 
TerranKing91
한국에 갔을때 진짜 웃기더라고.
파리 사람 입장에서 그 이름 들었을때 꽤 별로라고 생각했어.
거기 가보고 싶지도 않았어.
파리 외곽쪽에서 본 것 같은데, 근데 거기는 수제가 아니라 공장에서 만든 빵 아니야?
 
 
Nalo13
몇 년 전에 한국가서 '파리 바게뜨' 가봤는데.
거기는 바게뜨는 안팔고 계피 관련 빵만 팔더라고.
정말 실망했던 기억이 나네.
 
 
gitanVNR
한국에서는 인기가 많겠지만 100% 아시아 사람 입맛이야.
예를 들어 '파리 바게뜨'의 빵이나 바게뜨는 종종 하얗고 바삭하지도 않아.
반면에 전형적인 프랑스 바게뜨는 엄청 바삭하거든.
 
 
kim_kiri
내 남친이 한국에서 1년 살았었는데 빵이 그리울때마다 '파리 바게뜨'에 갔었어.
근데 맛이 없었다고 하더라고.
전혀 프랑스 빵이 아니래.
 
 
noapesinoutterspace
난 실제로 판교에 있는 '파리 바게뜨'에 가 본적이 있어.
이름이 좀 웃기더라고.
특히 그 에펠 타워 로고는 너무 진부한데 좀 덜 프랑스 느낌나게 못만드나...
어쨋든 거기 빵은 프랑스 빵과 완전 달라.
너무 달고, 바삭하지도 않고, 버터맛도 안나고.
지금도 있는지는 모르겠는데 2015년 이태원에 프랑스 사람이 운영하는 빵집이있었어.
거기가 괜찮은 프랑스 빵을 만들었어.
 
 
PensiveSunset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에는 있는데 완전 쓰레기던데.
 
 
chaoticdenim
뉴욕에서는 봤어.
근데 파리에서는 본 기억이 없어.
 
 
holaholahophop
프랑스 사람들이 듣기에는 참 웃긴 이름이네.
 
 
Pogo-Hopper
중국에 살 때 가봤는데 맛은 괜찮던데.
근데 프랑스에서는 못 봤어.
그리고 현지 문화에 접목한 빵이 있더라고.
프랑스 사람들이 보기에 처음 보는 빵들도 있었어.
 
 
JimmyPageification
파리 사람인데 들어본 적이 없어.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것 처럼 거기 빵이 달고 바삭하지 않다면 프랑스에서는 힘들거야.
 
 
Acrobatic-Salad98
베트남에 있을때 빵이 너무 먹고 싶어서 가 본적이 있어.
솔직히 말해서 최악의 빵이었어.
프랑스에서도 있다는 건 알고 있는데 내 경험상보면 인기있을 것 같지는 않아.
 
 
PushMeToo
한국에 3개월정도 머물렀을때 가봤어.
'파리 바게뜨'에 있는 빵은 전혀 프랑스 빵이 아니야.
그냥 '파리'를 이용해서 프랑스 빵 맛을 모르는 한국 사람을 속이고 있어.
그리고 프랑스에도 인기가 없을거야.
 
 
Darkdeuk
파리에 가게가 하나 있는 것 같은데 확실하지는 않아.
예전에 한국에 있을때 먹어본 적은 있는데 프랑스 빵도 아니더라고.
내 생각에 프랑스 사람들 입맛에는 전혀 맛지 않을 거야.
 
 
MothToTheWeb
'파리 바게뜨'는 프랑스 빵이 아니라 미국빵에 가깝지.
프랑스에서는 로컬 빵집과 경쟁이 힘들거야.
전혀 프랑스 사람 입맛이 아니거든.
 
 
LexinePwns
프랑스 사람인데 한국에 갔을때 '파리바게뜨'에 가서 먹어본적이 있어.
정말 끔찍하더라고.
가게는 예뻤는데 맛은 별로였어.
 
 
nonchalantlarch
나는 캘리포니아에 있는 '파리바게뜨'에 가봤어.
제공되는 빵의 질은 괜찮았어.
근데 프랑스에서 파는 빵과는 차이가 나더라고.
빵, 케이크, 샌드위치등이 있었는데 프랑스에서는 전혀 못 보던 것들이야.
솔직히 프랑스산 처럼 보이게 만든게 좀 짜증나.
 
 
Money_Mrgn_
프랑스는 아닌데 중국에서는 인기가 있어.
나도 가봤는데 빵은 별로더라고.
프랑스 빵과 어떤 연관성도 없었어.
만약 프랑스에서 그 가게를 연다면 사람들이 불지를 지도 몰라.
 
 
CastIronDaddy
나는 뉴욕에 사는데 여기 '파리 바게뜨'는 끔찍해.
오직 관광객들만 찾는 곳이야.
그 회사가 용기가 있더라도 파리에 가게를 차리면 파리 사람들이 욕하는 것 밖에는 상상이 안돼.
 
 
ㄴzvib
아침 10시에 한 번 가본적이 있어.
가서 바게뜨 있냐고 물어봤는데, 다 팔렸다고 하더라고.
 
 
ㄴCastIronDaddy
zvib/아마 파리 사람들에게 바게뜨를 팔기가 너무 두려워서 거짓말 한거겠지.ㅋㅋ
 
 
cpc44
상하이에 살았을때는 굉장히 인기있었는데 프랑스에서는 못 봤어.
근데 '파리바게뜨' 빵은 정말 맛없더라.
그냥 로컬 빵집 아무곳이나 가면 더 맛있는 빵을 찾을 수 있을거야.
 
 
__-_____-_-__---_
'파리 바게뜨'에서 파는 빵은 아마 프랑스에서는 인기가 없을거야.
너무 설탕이 많이 들어갔어.
미국인이나 아시아인들의 입맛에나 맛겠지.
브랜드명도 또 웃기게 들려서 좋은 평가를 받기 힘들어.
 
 
Medical-Market-6097
그래도 미국에서는 인기있어.
최소 캘리포니아에서는 말이지.
 
 
miladmzz
한국에서 3년 살았고 지금은 프랑스에서 3년 살고 있어.
한국에 빠져있는 사람들에게 유명한 '파리 바게뜨' 지점이 여기 하나 있어.
근데 '뚜레쥬르'는 없더라고.
확실한 것 하나는 이 곳 '파리 바게뜨'의 빵은 내가 먹어본 어떤 한국에서의 빵보다 훨씬 맛있다는거야.
특히 바게뜨는 하루에 2번 수제로 만들어.
따뜻하고 진짜 폭신폭신해.
 
 
Salt-Plan-5121
미국에서는 인기있어.
많은 사람들이 프랑스 회사로 알고 있는데 사실 한국 회사더라고.
프랑스에서는 본적이 없어.
크로와상을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혐오범죄로 취급되거든.
 
 
popsickkle
프랑스에서는 못 봤는데, 한국에 가서 보고 정말 크게 웃었어.
 
 
thmsoe
뉴욕에서는 인기가 있는데, 뉴욕에 사는 프랑스 사람들은 진짜 싫어하더라.
이름도 너무 진부하고 전혀 프랑스 빵이 아니라는거야.
 
 
UrekM314
난 프랑스인인데 한국에 살고 있어.
그리고 프랑스에서도 체인점이 있고 친구랑 얘기해본적도 있어.
일단 '파리바게뜨'의 바게뜨는 정말 끔찍해.
전혀 파랑스 로컬 바게뜨와 비슷하지가 않아.
근데 꿀 슬라이스 빵이랑 일반적인 슬라이스 빵은 괜찮던데.
전에 먹어본 사람들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요즘은 괜찮더라고.
 
 
Hawks0
이 글 보니까 옛날 생각난다!
2003~2004년에 아버지 직업때문에 거제도에서 살았어.
당시 프랑스 사람들이 찾는 서양 식품을 파는 곳은 마을에 몇군데 없었어.
그 중에 '파리 바게뜨'가 있었는데 우리가 고향에서 먹던 빵과 비슷한 것들이 있었어.
가게 주인도 프랑스 사람이 올때마다 좋아했고 그 브랜드가 한국에서 인기 있다고 했었어.
이 브랜드를 거의 잊고 있었는데 다시 기억나게 해줘서 고마워!
그리고 질문에 답하자면 '파리 바게뜨'는 프랑스에서 인기 있는 것 같지는 않아.
파리, 리옹, 보르도나 다른 대도시에서도 본적이 없어.
프랑스에 몇개의 가게를 열었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누구도 '파리 바게뜨'를 언급하는 걸 못 들어봤어.
 
 
BlackMesaEastt
나는 프랑스계 미국인이고 한국에 살고 있어.
'파리 바게뜨'는 진짜 실망스러워.
그들은 그냥 프랑스 빵을 가져가서 이상한 빵들을 만들어 낸거야.
만약 진짜 프랑스 음식을 먹어보고 싶다면 서울의 서래 마을 근처를 찾아봐.
거기에 프랑스 사람이 하고 있는 빵집, 음식점이 있어.
 
 
Jonas_g33k
거기 빵은 너무 달아.
한입먹으면 너무 많은 설탕과 크림을 먹는 느낌이야.
프랑스 케이크도 '파리 바게뜨'에서 만든 케이크처럼 달지가 않아.
아마 프랑스 사람이 아니라 한국 사람 입맛에 맞게 만들어져서 그런 것 같아.
 
 
AretemisPrime
예전에 내가 자주가는 빵집을 거기서 인수해서 알고 있어.
그리고 중국에서 많이 봐서 중국 브랜드인지 알았어.
한국 브랜드였구나.
알려줘서 고마워.
 
 
Familiar-Stock6693
싱가폴에서도 봤고 뉴욕에서도 많이 봤어.
근데 프랑스에서는 잘 팔릴 것 같지는 않아.
 
 
6594933
프랑스에도 매장이 있는지는 몰랐어.
근데 내가 서울에 갔을때 가봤는데 난 꽤 괜찮더라고.
100% 추천이야.
 
 
Giiiin
'파리바게뜨'는 파리에 2군데 열었어.
근데 인기는 없어.
전형적인 프랑스 빵집과는 맛이 다르더라고.
특히 빵은 완전히 달랐어.
 
 
Weedrunner
아시아 이곳 저곳에 살면서 많이 봤어.
근데 아시아 스타일이라서 그런지 다른 아시아 빵과 크게 다르지 않아.
아시아 빵집과 프랑스 빵집은 매우 달라.
아시아에서 프랑스 빵이라고 나오는 디저트들은 꽤 질은 안좋아.
이런점은 그저 아시아 사람 입맛이 다르다고 그런건 아닌것 같아.
프랑스에 갈 기회가 있다면 꼭 프랑스 디저트를 먹어보기를 추천해.
 
 
ducCourgette
내 시댁 식구들이 뉴저지에 사는데, 거기갔다가 '파리바게뜨'에 갔었어.
전혀 프랑스 스타일이 아니야.
팔고있는 빵의 10%정도만 실제 프랑스 빵집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었어.
 
 
pierreletruc
프랑스 사람들은 대부분 근처의 빵집이나 슈퍼마켓에서 바게뜨를 사먹어.
몇몇 가게는 프렌차이즈이지만 대부분 자기 소유의 소규모 빵집이 많아.
 
 
Riggiro
한국에 있을때 커피를 제외하고는 '파리 바게뜨'에서 뭔가 샀을때마다 항상 후회했어.
'파리바게뜨'가 정말 프랑스에서 성공하고 싶다면 그들의 라인업을 완전히 바꿔야할거야.(완전 프랑스인 취향으로 바꾸거나, 아니면 한국식 빵으로)
현재 상태로는 프랑스의 가장 저렴한 슈퍼마켓과 경쟁도 힘들거야.
 
 
Seth_Imperator
프랑스에서는 '파리'가 들어간 것은 결코 인기를 못 얻을거야.
왜냐하면 너무 중앙집권적인 느낌이잖아.
 
 
Deity_Link
2011년에 한국에 공부하러 갔을때 '파리바게뜨', '파리크라상'같이 많은 빵집에 '파리'가 들어가 있는 것을 보고 놀랐어.
경희대 근처 몇 곳에 갔었는데 그냥 공장에서 만들어진 빵이더라고.
난 거기 가는 것을 그만두고 대학 식당의 수제버거나 마요 비빔밥같은 것에 더 빠졌어.
가끔 주말에 바비큐와 맥주도 동료들과 먹고.
 
 
choca34
파리에 살고 있는데 저 가게 한곳이 내 직장 근처에 있어.
근데 확실히 인기가 많아.
항상 사람들이 줄서있고 샌드위치가 맛있다고 유명해.
하지만 프랑스의 많은 사람들은 들어본적이 없을거야.
 
 
aiyanna4
베이징에서 가봤는데 이름이 재미있더라고.
근데 프랑스에서 인기있을 것 같지는 않아.
 
 
Garum_Lupus
프랑스에는 작은 빵집이 많아.
체인점도 있긴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작은 빵집을 더 좋아하고.
근데 난 한국을 좋아해. 특히 강남이 좋아.
 
 
Grimtork
'뚜레쥬르'와 비슷하지.
그냥 아시아 사람들 입맛에 맛은 빵을 파는 곳이야.
프랑스 사람들이 가서 먹기에는 적합하지가 않아.




번역기자:알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한국인으로 보이는 사람이 레딧에 올린 글에 대한 반응입니다.
 
 
왜 우리는 아직도 한국식 나이를 사용하나요?
일본과 중국 모두 동아시아 나이 계산을 폐지 했는데, 왜 한국만 여전히 그것을 사용하나요?
 
 
 
 
 
 
<댓글>
 
namchuncheon
원래 전통은 쉽게 사라지지 않아.
해온대로 계속 하고 있는거야.
여전히 일부 마켓에서는 오래된 측정단위인 '근'을 사용해.
사람들은 익숙하니까 계속 사용하는거야.
 
 
ㄴcorp2084
비슷하게 면적 측정 단위로 '평'도 사용되고 있어.
 
 
ㄴbigpizza87
ㅋㅋㅋ 그래도 일본의 면적 단위인 '다다미' 보다 낫잖아.
적어도 '평'은 평방미터 단위의 측정이잖아.
 
 
ㄴDanoct
bigpizza87/오늘날 '평'은 2다다미인거 알지?
그리고 1쓰보=1평?
역사적으로 흥미로운 점은 '평' 측정단위는 고구려와 당나라에서 일본으로 건너간거야.
그리고 일본 식민지 시기에 재표준화 되었어.
 
 
mistrpopo
미국인들은 여전히 화씨를 사용하고 있어.
아랍에서는 금,토일이 주말이고.
세계적으로 보면 유일하게 이상한 관습은 아니라는거야.
근데 나도 그런 나이 계산은 사라졌으면 좋겠어.ㅋㅋ
 
 
ㄴjakobdorof
'피트'나 '마일'은 불필요하지만 '화씨'는 기후와 체온에는 더 적합해!
난 영원히 '화씨'단위를 지지할거야.
 
 
ㄴReddito-123
mistrpopo/맞아. 동아시아 나이 계산법에는 나도 복잡한 감정을 감정을 가지고 있어.
하지만 그건 전통인 것 같아.
적어도 이웃나라처럼 전통을 파괴할 필요는 없어.
 
 
ㄴDecisionVisible7028
중국의 문화대혁명은 진짜 끔찍했지.
그들의 유물을 부수고 역사를 다시 썼어.
 
 
NotAmusedOk
내 생각에 가장 큰 이유는 교육시스템 때문이지 않을까?
각 학년의 모든 아이들은 같은 나이잖아.
만약 같은 학년인데 나이가 다르면 '언니', '오빠'라고 불러야하잖아.
근데 또 사람의 생일에 따라서 이름 불렀다가 '언니', '오빠' 불렀다가 이런 혼란이 발생할 것 같아.
 
 
ㄴMaleficentUnit0
일본도 존댓말 언어 문화지만 한국과 같은 나이 계산 시스템을 없앴어.
북한도 같은 한국어를 사용하지만 한국식 나이를 사용하지 않고.
북한은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지만, 일본은 나이가 아니라 학년에 따라 존댓말을 사용해.
 
 
ㄴNotAmusedOk
MaleficentUnit0/학년 단위로 존댓말을 사용하는게 더 쉽겠네.
하지만 학생이 아닌 사람도 문제잖아.
존댓말을 할지 말지 알기 위해서 사람들의 출생연도가 아니라 월일까지 알아야 하잖아.
일본은 그점을 어떻게 해결해?
 
 
ㄴQuartetoSixte
NotAmusedOk/내가 경험한 바로는 일본은 학년/회사 연공서열을 기준으로 해.
그래서 연령에 대한 다툼은 그렇게중요하지 않아.
학교나 직장 밖에서 친해지기 전까지 그냥 '~상'으로 불러.
 
 
ㄴbobbe_
NotAmusedOk/한국인과 사귈때마다 내가 외국인이라서 그런지 국제 나이로 계산했어.
근데 또 존댓말을 사용할때는 출생연도도 사용하고.
전여친이 나보다 4개월 늦게 태워나서 농담삼아 '오빠'라고 부르려고 한적도 있어.
근데 그녀도 출생연도가 더 중요하다고 하더라고.
 
 
ㄴMITstudent
어려서 한국에 왔는데 어울리는 사람이 나보다 1살 많았지만 '형'이라고 부른적이 없어.
다 내가 1살 어린 것을 알았지만 그냥 같은 학년의 친구로 받아주더라고.
근데 대학 후에 이상한 일이 일어났어.
내 친구들은 다 나보다 1살 많으니까 당연히 내 친구의 친구들도 나보다 1살 많아.
그때는 또 '형'이라고 불러야 하더라고.
 
 
Willsxyz
그런 나이 계산으로 한학년을 건너뛰거나 낙제하는 것도 불가능해지는 것 같아.
한국은 아이들이 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정확히 12년 동안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
 
 
ㄴwelshnick
내 생각에 낙제했다고 해서 한 학년을 다시 반복하는게 더 문제 같은데.
성적이 안좋다면 그냥 따로 모아서 가르치면 되잖아.
 
 
ㄴNotAmusedOk
성적에 따라서 한 학년을 건너뛰든 유급을 하는 건 말도 안된다고 생각해.
같은 학년인데 나이가 다르면 호칭도 복잡해지잖아.
 
 
ㄴmartyng51
Willsxyz/영국에서는 그렇게 하는데.
 
 
Reddito-123
일본과 중국 모두 한국과 비슷한 사회/연령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전혀 문제가 없어.
일본은 정확히는 모르지만 내가 홍콩에 살 때는 아이들이 몇학년인지에 따라 존댓말을 썼어.
학교 밖에서는 나이에 따라 당연히 존댓말을 사용하고.
존댓말을 사용하지 않으면 아주 무례하다고 여겨져.
난 좀 복잡하다고 생각했는데 홍콩사람들은 별 문제 없어하더라고.
그리고 우리 부모님은 음력 날짜를 사용하시는데 다른 사람들도 음력을 사용해야한다고 하시더라고.
 
 
ㄴbumper69420
친구중에 2000년생 2001년생 동기들이 있었어.
친구들이 농담으로 존댓말을 하라고 했지만 결국에는 별 신경 안쓰더라고.
 
 
SooThegrimreaper93
난 실제로 뭐라고 불러야할지 혼란스러워서 몇년생인지를 물어보고 있어.
젊은 사람들도 인터넷에서 보면 나이를 물어보더라고.
 
 
ㄴnmd1932
나도 그래.
몇년생인지 물어보는게 너무 익숙해져서 고향인 영국에 와서도 아직도 그러고 있어.
익숙해져서 그런지 몇년생인지 물어보는게 이상한지도 잊고 계속 물어보는거야.
 
 
ㄴfighton09
nmd1932/이상한게 아니야.
난 사람들이 나이 물어볼때마다 머릿속으로 계산하는게 너무 피곤해.
출생연도로 계산하는게 더 편해.
 
 
mangobikini
미국은 '화씨'나 '갤론'을 쓰잖아.
모든 나라가 다 전통적인 측정단위가 있는거야.
그렇게 특별한 일이 아니야.
 
 
ㄴtoughbubbl
난 태어나자마자 1살인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고 생각해.
그래서 '화씨'나 '갤론'과 한국식 나이를 비교하는 건 맞지 않아.
어린 아이나 반려 동물 같은 경우는 발달이 빠르기때문에 특히 월별로 구분 하는게 중요해. 
 
 
ㄴmangobikini
toughbubbl/문화마다 다 관점이 다른거야.
한국의 나이는 다른 문화와 또 다른 의미가 있겠지.
그리고 '피트'같은 경우를 보면 왜 사람의 발의 길이로 정한게 논리적인지도 모르겠어.
 
 
purplanet
한국은 세상을 '나이많은 사람', '동갑', '어린 사람'으로 구별할 필요가 있어서 그런거야.
국제 나이 시스템은 나이가 자주 바뀌기 때문에 위계질서를 엉망으로 만들잖아.
 
 
ㄴReddito-123
중국과 일본 모두 위계질서 시스템이지만 별 문제 없어.
북한도 또 한국시 나이제도를 폐지했고.
 
 
ThinkingGoldfish
시대에 뒤쳐저 있거나 아니면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있는 거겠지.
그건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를거야.
 
 
ㄴReddito-123
전통 문화를 보호하자고 다시 한자 쓰던 시절로 돌아갈 필요는 없잖아.
전통 문화도 중요하지만 다른나라에 맞게 현대화도 시켜야지.
 
 
Psyched_investor
왜 미국인들은 전세계 사람들과 달리 여전히 마일/피트/파운드 시스템을 사용하는거야?
왜냐하면 미국인들은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나라이니까.
 
 
ㄴCNBLBT
대학시절에 국제 기숙사에 살았는데 해외 학생들이 가장 자주 묻는 질문이 
왜 '어메리칸'이야? '미합중국인'이라고 불러야하는거 아니야?
난 아직도 왜 그런지 생각해보고 있어.
 
 
ㄴwelshnick
CNBLBT/미국인들은 아메리카 대륙 전체를 자기들 것이라고 생각하니까.
 
 
ㄴGregorSamsasCarapace
미국의 공식 측정 시스템도 '미터법'이야.
근데 사람들이 익숙하니까 습관대로 예전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는거고.
영국도 여전히 자신들만의 것을 써.
 
 
ㄴPsyched_investor
GregorSamsasCarapace/맞아. 습관이 계속 되는거지!
사용자들에게는 그게 더 편하잖아.
나도 완전 동의해.
 
 
ㄴwelshnick
내 생각에 보호무역주의 관점도 있어.
다른나레에서 미국에 수출을 하려면 미국 시스템으로 계산해야하기때문에 추가 비용이 들잖아.
미국 국산품의 경쟁력이 더 높아지겠지.
 
 
ㄴpluplup
welshnick/나도 심각하게 이 논리가 맞나 하고 생각했어. ㅋㅋㅋ
 
 
ㄴPsyched_investor
welshnick/핵심적인 지적이네!
 
 
ㄴ_gib_SPQR_clay_
독립후에 영국과 거리를 두기 위해서 그런게 아닐까?
 
 
ㄴwelshnick
_gib_SPQR_clay_/근데 영국도 이전 세대까지는 미국과 같은 측정단위를 사용했는데.
 
 
RevolutionaryOnion47
그냥 한국은 변화를 좋아하지 않으니까 계속 사용하는거지.
 
 
juicius
한국에서 나이가 많은게 권력이잖아.
한국식 나이는 국제 나이보다 2살이 많기도 해.
물론 그것도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적용되지만, 국제 나이로 변화하면 갑자기 나이가 많아지기도 하고,
어려지기도 하고 해서 사회 관습에 혼란을 줄거야.
 
 
Nykeeo
미국 캐나다도 다른나라에서 '센티미터'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인치'를 사용해.
한국인들도 자신들의 기준을 버릴 이유가 없지.
 
 
TheUnrulyOne
아마 유교적인 생명의 시작에 대한 관념이 아닐까.
사람이 태어나면 이미 9개월정도는 배속에서 살다가 나온거잖아.
1년가까우니까 1살로치는거지.
또 아기가 눈을 뜨면 1살이라는 말도 들어봤어.
그래서 12월 31일에 태어나면 그 다음날에 2살이 되는거야.
이런 유교적인 관념이 한국인들이 오랫동안 낙태를 금지했던 이유일지도 몰라.
물론 지금은 변했지만.
한국식 나이제도는 정치권에서도 여러번 폐지 논란이 있던 걸로 알고 있어.
아마 젊은 세대들의 발언권이 더 커지면 언젠가는 없어질거야.
 
 
Gaijin_Monster
선풍기를 틀어놓고 자면 죽는다고 믿는 나라잖아.
 
 
ongbrother
이런 한국식 나이 계산법은 없어졌으면 좋겠어.
 
 
neversaidnothing
왜 그런지 진짜 모르고 질문하는거야?
한국식 나이로 '친구', '선배', '후배'를 쉽게 구별할 수 있잖아.
 
 
daehanmindecline
한국만 사용하는거지.
북한도 사용안하는데 말이야.
 
 
Odd-Amount-4591
난 상하이에서 교사를 하고 있는데 몇몇 아이들이 국제 나이 대신에 중국식 나이를 가르쳐주기도 했어.
중국도 여전히 전통 나이 계산법을 사용하고 있어.
 
 
ㄴReddito-123
나는 중국에서 온 조선족인데 보통은 국제 나이를 사용하고 그 다음 중국식 음력 나이를 사용해.
 
 
ㄴOdd-Amount-4591
Reddito-123/제한적이긴 한데 중국식 나이도 완전히 사라진건 아니야.
상하이에서 보면 아이들의 5분의1 정도는 중국 나이를 사용하더라고.
어른들에게는 물어보지 않아서 중국 성인들은 어떤지는 모르겠어.
근데 내가 한국에 살았을때는 모든 사람들이 한국식 나이를 썼어.
 
 
jakobdorof
재조정하는 게 번거롭잖아.
한국의 많은 시스템도 한국 나이에 따라 정해졌을 거고.
그래도 10년이 지나기 전에 없어지지 않을까?
늦어도 2030년 초반쯤 아닐까?
 
 
NekkidApe
서양에서 온 사람인데 난 한국식 나이가 따로 있는지 몇년전까지 몰랐어.
그리고 솔직히 말해서 한국식 방법이 더 편한 것 같기도 해.
출생연도로 나누면 사람들을 그룹화하기도 쉽잖아.




번역기자:알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지난 11일 유튜브 'foodbull푸드불'채널에는 "스케일 압도적인 학교 급식입니다! 케이준 치킨 샐러드, 우동, 김밥, 생산현장"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시되었는데요, 해당 영상을 본 해외 네티즌들은 "건강하고 맛있어보인다","깨끗한 환경과 정성이 부럽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댓글반응>
 
 
 
Averil Tiong
저걸 다 만들기 위해 엄청난 노력이 필요했을거야
샐러드 한가지만 해도 저 많은 양을 깨끗이 씻어서 일일이 다 썰고 섞어야 하잖아
한국 학생들 정말 부럽다~!
 
 
Hulda Lopez
한국으로 여행가고싶어
전부 다 너무 맛있어보인다!!
 
 
Heidi Lecompte
건강하고 아름답게 준비되었네.
한국은 아이들을 사랑하는게 틀림없어
 
 
EK
놀라운 점은 한국에선 이게 무료라는거야.
모든 국공립 학교를 위한 교육예산으로 잡혀있기때문이지.
정말 대단해
 
 
-candy dane
정부가 국민을 돕다니.. 한국에게 축복을!
 
 
Anthony Mark
음식을 만들고 준비한 모든 사람들에게 신의 은총이 있기를
정말 최고다!!
 
 
Rennie Tin
정말 보기 좋은 점심식사네
건강하고 맛있어보여
 
 
J lj
식사를 준비하는데 들인 정성과 노력이 대단해
우리 미국도 학생들의 건강과 웰빙을 위해 좀 더 신경썼으면 좋겠어
2022년에는 아이들을 위해 좀 더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해!
 
 
Teal
학교 급식이 정말 대단하다
 
 
Thanthien
음식 받고나서 학생들이 감사하다고 말하는게 정말 멋져.
우리나라 사람들 모두가 배워야 하는 좋은 예시야
 
 
nstwtf
내가 저 학교 학생이었다면 매일 점심시간이 기다려졌을듯
 
 
chrislaw1945
와우!!... 너무 맛있고 건강해보여
 
 
Maiyia Thao
저거 샐러드 진짜 맛있어보인다
 
 
London living
난 한국 사람들이 좋더라~
친절하고 겸손하거든.
언제나 리스펙트해!!
 
 
Veezo TV
아이들을 위해 진짜 요리라는걸 하는구나...
미국에서는 그저 냉동음식을 데워줄뿐인데
 
 
Steve H
나때는 버거, 피자, 감자튀김, 치킨너겟, 칠리, 치킨버거를 먹거나 다른 학교 식당에서 먹었었는데..
내가 그 음식들을 먹었던건 배가 고팠고, 맛도 그럭저럭 괜찮았기 때문이지
절대 건강한 음식은 아니었어
 
 
is r
이 학교급식 정말 무료야?
냉동이 아니라는게 정말 놀랍네
모든 요리과정을 사람이 직접 하는것도 정말 신기해
우동에 김밥, 심지어 샐러드 드레싱까지 만든다니 말도 안돼
 
 
-Jonathan Choi
미리 포장된 음식이랑 비교해서 방부제도 적고,
음식에 어떤 재료를 넣을지 컨트롤하기 쉽고,
장기적으로 봤을 때 비용도 더 저렴해
 
 
Geeep Ont
맛도 좋고, 영양가 있는 식사라니!!
 
 
Jelly Nose
모든 아이들이 음식을 받을때 감사인사를 하고 있어
 
 
Lee Lee
외국인들: 와 미쳤다 진짜
한국 학생들: 학교 급식 너무 구려
 
 
Master King Lee
난 미국에서 매운 햄이랑 치즈 먹으면서 자랐는데...
 
 
chewy chewy
인도네시아에는 이런 음식이 존재하지도 않아
인도네시아 학생들은 건강에 안좋은 음식들만 먹는데.. 
이거 정말 멋지다
 
 
BT & MAKARA
대박이다 너무 맛있어보여
 
 
Misha A
미국은 초콜릿 우유, 피자, 테터톳스, 오렌지 하나ㅋㅋ
 
 
Sankhil
와.. 정말 저 깨끗한 환경과 정성이 너무 부럽다..
 
 
Tee Tee
너희들 모두 미국에서 저소득층 아이들이 점심에 뭘 먹는지 봐야 해
 
 
Michelle Teel
와우 미국 학교들은 이거 보고 음식하는것 좀 배워야겠어
아이들에게 정크 푸드 그만 먹이라고!! 
부모들도 마찬가지야!
 
 
Katherine Li
미국 급식은 끔찍하지..
이건 정말 대단하네
 
 
Living With Ericka
미국은 아이들에게 이렇게 좋은 음식을 먹이지 않아
얼마나 역겹고 비인간적인지..
 
 
La Mar
미국 학교 급식은 영양가가 전혀 없어.
우리 아이들이 쓰레기를 먹는다는건 정말 부끄러운 일이야.
하지만 어떤 아이들은 집에 음식이 없어서 그런거라도 먹어야 하지.. 
그것도 이해해
 
 
-Sithu Kyaw
영국도 마찬가지
 
 
fpspaul
이거랑 비교해보니 미국 학교 급식은 진짜 썩었구나 ㅋㅋ
 
 
amudha amudha
한국에서 언제부터 급식이 무료가 됐는지 아는 사람있어?
무료가 된 이유가 뭐였어? 설명좀~
 
 
-wind slayer
원래는 저소득층 아이들을 위한 무료 급식이었는데
놀림받을 수도 있어서 바뀐거야
 
 
Marcela Moreira
음식이 너무 아름다워 배고프다
 
 
Ines xo
음식 먹는 장면도 길게 만들어 줄 수 있어?
이거 좀 더 오래 보고싶어~~
 
 
The Ara Effect
한국 급식 따라갈 나라가 없을 거야
최고다!
 
 
Healthy Mom
주변환경이 깨끗하고 용품이나 도구도 깨끗한것 같아
 
 
PURPLE MEOW
음식들이 정말 맛있어 보이네!! 와우!
 
 
DeeNeeGaming
피지에선 각자 자기 점심을 챙겨오는데, 모든 아이들이 음식을 가져와서 원하면 나눠먹기도 해.
그래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지.
근데 미국에서 아이들이 돈이 없어서 점심을 못먹는다거나, 
학교에서 건강한 음식이 나오지 않는다는 얘길 들으니 놀랍네.
난 우리나라가 가난한 줄 알았거든.
 
 
-Toni Bully
맞아. 여기 미국은 그래
정말 슬프고 가슴아픈 일이지
 
 
Abdul Rahim
양도 풍족하네
 
 
connie snight
육수를 만드는데 사용된 야채들은 어떻게 돼?
 
 
Wayne Ho
다시마&멸치는 어떻게 돼?
 
 
-clinamen
남은 음식물쓰레기는 가축 사료나 퇴비로 수거되서 재활용 되지
 
 
Rebels Developer 
음식이 다채롭고 너무 보기 좋아
 
 
Austin Kim
학생, 직원들에게 무료야!
 




번역기자:위갓알리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넷플릭스의 새로운 한국 좀비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 예고편에 대한 해외반응입니다.
 
 
 
 
 
 
<댓글>
 
10K Challenge with 0 video
한국의 좀비 드라마, 영화는 절대 실망시키지 않아.
항상 높은 퀄리티, 연기, 스토리, 액션을 보장해!
 
 
Argo Khalifah Santoso
비주얼이 놀라워.
예고편보니 높은 퀄리티에 좀비 연기도 최고야.
 
 
Preston108
웹툰을 읽어봤는데 주요 배역들이 꽤 똑똑하게 행동하는 매우 괜찮은 좀비 스토리라고 말해주고 싶어.
 
 
Mary Chas
한국의 좀비 시리즈는 다른 차원의 수준이야.
계속 이런 시리즈 만들어줘. 정말 엄청난 쇼가 나올 것 같아.
 
 
OOH
이 작품은 2009년 만들어진 좀비 웹툰이 원작이야.
당시에 학교 좀비시리즈가 흔하지 않아서 굉장히 신선한 평가를 받았다고 들었어.
원작자가 최대한 사실적이고 잔인하게 만들어달라고 부탁했다고해.
 
 
pn.
오징어 게임의 이유미가 나와서 너무 기뻐!
그녀는 정말 대단한 여배우야.
이번에는 분량이 많았으면 좋겠어.
 
 
teamjo
CGI좀비가 안보여서 너무 다행이야.
엄청 끝내줄 것 같아.
 
 
TaciturnArtist
좀비 드라마 좋아하면 넷플릭스 '킹덤'추천해.
좀비가 나오는 또다른 한국 드라마인데 출연자, 캐릭터, 설정 등 모든 것이 끝내줘.
시즌3이 빨리 나왔으면 좋겠어.
 
 
کریمی علی
한국드라마를 오랜시간동안 봐온 사람으로서 말해줄게.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는 다양한 장르에서 좋은 작품이 많아.
한국 드라마는 하룻밤 사이에 유명해진 것이 아니야.
 
 
nina knox
너무 기대된다.
애니 '학원묵시록' 분위기도 나고 '부산행' 언급이 있어서 꼭 볼거야.
 
 
sIMper whosKat
한국 웹툰에서 계속 좋은 작품이 나오는 것을 보면 DC나 마블 수준으로 올라온 것 같아.
실제 웹툰에는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주제의 작품이 있어.
내가 가장 좋아하는 쪽은 성인 수위의 작품이야.
 
 
ㄴSandra Grace
전적으로 동감이야.
나도 DC나 마블을 읽으면서 컸는데 어느순간에 나도모르게 웹툰을 더 많이 읽고 있어.
이제 언제 마지막으로 코믹북을 읽었는지 기억도 나지 않아.
 
 
Elizabeth Ayannuga
난 좀비장르를 좋아해.
거기에 학교가 배경이고 '부산행'까지 언급되나니 엄청 놀라워.
빨리 보고 싶어.
 
 
Edward Of'Wales
예고편이 너무 마음에 든다.
모든 사람들이 좀비에 저항하는 것 처럼 보여.
미국의 좀비 영화에서는 대다수 사람들은 그냥 순양 양이고 단지 군대나 특별한 몇명만 좀비에 대행해서 싸우잖아.
 
 
ព្រាប សុវត្ថិ Preap Sovath
K드라마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최근에 화제가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
2000년 초부터 봐 온 사람으로서 말하는데 그 당시에도 지금정도는 아니지만 꽤 주목받고 있었어.
'오징어게임' 전에도 한국 드라마는 꽤 인기가 있었어.
2003년의 '대장금'이라는 드라마가 그 당시 '오징어게임'같은 드라마였어.
 
 
monsoleil
2022년 최고의 시리즈가 될 것 같아!!!
말 그대로 최고의 예고편중에 하나야!
 
 
Epeli Nakautoga
한국 좀비 영화는 절대 실망시키지 않지.
넷플릭스나 한국 제작사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어.
 
 
Brutalizer X
'오징어게임'같이 히트할 것 같은 느낌이 나네.
1월28일 후에 어떻게 될지 기대가 된다.
 
 
HBY
너무 기대된다.
난 좀비 아포칼립스 장르를 좋아하는데, 특히 한국이 만든 거면 틀림없이 끝내줄거야.
 
 
RoomyLEGO101
한국의 작품들이 최근에 계속 화제가 되는 것 같아.
이 작품도 대단할 것 같고.
넷플릭스, 앞으로도 이런 작품 계속 만들어줘.
 
 
Kelvin Veizaga
꽤 괜찮아 보이네.
난 어려서부터 미국 영화보다 한국 영화를 더 많이 봤어.
최근에는 사람들이 유행때문인지 더 많이 한국 작품들을 보는 것 같아.
한국의 좀비 장르는 항상 기대를 하고 있으니까 실망시키지 않았으면 좋겠어.
 
 
Campbelltown96
한국 사람들은 좀비 영화를 만드는 것을 절대 멈추지 않았으면 해.
좀비 장르를 정말 잘 만드는 것 같아.
 
 
ㄴtko
내 생각에 CGI도 많이 사용안하고 총기도 사용하지 않아서 더 강렬하고 무서운 분위기가 나는 것 같아.
 
 
NEIL 333
아마 내가 웹툰 '지금 우리 학교는'을 읽은 최초의 영어권 독자일거야.
드라마로 나오는 것을 보니 약간 우월감이랄까 그런 느낌이 드네.
 
 
Brian M
'부상행', '킹덤' 모두 좋았어.
이 작품도 엄청기대하고 있어.
한국은 어떻게 호러 좀비 영화를 만들어야 하는지 잘 아는 것 같아.
특별히 내장을 드러내지 않고도 공포감을 만들어.
 
 
DeathGames
볼때마다 느끼는 건데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점점 발전하네.
좀비 장르는 좀 질리지만 나중에 보던가 해야겠어.
 
 
Marjorie Charles
좀비 영화라면 한국 작품은 절대 실망시키지 않아.
말 그대로 절대 실패하지 않아.
내가 한국 드라마에 완전 빠진 이유는 그들은 시청자들의 관심을 사로잡는 방법을 알고 있기 때문이야.
1월28일이 빨리 왔으면 좋겠어.
 
 
ABHISHEK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다른 차원의 수준이야.
앞으로 10년은 그들에게 최고의 전성기가 될거야.
 
 
Hi
'부산행'과 '좀비가 영화가 아니라 왜 학교에 나와'라는 대사가 나왔을 때 너무 흥분되었어.
 
 
straykidult
좀비 장르는 배우들에게 최고의 연기를 끌어낼 수 있는 장르같아.
예고편을 보니 성인배우들은 어느정도 인기가 있는 사람들이고 학생들은 신인처럼 보여.
 
 
Varg Hellion
확실히 한국은 '부산행'과 '킹덤'으로 좀비 장르에 있어서는 최고라는 것이 입증되었어.
부산행, 킹덤에 이어서 이 작품도 성공했으면 좋겠어.
 
 
Gee_ Gee
'지금 학교 우리는'이라는 웹툰을 읽어봤는데 너무 재미있었어.
드라마로 나올지 몰랐는데 다른 사람들에게도 읽어보라고 추천하고 싶어.
 
 
Sonnet Maria
작년에 이 웹툰을 다 읽었어.
만약 웹툰의 스토리로 따라간다면 올해 최고의 드라마가 될거야.
 
 
ㄴHi Stranger
근데 웹툰 스토리면 시즌1로 힘들 것 같기도 하던데.
 
 
enwillowswift
예고편에서 남들은 다 도망가는데 혼자서 책읽으면서 천천히 걸어가는 소녀를 봐봐.
아마 나도 저런 상황이면 저렇게 반응할지도 몰라.
왜냐하면 학교에서는 멍청한 장난도 많이 일어나잖아.
실제 저런 상황이면 바로 좀비 아포칼립스라고 인식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 같아.
 
 
Jona Mae
내가 한국드라마에 중독되는 이유는 그들은 시청자들의 관심을 끄는 방법을 정말 잘 알고 있어서 그래.
특히 좀비 장르에 있어서는 정말 최고야.
 
 
Bonnie's Channel
말 그대로 너무 기대가 된다.
사실 내가 좀비 장르를 좋아하게 된 이유는 한국드라마나 영화를 보고서야.
이 드라마 티저도 너무 잘 나왔고 웹툰과도 비슷해보여.
또 캐릭터들도 웹툰 캐릭터와 많이 비슷해보여.
 
 
Artkoholic
내가 좋아하는 한국 3대 좀비 작품.
1.지금우리학교는(예고편을 보고 바로 흥분되었어)
2.킹덤
3.해피니스
 
 
ㄴSpeaker of Words
'살아있다'와 '부산행'도 추가해야지.
 
 
ㄴwaka waka
좀비물이면 '부산행'이 최고지.
 
 
Nicolas Goldring
많은 사람들이 이미 댓글로 언급했지만, 좀비물에서 한국은 우리를 계속 놀라게 하고 있어.
'부산행'은 너무 과소평가된 작품이야.
호러와 코미디가 잘 조합되어 있어서 더욱 좋았어.
 
 
Arielle Laguerre
그래서 좀비 아포칼립스가 발생한 이유가 부산행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된 미친 쥐가 소녀 한명을 물어서 그런거야?
 
 
ㄴWalking Earphones
웹툰에는 저 쥐에 대한 더 깊은 내용이 있어.
저 쥐는 좀비가 된 아내를 치료하기 위해서 실험을 한 걸 거야.
 
 
ain hanie
흥분때문에 못 참겠어
며칠전에 이 웹툰을 다 읽고 동생에게 이야기 했거든.
그리고 오늘 예고편이 나왔어.
웹툰을 잘 살린 작품이 나왔으면 좋겠어.
 
 
J L
이 드라마는 10년전에 나온 웹툰이 원작이야.
전설적인 웹툰인데 총 130부작으로 한 번 시작하면 멈출 수 없어.
 
 
ㄴYu Kay
만약 성공하면 중국이나 일본에서 자기들이 원작이라고 또 그럴 것 같은데.
 
 
shangida sultana
예고편을 보니 뭔가 걸작의 냄새가 난다.
지금 '킹덤'을 보고 있는데 정말 끝내줘.
이 작품도 너무 기대돼.
 
 
Amanda Hilliard
한국은 좀비 영화나 드라마를 현실같이 잘 만드는 것 같아.
미국처럼 성적인 내용이 없어도 시청자들을 끌어들여.
 
 
elsajihoon muscles
완전 신난다.
생존한 학생들도 보니까 똑똑한 것 같고 양궁 장면을 보니 신체적으롣 잘 단련되어 있어서 더 재미있을 것 같아.
 
 
Mahima Rawat
지루한 학교 생활중에 나도 이런 상상해봤는데.
내 상상이 현실이 되었어.
예고편이 너무 흥미진지해서 꼭 볼거야.
 
 
Aznromeo
애니 '학원묵시록' 분위기가 나네.
 
 
ㄴpoint lockout
아니야.
이 작품은 한국 웹툰이 원작이야.
 
 
Saraya Knight
내 생각에 특히 한국 배우들은 좀비 연기를 소름끼치게 잘하는 것 같아.
 
 
ryanzeus31
'부산행' '살아있다' '스위트홈' '해피니스' 그리고 이 작품까지.
계속해서 이런 장르 만들어줘.
 
 
SAYAN BHASKAR
넷플릭스가 이 영화를 인도 시청자들을 위해서 힌두어로도 더빙 해줬으면 좋겠어.
근데 난 진짜 한국 좀비 영화 팬이야.
기대에 부응하는 작품이었으면 정말 좋겠어.
 
 
Gareth Tomkins
솔직히 요즘 한국이 최고의 TV쇼와 영화를 만들어 내는 것 같아.
지금까지 내가 본 한국작품중에 실망했던 것은 없었어.
모두 괜찮은 작품이었어.
연기도 훌륭하고 음악도 모두 좋았어.



번역기자:알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좀비 스릴러 웹툰 원작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 ’의 예고편이 일본 넷플릭스에도 최근 공개되었습니다 . 본편 공개 예정일은 1월 28일입니다 . 다음은 유튜브 예고편 영상에 대한 댓글 반응입니다 .
 
 
 
 
 
 
<댓글>
 
 
 
Salzzini              좋아요  78
한국의 웹툰 ‘지금 우리 학교는 (2009년 작 )’은 걸작이었기 때문에 , 
어떻게 영화화되었을 지 걱정 반 기대 반 !!
 
 
おたく。           좋아요  4
너무 신나서 몇 번이나 예고편을 돌려봤어.
 
 
Passion              좋아요  6
또 대단한 작품이 나오는구나. 예고만으로도 전해지는 이 박력 , 힘 .
 
 
山崎祥治           좋아요  25
좀비 영화로도 재난 영화로도 완성된 작품이다.
세계를 목표로 만든 작품이라는 걸 알 수 있다.
 
 
samurai bushi                 좋아요  23
좀비 좋은데.
 
 
꼴데자이언츠                좋아요  11
제2의 오징어 게임이 되겠군 ww
 
 
 ㄴ  ステハゲ                  좋아요  2
    오징어 게임은 재미없었는데 , 이 작품은 재미있었으면 좋겠어 .
 
 
Curious              좋아요  43
이 드라마도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을 것 같다.
 
 
ホークアイ           좋아요  14
킹덤도 재밌었는데 당연히 재밌겠지. 기대돼 .
 
 
ベルエンジェル               좋아요  16
넷플릭스는 두 달에 한 번씩 좀비물 내줬으면 좋겠어.
 
 
Mahyar              좋아요  5
와 빨리 보고 싶다.
 
 
toraneko twinko              좋아요  1
재밌겠다~!
 
 
アリス               좋아요  24
좀비 움직임이 너무 빠르지 않아? 엄청 공격적이네 .
 
 
 ㄴ  Wrath 좋아요 0
    둔한 이미지가 너무 강하게 박혔을 뿐이지 좀비가 빠른 건 그리 이상한 게 아니야 .
 
 
、、                 좋아요  26
엄청 재밌겠다.
 
 
うどどん           좋아요  49
예산이야 어쨌든, 한국 작품의 좀비 연기는 일본 좀비 작품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나다고 생각해 .
 
 
 ㄴ  熱海ムチウチ            좋아요  2
    '아이 엠 어 히어로'도 거의 한국 로케였어 .
 
 
 ㄴ  Etoile           좋아요  0
    일본의 좀비 영화는 '아이 엠 어 히어로' 이외에 다 졸작이야 .
 
 
sarumanto          좋아요  29
이런데 일본 영화가 이길 리가 없지.
 
 
 ㄴ 無糖 加糖
    일본인인데 일부러 일본을 깎아내리는 정신머리 없는 놈 . 이런 댓글로밖에 승인 욕구를 채울 수 없나 ?
 
 
 ㄴ やな            좋아요  0
    일본인이니까 말하는 거지ㅋ 일본판 큐브의 끔찍함을 본 것으로 끝났어 , 일본 영화계는 .
 
 
 ㄴ やな            좋아요  0
    한국은 자원이 없으니까  ‘국가 정책으로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정부가 지원해서 힘을 합쳐 전 세계에서도 통하는 작품을 만들자 ’며 해외에서 돈을 벌려는 자세가 되어 있어 . 그런데 일본의 연예계는 유착과 이권 다툼으로 제각각 흩어져 있어서 , 성장할 기미가 보이지 않아 . 쟈니즈나  AKB도 유착이 있고 , 쿨재팬이라고 하면서도 실태는 단순한 세금 횡령 .
 
 
シウナ              좋아요  3
엄청 재밌을 것 같아.
 
 
ココ                  좋아요  21
한국의 좀비물은 전부 재밌어.
 
 
Puttu kk             좋아요  25
다케우치 료마의 좀비 드라마가 일본 한정이어서 다행이었어 . 
세계에 공개되면 창피해 죽어 .
 
 
 ㄴ 山崎祥治
    맞아요 . 그렇게 엉망인 작품을 생각한 사람은 무인도에 보내야 해요 .
 
 
金_                  좋아요  48
한국의 좀비물은 신이야.
 
 
エルチキ                 좋아요  19
‘살아있다 ’, ‘스위트홈 ’, ‘킹덤 ’에  이어서  재밌어  보이는  게  나오네 .
 
 
ザイオン ・ ブロッコリ ー          좋아요  2
아니 그러니까 새로운 작품을 내기 전에 우선 킹덤 시즌 3 을 내라고 .
 
 
一匹狼              좋아요  37
한국은 드라마나 영화 정말 잘 만드네♪
 
 
ライ                  좋아요  27
좋다, 보고 싶다 .
 
 
ヒトラー       좋아요  0
진짜 좀비물은 이제 질렸다. 어지간히 새로운 내용 전개가 아니면 볼 생각이 안 든다 .
 
 
ステハゲ           좋아요  4
넷플릭스는 한국 좀비물을 너무 좋아해(웃음 )
 
 
Yossarian            좋아요  5
좀비다, 앗싸 !
 
 
怪人パンダ男                 좋아요  1
얼마 전까진 멜로영화·드라마의 한국이라는 이미지였는데, 
지금은 호러나 서스펜스의 한국이라는 이미지가 되고 있어 .
 
 
1999kz              좋아요  3
‘학원묵시록 ’(일본 좀비 만화 )을 실사화하지 않아서 다행이야 . 
일본에서 만들었으면 쓰레기였을 거야 .
 
 
shamo chan                   좋아요  2
역시 일본과 레벨이 다르네.
 
 
竈門炭治郎                   좋아요  6
‘어차피 다 죽어 . 이제 끝이야 .’
 
 
RuNaWaY TiMeS3939                  좋아요  3
좋아요. 볼게요 .
 
 
モブポテト                   좋아요  2
예고편만 봐도 대단할 것 같아.
 
 
Fakeman翔                    좋아요  7
한국 영화나 드라마는 퀄리티가 높아서 보고 싶지만, 좀비물은 이제 질렸어 .
 
 
Nd n                 좋아요  11
K-좀비 !!!!!!!
 
 
wasabi              좋아요  12
‘학교생활 !’(일본 좀비 만화 )의 한국판 같아 .
 
 
Ranch               좋아요  2
무서워(웃음 ).
 
 
メンソ ー レメンソ ー ル                 좋아요  26
음 …일본은 엔터테인먼트도 추월당하고 있네 .
 
 
 ㄴ  Takashi                    좋아요  25
    솔직히 발끝에도 미치지 못해 . 영화도 드라마도 음악도 .
 
 
 ㄴ  エリックカ ー トマン               좋아요  3
    그래 ? 한국도 좋지만 , 일본의 크리에이터도 열심히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
 
 
 ㄴ  紅梅シュプレヒコ ー ル                       좋아요  2
    많은 예산을 들인 대작은 일본이 뒤떨어진다고 생각하지만 , 
작품의 질만 놓고 보면 좋은 감독이나 스태프는 있어 . 
시라이시 카즈야나 후지이 미치히토 , 이마이즈미 리키야 , 하마구치 류스케 등 .
 
 
顔文字チャンネル                       좋아요  3
그로테스크하다 .
 
 
ichi777              좋아요  0
일본의  ‘일본침몰 ’이 더 나아 . 넷플릭스에 있으니까 비교해 봐 .
 
 
にゃん Q             좋아요  1
유감스럽게도 보지 않을 작품으로 정했습니다 . 좀비는 질색이에요 .
 
 
ましろ               좋아요  2
일본대사관 앞에서 자주 보는 광경이다 .
 
 
マ ー ラ ・ シコルスキ ー            좋아요  12
절대로 안 볼 거야 .
 
 
 ㄴ  S.M L                      좋아요  39
    이미 궁금해서 예고편 봐놓고 !ㅋ
 
 
 ㄴ  Sumin.K                   좋아요  5
    아무도 안 보채 (웃음 )
 
 
 ㄴ 김준희                    좋아요  16
    보지 마 !
 
 
 ㄴ 얌얌얌                    좋아요  5
    츤데레네
 
 
Elio Vera                        좋아요  2
시리즈 제목이 뭐죠 ?
 
 
 ㄴ  jisoo black               좋아요  1
    지금 우리 학교는 , English title : all of us are Dead




번역기자:푸른울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