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응형

''에 해당되는 글 건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반응형
손흥민이 일본의 스포츠 매체 “DAZN”과의 인터뷰에서 같은 프리미어리그에서 뛰고 있는 일본인 선수 두 명  “미나미노 ”와  “토미야스 ”에 대하여 발언한 내용이 화제가 되었습니다 . 이에 대한 기사내용 및 댓글 반응입니다 .
 
<일본언론 보도내용>
 “같은 아시아인으로서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손흥민이 말한 토미야스와 미나미노
 
토트넘 공격수 손흥민이 “DAZN” 독점 인터뷰에서 토미야스와 미나미노를 언급
잉글랜드 1부 토트넘의 한국대표 공격수 손흥민은 프리미어리그에서도 톱 클래스의 실력을 자랑합니다 . 올 시즌  8득점  4도움이라는 호조를 유지하고 있는 중에 스포츠 채널  DAZN과의 독점 인터뷰에 등장합니다 . 같은 잉글랜드 땅에서 싸우는 아스날  DF  토미야스 타케히로와 리버풀  MF  미나미노 타쿠미에 대해서도 언급 합니다 .
 
29세인 손흥민은  2015년 독일  1부 레버쿠젠에서 토트넘으로 이적하였습니다 . 지난 시즌은 프리미어리그에서  17득점  10도움으로 커리어 하이의 성적을 남기고 , 잉글랜드 대표  FW  해리 케인과의 프리미어 최강 콤비로 팀을 견인했습니다 . 
 
케인과 이뤄서 프리미어리그 선수 협회  (PFA) 연간 베스트 일레븐에도 뽑혔습니다 . 올 시즌도 지금까지 리그  17경기 출전에  8득점  4도움으로 지난 시즌에 가까운 기세로 득점을 양산하고 있습니다 . 손흥민은  “DAZN” 공식 인터뷰에 등장합니다 . 같은 잉글랜드 땅에서 싸우는 일본대표인 토미야스와 미나미노에 대해서 말하였습니다 . 
 
올 시즌 라이벌 관계인 아스널로 이적한 토미야스에 대해서 물어보았을 때  “토미야스의 활약은 대단한 것이고 프리미어리그는 터프 한 리그이고 같은 아시아인으로서 그의 활약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 프리미어리그 데뷔 첫 해에 임팩트를 남기고 있습니다 . 
 
저는 그가 좋은 선수이기 때문에 활약하고 이는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합니다 ” 라고 하면서 일본대표  DF를 칭찬하였습니다 . 그리고 리버풀에서 플레이하고 있는 미나미노에 대해서도  “시합 전에 말을 하지만 그와 특별한 이야기는 하지 않아요 . 미나미노는 친절하고 매우 좋은 사람이기에 좋아합니다 . 
 
정말 좋은 사람이라서 리스펙 하고 있습니다 . 리버풀이라는 팀에서 플레이 하고 있고 , 잘츠부르크 시절에도 활약을 했었습니다 . 특별한 화제는 없지만  (말하는 것 ) 축구나 생활에 대해서 말을 합니다 . 그와는 좋은 관계에 있고 영어와 독일어를 섞어서 말 합니다 ” 라고 하며 미나미노의 인성이나 보통 하는 대화 내용을 밝히고 있습니다 . 올 시즌에 프리미어리그 생활  7시즌 째를 맞이하는 손흥민 . 커리어 하이를 맞이하려고 하는 한국대표 공격수에게도 같은 아시아에서 온 미나미노나 토미야스는 인상에 남은 것 같습니다 .
 
 
 
 
 
 
  
<댓글 반응 >
 
 
 
jjr***** |                              1551                  142
손흥민은 역대 아시아인 중에서 가장 활약하고 있는 선수라고 생각함. 자기 진영에서 혼자 드리블 돌파로 득점까지 해낼 수 있는 선수는 별로 없다 . (번리전 득점 )
 
 
かとう |                                 131                9
실질적으로 현재 프리미어리그 굴지의 공격수임에는 틀림 없다.
 
 
la_***** |                               29                   4
손흥민도 대단한 선수이지만 박지성도 대단한 선수였지. 포지션이 달라서 비교할 수는 없지만 같은 아시아인으로서 자랑스럽게 생각함 .
 
 
ccr***** |                            62                      5
손흥민처럼 결정 지어야 할 때 제대로 결정지어준다는 건 역시 대단한 거지..
 
 
atm***** |                            33                  8
나라로서 한국은 엄청 싫지만 손흥민이라는 축구 선수의 위대함은 인정해야 한다. 언젠가는 일본처럼 이런 공격수의 출현을 기대하고 싶다 .
 
 
kkg***** |                            19                   3
혼자 드리블로 돌파해서 득점할 필요 없고, 요즘 손흥민은 볼 터치 한 번으로 득점하는 공격수가 되고 있다 .
 
 
tec***** |                               25                 122
토미야스한테 완전히 졌잖아. 손흥민  (이전에 북런던 더비에서 대결을 말함 )
 
 
gha***** |                             820                  154
손흥민은 개인의 힘으로 타개할 수 있는 공격적인 월드클래스이고 역대 아시아인 둘 중에도 1,2위를 다투는 실력자라고 생각한다 . 토미야스는 지금도 세계에서  10손가락 안에 드는 윙백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계속 활약을 해서 아시아선수라는 분류에서 벗어나서 손흥민처럼 진짜 월드클래스를 목표로 해주었으면 한다 .
 
 
umi***** |                                9                  1
아시아에서 손흥민과 1위를 다툴 수 있는 선수는 과거에도 없었다고 생각함 .
 
 
jbk***** |                              8                     41
아시아를 종합하면 손흥민, 공격에서는 손흥민 수비에서는 토미야스 , 기대치로는 쿠보지 .
여기에 이견 있나?
 
 
nag***** |                            7                  20
임팩트에서는 오카자키가 최고였지.
 
 
zaw***** |                         38                  10
손흥민은 압도적인 1위다 .
 
 
xqp***** |                            13                 75
도대체 무슨 시선으로 저렇게 평가 하는 거냐.
 
 
chi***** |                            220                   28
손흥민은 아시아 No.1  선수임에 틀림 없다 . 과거 선수들을 전부 본 것은 아니지만 , 역대 아시아 선수들 중 최고라고 말해도 이견이 없지 않을까 . 하지만 , 미래는 알 수 없지 . 바란다면 일본인에게서 손흥민을 넘는 선수가 나왔으면 한다 . 그건 한국도 마찬가지 생각일 것이다 . 절차탁마 하면서 높은 것을 목표로 해주었으면 한다 .
 
 
aqp***** |                            4                   32
내 개인적으로는 나카타 박지성은 실질적인 탑 순위라고 생각한다. 손흥민은 우승 타이틀을 딴다면 최강이라고 본다 .
 
 
g13***** |                            1                 12
저 나라에게 양호한 스포츠맨십의 절차탁마는 무리야 무리라고.. w
 
 
☆M☆ |                              3                    5
나카타는 고의로 상대방을 차서 바로 퇴장당하는 어리석은 행동은 하지 않았어. 드리블이 그리고 슛을 잘한다고 넘버원이 아닌거야 .
 
 
nar***** |                              247                 41
일본인으로서는 분할 뿐이지만 손흥민은 틀림 없는 월드클래스 공격수야. 개인의 능력으로 유럽에서 득점을 저렇게 뽑아내는데 . 조금이라도 빨리 일본에서도 저런 공격수가 나왔으면 한다 .
 
 
jawbreaker |                        13                  12
안타깝지면 일본의 유스나 주니어 지도자들은 잘하는 아이들에게 포워드나 골키퍼등 득점과 직결된 포지션을 맡기지 않죠. 잘하는 아이  = 많이 볼을 만질 수 있는 아이 (포지션 ), 이라는 마인드가 침투해 있는 이상 손흥민과 같은 공격수가 일본에서 좀처럼 나오기 힘들다고 봅니다 .
 
 
vqa***** |                            253                  41
아시아인이 프리미어리그 BIG6에 소속되어 있는 것만으로 대단한 건데 , 손흥민은 그 중에서도 일류이기 때문에 진짜 위대한 선수라고 생각함 .
 
 
tec***** |                               8                 78
지역의 문제일 뿐이야. 아시아인 전원이 모두 프리미어리그나 해외에 나가고 싶은 것이 아니라는 거를 전제로 삼고 이해하는 편이 좋아 . 전성기의 엔도 야스히토나 나카무라 겐고 등은 충분히 통했었지만 자기들이 가고 싶지 않았을 뿐이야 . 프리미어리그 대단해 !!! 라는 거는 부끄러우니 그런 사고방식은 그만 두는 게 좋아 .
 
 
tab***** |                           36                     4
>tec
> 전성기의 엔도 야스히토나 나카무라 겐고 등은 충분히 통했었지만 자기들이 가고 싶지 않았을 뿐이야 .
축구에 대해 문외한이 그렇게 자신 넘치는 말을 하는 구나. 그렇게 보는 눈이 너에게 있으면 프리미어리그에서 활약하는 사람 못할 것 같은 사람에 대해 정확히 말해주는 게 어때 ?
 
 
tuv***** |                           318                    68
토미야스도 확실히 대단하지만 아직 손흥민 클래스까지 가기에는 멀지. 아시아사람으로서가 아니라 그냥 완전한 톱 클래스 선수야 .
 
 
ats***** |                        43                  10
손흥민이 대단한 부분은 지금 그 월드클래스 급의 활약을 몇 년 동안이나 계속하고 있다는 점이야. 올 시즌 한정으로 토미야스도 동등하게 활약했다고 생각하지만 , 이거를 계속 한 첫 월드클래스라고 말할 수 있지 .
 
 
vwx***** |                         52               9
지금부터 열심히 해서 실력이 늘어나면 되지. 손흥민과 다르게 앞으로 중견급을 향하는 나이 대니까 , 25- 28  정도니까 . 손흥민이  23세 때는 토미야스와 비슷한 정도였고 .
 
 
pse***** |                          103             2
뭐 솔직한 거지.. 프리미어리그에서 활약하는 동양인이 적고 , 높은 레벨에서 뛰는 동지 라는 거겠지 . 그렇다 해도 손흥민은 독일에서 있을 때부터 활약을 안정적으로 해주고 있지 . 개인의 강함은 프리미어리그에 맞아 보인다 .
 
 
any***** |                           204                61
소행이나 플레이로 안 좋은 이야기만 하면서 댓글에 써대는 사람들이 많은데, 선수로서 엄청 멋있고 토트넘 서포터에게는 팀에서 가장 사랑 받는 선수야 . 진짜 대단해 .
 
 
vie***** |                            18                    0
소행 같은 걸로 까이는 일은 한 번도 없었잖아. 플레이 만으로 까대는 건 넷우익이나 아스널 팬들이겠지 .
 
 
wat***** |                               9                    5
분데스리가 시절에는 오카자키랑 비슷한 성적을 냈었지만, 프리미어리그에 이적해서 분데스리가 시절보다 성적이 올라 갔다는 것은 대단하다 . 그리고 꾸준히 두 자리 수 득점을 해주는 안정감도 . 지금 가장 최고의 레벨인 프리미어리그에서 이 활약은 아시아 최고임에 틀림 없다 . 한국 선수는 자아가 세지만  (일본인들은 한국인이 일본인에 비해 자아 (ego)가 세다고 말합니다 ) 그게 축구 안에서 좋게 작용 하는 것이 아닐까 ? 좋은 의미로 ..
 
 
abc...z |                                17                  2
손흥민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스트라이커지. 일본은 많은 유럽파 및 선수들을 배출하고 있지만 아시아 최고라고 말할 수 있는 선수가 있을까 ….
 
 
yuk***** |                                11                    2
어쨌든 스피드, 박력 , 결정력 , 모든 부분에 있어서 대단하다 !! 분하지만 , 일본에는 좀처럼 나오지 않는 타입이다 .
 
 
rfg***** |                               25                       5
영상을 보고 느꼈지만 손흥민의 바디 밸런스 엄청 대단하다. 얼마나 말도 안 되는 노력을 하고 있을까
 
 
cqj***** |                              31                       14
말 그대로 돌려줄께. 손흥민 ! 당신은 아시아 최고의 스트라이커 입니다 . 같은 아시아인으로서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 체격 , 스피드 , 테크닉 , 슈팅력 , 모든 부분에 있어서 일본에서  AC  밀란에 입단해서  10번을 달은 선수  (혼다를 말합니다 ) 와는 다르게 자기 자신에게 도취되지 않고 겸손한 자세는 대단합니다 .
 
 
ann |                                 30                          8
손흥민처럼 으쌰으쌰 득점과 도움을 하는 일본인이 프리미어리그에 나온다면 더 볼 텐데. 물론 미나미노나 토미야스도 대단하다고는 생각하지만 .
 
 
aqg***** |                              21                         15
일본의 미드필드, 수비진에 한국의 공격진과  GK로 팀을 만든다면 월드컵에서 좋은 성적 낼 수 있을 거 같다 .
 
 
foo***** |                               36                          10
미나미노를 정말 좋은 사람이라고 몇 번이고 하지만, 전혀 플레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아서 웃었다 .
 
 
せいごうチャンネル |                         9                       3
국적 상관없이 대단한 선수다. 손흥민이 없다면 한국은 절망적이었겠다 .
 
 
eko***** |                                 1                         6
한국은 프리미어리그에서 활약하는 수비수가 없다. 일본은 프리미어리그에서 손흥민 정도 활약하는 공격수 선수가 부재하다 . 국민성의 차이인가 ?
 
 
ban***** |                                 2                          1
뭐 역시 손흥민은 역대 아시아 최고이지. 박지성인가 고민했지만 역시 손흥민이 최고지 .
 
 
otr***** |                                    9                       3
손흥민은 명백하게 말해서 레벨이 다르다. 기술 운운하기도 하는데 애당초 그 성능  (선수로서 )이 달라 .
 
 
mjt***** |                                 10                          5
손흥민씨 기쁜 거를 말해주네요. 손흥민 씨도 아시아의 자랑이에요 .
 
 
A |                                       6                          3
손흥민은 아시아가 아니라 세계 역대 스타 톱 10에 들어가는 선수다 .
 
 
oid***** |                               27                         7
미나미노 인간성 부분에 대해서만 나오고 플레이에 관해서는 다루지 않네w
 
 
雪が今日降り出して… |                    50                     15
손흥민 진짜 괜찮은 애야.
 
 
aqu***** |                                 6                     4
박지성을 넘었구나…..
 
 
kaw***** |                               6                     20
아무리 봐도 진심이라고 생각이 들지 않는다.
 
 
hal***** |                               11                    6
한국인 선수가 일본인 선수를 솔직하게 평가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한국 선수의 축구 한일전에서 플레이라든지 일본 선수에 대한 한국 국민의 쌍욕 및 여러 가지로 . 스포츠맨십이 존재하지 않는 나라 , 국민이라고 생각했지만 손흥민 선수와 같은 사람이 있어서 조금 안심 했다 .
 
 
run***** |                                6                    3
뭔가 위에서 내려다 보는 시선으로 말하는 구나.. 라고 생각되고 분하지만 , 손흥민은 지금 아시아 안에서 톱 러너 (Runner)임을 인정해야 한다 .
 
 
osh***** |                                2                   12
손흥민 두 선수 (토미야스 , 미나미노 )에게 이길 수 없으니까 질투하는 구나 . 리버풀 아스널보다 토트넘 따위는 하급 클럽이잖아 !
 
 
tgm*** |                                 6                 0
리버풀의 경우는 아직 그렇지만 아스널은… (비웃는 표현 )




번역기자:Real블루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지난 12일 자동차 레딧에 2021년 미국에서 현대/기아차 판매량이 처음으로 혼다를 제쳤다는 CNN기사가 업로드 되었는데요, 해당 소식을 접한 해외 네티즌들은 "한국차가 최고다", "혼다가 우월하다"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국내뉴스 참고>
 
 
 
<제목>
작년 미국에서 한국 자동차 회사들이 혼다 판매량을 제쳤다. 
 
 
 
 

 

 

 

 

<댓글반응>
 
 
 
caulder_
나도 내 기아 스팅어에 정말 만족하고 있어
 
 
gamesbeawesome
나 원래 혼다는 정말 믿을만하다고 말하던 사람이었는데
혼다는 극한의 날씨에 적합하지 않아. 
2021 CRV 탔었는데 영하 15도에 20분동안 히터가 제대로 작동을 안하더군
고생하다 나중에 산타페로 바꿨는데 똑같은 날씨에 2분도 안 돼서 금방 따뜻해지더라
 
 
-bobovicus
그거 혼다에서 많이 보이는 문제인 것 같아.
물론 혼다만의 독점적인 문제점이라기 보다는 사소한 엔진문제일 가능성도 있어~
(참고로 나 열역학 몰라. 내 말이 틀릴수도 있음)
 
 
-1151am
나 2022시빅 소유하고 있는데 아침에 출근할때 발이 꽁꽁 얼어.
그렇게 추운 지역도 아닌데 말이지..
2005타코마는 금방 따뜻해져서 출근 10분 후면 히터를 꺼야했었는데
 
 
Perception_Free
현대/기아차는 시장 가치를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을지는 몰라도
딜러들은 정말 형편없어..
 
 
-CreaminFreeman
현대/기아차와 그들 대리점 사이의 불협화음은 여전히 당황스러운 수준이야
 
 
-Rabo_McDongleberry
내 아내도 현대차 모는데 서비스 받으러 갔다가
이것 저것 수리해야한다는 말 들었어
서비스도 형편없어
 
 
-jvanstone
보증이 있잖아.
수리가 필요하면 공짜로 받으면 되지~
 
 
Idaho_Brotato
총 판매량은 그렇다 치고, 수익은?
 
 
-UnpopularOpinion1278
수익은 다를 것 같아.
현대는 플릿 판매를 많이 하는데 혼다는 전혀 안하니까.
플릿 판매로는 수익이 많이 나지 않을걸
 
 
-SoFloShawn
그건 사실이 아니야.
미국의 모든 대형 혼다 대리점 웹사이트에 플릿 프로그램이 나와있어.
혼다가 최저가 혹은 최저가에 가까운 가격일 수는 있지만 플릿을 전혀 안한다는건 사실이 아님
 
 
earoar
근데 난 사람들이 독일차 브랜드가 훨씬 낫다고 말하는걸 도통 이해를 못하겠더라.
부품때문에 문의하려고 전화했다가 3명의 딜러랑 통화해야 했어
메시지 남기고 답신 못받은것도 두번이나 된다구.
결국 전화 받은 사람도 나한테 아무런 도움을 못줘서 그냥 인터넷보고 혼자 해결했지
 
 
275MPHFordGT40
혼다도 좋은 시절 다갔네~
 
 
testthrowawayzz
놀랄 일도 아니야.
품질로 경쟁할 수 없으니 가격 경쟁을 하는거고
많은 소비자들은 가격만 보고 결정을 내리는거지
 
 
GarfieldBroken
이미 현대/기아가 앞선지 좀 된 것 같아
혼다는 시빅 오디세이 CRV랑 어코드는 그나마 괜찮은데 
EV미래는 좀 걱정스러워
 
 
watduhdamhell
기아 텔루라이드는 당장 소유해야 할 SUV야.
자동차에 관심없는 우리 가족들도 그 차는 알거든.
새로운 소렌토와 카니발도 마찬가지야
난 별 생각없이 예쁘고 패키지가 좋아서 새로나온 카니발을 샀는데 
와이프도 SUV처럼 보인다고 카니발을 사자고 졸랐어.
전체적으로 봤을때 기아/ 현대가 좋은 차도 잘 만드는것 같아.
 
 
A_1337_Canadian
2021년에는 5번, 2020년에는 3번, 2019년에는 0번 이었지만 
한국 제조사들이 혼다를 앞지르고 있다는 건 분명히 알 수 있어.
 
 
Dittzy
내 말 오해하지마. 혼다는 좋은 차야.
하지만 최근에 혼다가 괜찮은 걸 내놓은게 있었나?
시빅이 있긴 하지만 그게 전부잖아.
파일럿, HRV, CRV도 이미 재설계가 필요해보여
 
 
Psyko007
이거 진짜야.
요즘 거리에서 토요타나 혼다보다 K5, 포르테, 텔루라이드가 훨씬 더 많이 보여
 
 
-Dittzy
나도 K5가 많이 보여서 깜짝 놀랐어
세단은 끝난 줄 알았거든.
콜로라도에서 텔루라이드도 어찌나 많이 보이는지..
하이랜더보다 더 흔한것 같아
 
 
-lemonchicken91
휴스턴에도 K5많이 보여.
차가 꽤 잘 빠진 것 같아
 
 
-UnpopularOpinion1278
그것들도 5~7년이면 다 사라질거야
혼다와 토요타 차들이 거리에 남아있는 한..
지난 30년간 봐왔잖아~
 
 
-OhSillyDays
?? 난 지금 14년동안 현대차 타고 있는데
전혀 이상 없는데?
너무 좋은 차야.
 
 
-gamesbeawesome
혼다 팬인건 알겠는데 말을 왜 그렇게 하는거야?
의견을 마치 팩트인 것처럼 쓰고 있네ㅋㅋ
 
 
meandrunkR2D2
난 소나타를 10년정도 타고 있는데 정말 만족해!
하지만 다음차도 현대차로 할건지는 잘 모르겠어.
좀 더 빠른 걸 원하거든.. 만약 현대에서 진짜 "N"소나타가 나온다면 고려해볼 듯!
어쨌든 길에서 현대/기아차를 수도 없이 보는데 정말 멋지고, 관리만 잘되면 오래 탈 수 있는 차야.
 
 
testthrowawayzz
솔직히 난 이럴 줄 알았어.
혼다 차들은(작년에 새로 나온 시빅빼고) 한동안 정체상태라
사람들이 점점 구매하지 않는건 당연한 일이야
 
 
gotme11
현대/기아차도 문제가 있겠지
하지만 외관도 더 좋고, 운전하기도 좋고, 보증도 좋아.
가격도 대체적으로 더 좋구
 
 
-OmegaKitty1
보증서 좋지. 
하지만 회사에서 제안하는게 쓰레기라면? 아무 의미없어
외관은 주관적인거니까 그렇다고 치고
운전하기 좋다고? 그건 절대 아님
 
 
-Miguelatom
난 현대/기아가 외관이 더 좋다고 절대 생각 안함
 
 
-uberdosage
혼다 외부 디자인은 특히 10세대 시빅이 사라지고나서부터 영혼없고 무미건조해.
여기 레딧 사람들이 "절제된" 스타일을 좋아하는건 알지만, 혼다 디자인은 너무너무 지루해.
그냥 '자동차네~' 이 느낌.
적어도 한국인들은 차 디자인도 흥미롭게 만들려고 노력하잖아
 
 
mynameismikeama
근데 여기 다들 왜 이렇게 날이 서 있어?
 
 
-Chinis_Flouwa
여기 레딧 애들은 현대/기아를 싫어하거든
 
 
chupacabra_chaser
거의 30년동안 한국보다 훨씬 더 잘나가던 일본의 자동차 제조회사 하나가
판매량이 밀려났다고 해서 혼다가 망하기라도 했다는거야?ㅋㅋㅋ
 
 
-youridv1
혼다는 지난 30년 중 20년동안 유럽에선 이미 끝난 상태였어.
미국에서 주춤하는 모습을 보는건 새로운 일이지만 다른 나라의 사례로 봤을때, 시간 문제일 뿐이었지.
오해는 하지마, 혼다는 내가 좋아하는 브랜드 중 하나이니까.
하지만 기아 피칸토만 해도 혼다가 서유럽에서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팔리고 있어.
20배 이상
 
 
nocturnalchickens
현대/기아차가 전 세계 대부분의 시장에서 혼다보다 많이 팔리고 있어.
이런 추세가 북미에서 나타나는게 그렇게 놀랄 일은 아니야.
 
 
-youridv1
바로 이거지.
미국에서는 새로운 일이지만 유럽에서는 지난 20년간 혼다가 시장점유율에서
지배적인 제조사는 아니었어.
 
 
Nomad624
오 잘됐네~
난 개인적으로 혼다를 더 좋아하지만 현대와 기아도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생각해.
 
 
cmz324
한국차들은 리콜과 보증문제때문에 이익을 깎아먹는것 같아
 
 
Suntzu_AU
호주에서 혼다는 말 그대로 이미 끝났어.
가장 저렴한 시빅이 35000달러정도야
 
 
02DroptopZ
놀랄 일도 아니네.
올해 초에 엄마가 새 차를 사신다고 해서 도와드렸는데
유일하게 현대/기아만 재고도 많고 문제가 없어보였어.
하지만 딜러들이 문제가 있어보여.
딜러 실력이 좋아지면 차를 훨씬 많이 팔 수 있을것같아. 
9월에 아버지가 GV70사는거 도와드리느라고 4명의 딜러와 만났는데 매번 좋지 않은 경험을 했어.
판매전략과 지식이 부족한것처럼 느껴지더라고
 
 
giganato
나라면 소나타를 타느니 혼다 어코드를 택하겠어
현대는 디자인이 정말 구려!
혼다 2.0 어코드 타본적 있어?
난 스팅어라면 모를까 절대 현대나 기아차는 사지 않을거야
 
 
meh092613
난 절대 현대/기아차 안살거야.
누가 알겠어? 엄청난 리콜이 또 다시 진행중일지
 
 
xdr01
난 현재 기아자동차를 소유하고 있고, 예전엔 내가 개조한 혼다 시빅 세단을 끌었었어.
나한테 현대/기아는 좋은 디자인과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시장점유율을 추구하던 90년대의 혼다같아.
지금의 혼다는 90년대의 GM처럼 디자인도 의심스럽고 비싸지..
난 요즘 혼다의 스타일링이 마음에 안들어.
90년대 혼다차가 더 우아하고 디자인도 심플했던것 같은데 지금은 그 반대야
 
 
japantrepreneur
우리 가족 대부분 몇 년동안 기아만 타다가 
다들 일본이나 독일차로 바꿨어...
직접 소유하고 몰아보면 좀 실망스러운가봐
 
 
JetsFanInDenver
혼다가 훨씬 우월하지
 
 
Dudesdoinwaht
많은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구식화되고있어
스즈키도 흥미로운 게 전혀 없고, 미쓰비시는 수년 전에 망했고
닛산은 천천히 수렁에 빠지고 있는 것 같고.. 혼다는 타입-R은 있지만 나머지는 그냥 그래..
도요타 야리스GR은 괜찮은데 그것도 점점 나머지처럼 되어가고 있지.
한국 차가 최고야
 
 
TenderfootGungi
한국차가 그냥 더 싸잖아
 
 
Ol_drty_basturd
그래도 후미등이 아닌 범퍼에 방향지시등이 있는건 
너무 위험하고 어리석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해
 
 
placeholder41
21년 동안 혼다 탔었는데 제네시스로 바꿨어.
다시는 혼다로 돌아가지 않을거야
물론 믿을만 한 브랜드긴 하지만 지루하고, 스타일도 없고, 소울도 없어
 
 
Aym310
요즘은 기아가 진짜 무서운 경쟁자야
 
 
Stabshimi
놀랍지도 않아.
다른 분야긴 하지만 삼성vs소니를 비교해봐
삼성도 예전엔 별로였다구
 




번역기자:위갓알리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일본의 유력 경제지 '주간 다이아몬드'가 신년 벽두에 일본 몰락에 관한 주제의 기사를 기고하였습니다. 7가지 이유로 일본 몰락이 가속되고 부유층은 일본을 떠나간다는 내용입니다. 변화하지 않는 일본에 경종을 울리기 위한 목적으로 쓰인 글로 보입니다.
다음은 보도 내용과 댓글 반응입니다. 
 
 
<일본언론 보도내용 >
일본을 버리기 시작한 부유층, 몰락한 일본을 덮친  7중고 (7重苦 )
 “주간 다이아몬드 ” 1월  15일 최신호의 첫번째 특집은  ‘일본침몰 . 일본을 버리는 부유층 ’이다 . 경제성장률 , 주가 상승률 , 교육 환경 , 엔화 구매력 , 재정 건전성······. 일본의 국제적 위상은 다양한 측면에서 추락하고 있다 . 부유층을 비롯해 정보에 민감한 사람들은 그런 일본을 버리기 시작했다 . 몸은 일본에 있으면서도 재산의 해외 도피를 가속화하고 있다 . 위기 상황을 알아채지 못하고 대응하지 않으면  ‘일본침몰 ’의 동반자가 될 수 있다 . (다이아몬드 편집부 부편집장 스즈키 다카히사 )
 
● ‘일본침몰 ’의 현실 직시로 일본 예찬 붐은 두 번 다시 오지 않을까 ?
 ‘이건 일본이 대단해 ’, ‘세계가 놀라워하는 일본 ’. 수년에 한 번 일본 예찬 붐이 돌아온다 . 일본의 훌륭함이나 외국에서 예찬하는 일본의 모습을 전하는 책과  TV프로그램이 일정한 주기로 인기를 끌어왔다 .
 
 이 현상은 일본인이 세계 속에서 자신감을 상실한 반증일지도 모른다 . 그리고 지금 일본 예찬 붐에 다시 취하지 못할 만큼 우리들은  ‘일본침몰 ’의 현실에 직면해 있다 .
 
 현재의 일본을 비추는  ‘거울 ’이 된 것이 코로나 19의 감염 확대이다 . 정부 지원금을 둘러싼 혼란과 원격 근무를 할 수 없는 직장환경 등 , ‘디지털 후진국 ’의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 일본은 지금  ‘7중고 ’로 격침되고 있다 .
 
(1) 과도한 재정지출 확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전 세계가 대규모 금융완화와 재정지출 확대에 나선 가운데 일본은 경제회복세에서 다른 나라에 크게 뒤처지고 있다 .
 
 세계 각국은 서서히 평상시 모드로 이행하면서 무제한 재정 지출을 중단하려 하고 있다 . 그러나 일본은 국내총생산 (GDP) 대비 세계 최악의 부채를 안고 있으면서도 , ‘퍼주기 비판 ’이 일 정도로 재정지출 확대를 계속해야 할 만큼 경제회복세가 미약하다 .
 
 금융정책에서도 세계 주요 중앙은행이 양적 완화 축소 (테이퍼링 )와 금리 인상을 결정하거나 논의를 본격화하는 가운데 , 일본은행은 그 흐름에 동참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
 
(2) 일본 주식시장 이탈
 이런 상황은 주가에도 반영되고 있다 . 미국 주식시장이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연일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는 가운데 , 부유층을 중심으로  ‘일본 주식시장 이탈 ’이 진행돼 , 일본 주식시장은 침체의 늪에 빠졌다 . 이것이 다시 일본 주식시장으로부터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
 
 미국의 첨단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최근  5년간  3배 가까이 상승했다 . 한편 같은 기간 일본 닛케이지수 상승률은  57%에 그쳤다 .
 
 미국 주식 블로거로 유명한 다파조 씨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일본 주식에 투자했던  15년과 비교해 작년 한 해 동안 미국 주식으로 벌어들인 금액이 크기 때문에 일본 주식에 투자한  15년을 돌려받고 싶을 정도입니다 (웃음 )”
이것이 부유층과 정보 민감도가 높은 투자가들의 거짓 없는 본심일 것이다.
 
(3) 금융소득 과세 강화
 이 현상에 박차를 가하듯 ,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금융소득 과세 강화 ’에 의지를 보이며  ‘기시다 쇼크 ’로 불리는 주가 급락을 초래하는 등 주식시장에 찬물을 끼얹었다 .
 그 후 기시다 총리의 입에서  ‘자사주 매입규제 발언 ’까지 튀어나온다 .
 
 자사주 매입의 규제를 요구한 입헌민주당의 오치아이 다카유키 중의원의 질문에 기시다 총리가 답변에 선 장면의 일이었다 . 기시다 총리는  “새로운 자본주의를 실현해 나갈 때 매우 중요한 포인트 ”라고 회답 . 획일적인 규제에는 신중한 자세를 보이면서도  “개별 기업의 사정을 배려한 , 예를 들면 가이드라인 같은 것은 생각할 수 없는가 ”라고 언급했다 .
 시장의 동요는 컸다 . 기시다 총리의 발언 뒤 , 닛케이지수는 하락 폭을 확대해 , 한때  300엔 넘게 하락 . ‘기시다 쇼크 시즌 2’라고 지적하는 목소리도 다수 있었다 .
 
 기시다 총리가 자사주매입 규제에도 집착한다면 , 부유층 재산을 비롯한 자금은 점점 더 일본을 버리게 될 것이다 .
 
(4) 나쁜 엔저
 또한 원재료와 에너지의 조달 비용 증가로 이어지는  ‘나쁜 엔저 ’에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
 
 2021년 코로나 위기로 하락한 통화로 꼽히는 것이 엔화와 원화인데 , 엔화는 원화보다도 하락률이 높고 , 선진  7개국 (G7) 통화로 한정하면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
 
(5) 자원고 스파이럴
 ‘나쁜 엔저 ’와  ‘자원고 (資源高 ) 스파이럴 (spiral, 물가·원가·임금·수익 등의 연쇄적 변동 )’이 겹치면서 스태그플레이션 (경기불황 속 물가 상승 ) 발생도 우려되고 있다 .
 
 그 우려는 표면화되고 있어  ‘싼 일본 ’의 상징 중 하나인 규동 (일본식 소고기덮밥 )을 제공해 온 대형 체인  3사가  2021년 잇따라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
 
 가격 인상의 대상은 규동만이 아니다 . 야마자키 제빵은  1월부터 식빵값을 평균  9.0% 인상했다 . 갈비도  1월  24일부터 순차적으로 감자칩 가격을  7~10% 정도 인상한다 . 햄 , 소시지도 마찬가지다 . 닛폰햄과 프리마햄이  2월부터 , 이토햄은  3월부터 가격을 인상한다 .
 
 가격 인상의 이유는 원재료와 에너지 가격의 급등이다 . 엔저가 거기에 박차를 가해 원재료 조달 및 물류 등 다양한 비용이 상승 . 상품가격에 반영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
 그러나 임금인상 없이 가격을 올리면 분명히 소비자는 허리띠를 졸라맬 것이다 . 소비자도 기업도 가난해지는  ‘가난대국 일본 ’의 발소리가 가까워지고 있다 .
 
(6) 탈탄소 지옥
 또한 환경부하 (環境負荷 )를 경감하라는 세계적인 조류 속에서 , 일본기업은  ‘탈탄소 지옥 ’이라고 불릴만한 새로운 부담증가에 직면해 있다 .
 
 기업의 경쟁력을 측정하는 기준이  ‘이익 ’에서  ‘탄소 ’로 . 탄소를 내보내는 비친환경 기업은 사업 참여 자격조차 얻지 못하는 상황이 현실화되고 있다 . 탄소를 줄이기 위한 노력 , 사업 모델 변경 , 탈탄소 위험 정보공개에 따른 사무 비용 증가···. 탈탄소가 일본기업에 큰 부담을 강요하고 있다 .
 
(7) 교육 후진국
 해외 유학이 제한되는 가운데 교육 후진국의 현실도 다시 부각되고 있다 .
 
 일례로 ,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가  2018년에  72개국·지역의  15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 (PISA 2018)의 데이터를 살펴보자 .
 
 이 조사에 따르면 일본의 아이들은 인터넷과 컴퓨터 사용 부문 대부분의 항목에서  OECD  평균을 밑돌았다 .
 
 특히 교육 현장에서 그것이 현저하게 드러났다 . ‘학교 밖에서 주  1~2회 이상 컴퓨터를 사용해 숙제를 한다 ’고 응답한 비율은 미국 , 영국 등 구미는  67% 이상 ,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이  50% 이상이었던 반면 , 일본의 학생은 불과  9%. OECD  회원국의 다른 국가와 큰 격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
 
 부유층을 비롯해 정보 민감도가 높은 사람들은 해외투자를 가속하는 등 이동이 제한되는 가운데서도 일본을 버리고 있다 . 지금이야말로 현실을 직시하지 않으면 일본침몰의 동반자가 될 수 있다 .
 
 
 
 
 
 
 
<댓글 반응 >
 
 
※ | 3541/242
노인과 비노동 인구 중심의 정책이 대부분이니까. 주민세 비과세세대가 우대받는 건 이해 불가 . 열심히 해도 보상받지 못하는 사회가 쇠퇴하는 건 당연해 .
 
 
tac***** | 2026/229
기사에 나온 항목 중에 바로 고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네요. 경제치 기시다 씨 , 금융소득 과세 강화로 일본 주식시장 이탈은 당신 탓입니다 . 저축으로 재우는 것보다 투자에 쓰는 편이 시장은 활성화됩니다 . 리스크를 감수하고 리턴을 얻은 사람 , 열심히 일한 사람에게 빼앗아 흩뿌리는 사회주의 같은 정책은 그만두세요 .
 
 
ing***** | 1358/132
나라의 기술력, 경제력의 가·감속은 큰 배와 같아서 천천히 전진하고 천천히 멈춥니다 . 30년 걸려서 떨어진 것은  30년에 걸쳐서 올릴 수밖에 없어요 . 이런 하강 트렌드를 상승 트렌드로 바꾸기 위해서 운동선수처럼 총력을 다해서 일과 공부를 한다면 , 올해부터 천천히 올라갈 테지만 실제로 그렇게 되지 않으니까 계속해서 떨어지게 될 것입니다 . 10년 뒤는 눈 뜨고 볼 수 없을 정도의 참상이 벌어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
 
 
aas***** | 893/68
일본의 몰락은 일본인의 질(質 )이 저하된 것이 가장 큰 이유 아닐까 .
일본을 망가뜨린 것은 정치가와 그들을 선택한 국민이다.
국민의 질이 떨어지면 그 대표인 정치가의 질도 떨어진다.
 
 
低脂肪牛乳 トースト好き  | 874/85
무엇보다 일본 정부가 긴축재정으로 일본 국내에 투자하지 않고, 한결같이 외국에만 투자하니까 이렇게 되는 것이다 . 일본 정부는 왜 자국 산업에 투자하지 않는가 ? 기초 재정수지 흑자화 목표라는 재정규율을 지키려고 경제성장에 필요한 투자를 삭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 그 결과 일본경제는 쇠퇴했다 . 자국 산업을 육성하지 않는 나라는 멸망할 것이다 .
 
 
buc***** | 668/78
단기적으로 코로나의 동향에 너무 좌우되고 있어요.
이제 감염자 수로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나 긴급사태선언을 하여 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 짓은 그만둡시다. 그렇지 않아도 일본경제는 위험한 상태인데 정말 끝장나 버릴 것입니다 .
 
 
kan***** | 613/62
역시 달러를 늘리고, 미국 투자신탁과 약간의 개인 주식을 늘린 게 정답이었다 .
연금이나 건강보험을 생각해 해외투자로 번 자금으로 일본에서 산다.
도망갈 수 없는 세대는 이 방법이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아이들은 해외로 진학해서 해외에서 취직하는 방향으로 생각했으면 한다.
30년간 엉망이었던 일본이었으니까 , 향후  30년도 엉망이겠지 .  
 
 
mus***** | 494/43
이것이 초보수적 섬나라 일본의 현실일까요. 과거 기술대국으로 칭송받으며 공격적이던 조직교육 활동의 모습은 어느새 컴플라이언스라는 이름의 느슨한 조직 육성으로 이어져 꼼짝달싹 못 하는 불편한 나라로 . 거기다 근면한 국민성이 더해져 딱딱하게 주변 시선을 신경 쓰면서 생활하고 . 하기야 열심히 하려고 해도 주변에 매를 맞을걸 ? 일본의 장래야 , 수고했어 !
 
 
bla***** | 498/54
일본이 이렇게 쇠퇴한 원인은 정치가의 질과 낮은 능력도 있지만, 국민의 기질도 원인이라고 생각해 . 쓸데없는 동조압력 , 생산성에 대한 낮은 의식 , 눈치보기 등···. 쇼와 시대는 인터넷도 없고 경쟁도 심하지 않은 국내에서의 경쟁이었지만 , 지금은 지구 전체의 경쟁이 되었는데 , 아직도 당시의 사고 패턴을 가지고 있는 일본이 이길 수 없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 아닌가 . 나도 일본의 미래에 희망은 없고 , 이런 나라에 언제까지 세금을 내는 것은 아깝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자금이 생기면 해외로 이주하고 싶어 .
 
 
lik***** | 337/27
기시다 총리는 소득 두 배 증가를 내세웠지만, 급여 소득자는 연 수입  850만엔 이상 증세이기 때문에 수입이 증가해도 가처분소득은 증가하지 않습니다 . 일하고 싶은 마음이 없어져요 . 비과세세대가 너무 우대받고 있어요 . 연 수입  1000만엔이 부자 ? 850만엔 이상 팍팍 증세하니까 중간층이 없어지는 게 아닐까요 ?
 
 
hmu***** | 239/15
일본은 일해서 많은 수입을 얻거나 리스크를 감수하고 투자해서 많은 리턴을 얻으면, 소득별 세금이라는 미사여구로 벌금처럼 세금을 떼갑니다 .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일하지 않도록 , 투자하지 않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밖에 생각할 수 없습니다 .
 
 
kot***** | 219/12
나는 부자는 아니지만, 이렇게 세계에서 뒤처지고 있는 일본에서 살고 싶지 않다고 진심으로 생각한다 . 국정을 맡은 정치가 중 경제의 프로가 한 명도 없어서일까 , 단순히 고령화 사회의 폐해일까 , 정말 희망을 찾을 수 없는 나라가 됐다 . 정보 약자인 고령자는 아직도 선진국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듯하다 . 이런 사람들이 정권을 잡고 경제계의 중진으로 자리 잡고 있으니까 좋아질 리가 없지 .
 
 
ryo***** | 215/13
제일 큰 문제는 교육이다. 컴퓨터를 만지냐 안 만지냐가 아니라 , 구세기형  ‘생각하지 않는 교육 ’이 원인이다 . 등교할 때에  ‘걸어도 좋은 곳 ’, ‘하교 시간 ’, 이런 것마저 뭐든 형태에 맞게 . 어떤 일이라도  ‘바른 방법 ’, ‘룰 ’이 제시되고 , 거기에 아이는 순종 . ‘학교에서 정해져 있어 ’라고 말하며 , 왜 ? 누가 ? 를 생각하지 않는다 . 공업생산품은 만들겠지만 , 지적재산인 디지털 상품은 이런 교육에서 나올 수 없다 .
 
 
sac***** | 254/24
특히 최근에 일본의 쇠퇴를 느낀다. 정말 활기를 느낄 수가 없다 . 코로나 관계없이 일본인의 웃는 얼굴 지수는 떨어졌다 . 수도권도 도심부를 벗어나면 고령자만이 눈에 띈다 . 주변에 학교가 없으면 , 젊은 사람이 없다 .
 
 
pot***** | 158/10
고령자 우대, 무슨 일이든 현상 유지 , 기득권 사수의 정책이 계속되는 한 , 앞으로도 일본의 추락은 가속될 것이다 . 투자자금과 인재가 점점 더 해외로 유출되어 잿더미가 되면 변할까 ?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이나 수도직하지진 , 후지산 분화가 발생하면 이 나라는 일어설 수 없는 거 아닌가 ?
 
 
kas***** | 162/16
지금 그대로라면 코로나의 영향도 있어서 위 기사처럼 될 가능성이 농후하네요. 정치 , 경제를 포함해서 우리들의 생활방식 , 생각 , 모든 걸 바꾸는 게 가능할까요 ? 그 정도 각오가 없으면 몰락일본이 되는 거죠 . 그래도 선진국 유지는 어렵습니다 . 많은 시간이 필요하겠죠 . 바꾸는 것을 싫어하는 국민이 되었으니까요 . 아픔도 수반되겠죠 . 젊은 사람들은 힘들겠어요 .
 
 
ken***** | 153/13
일본에서 장래가 평안한 것은 국회 혹은 지방 의원과 공무원 정도. 우리는 수입의 거의 절반을 세금으로 내도 어떤 지원도 메리트도 없다 . 일하지 않는 사람 , 재산이 없는 사람의 지원에 투입하는 현 상황을 생각하면 싫증이 나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
 
 
liz***** | 188/26
동일본대지진을 계기로 노력해서 지금 캐나다로 이주했습니다. 혼자라면 도쿄에서 즐겁게 지내겠지만 , 장래 아이를 가질 것을 생각하면 일본은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 부동산 가격의 상승은 멈추지 않고 , 인프라는 초라하고 , 상품도 서비스도 일본보다 질이 나쁩니다 . 그래도 장래의 불안이나 사회의 폐쇄감은 작아요 . 캐나다 추천합니다 .
 
 
qye***** | 146/11
쓸모없는 정치가. 오르지 않는 임금 . 할로윈 등으로 난리를 치는 젊은이들 .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대지진 . 음식점이나 숙박시설에 편중된 정부 지원금 . 불균형 인구집중 . 이웃 나라의 위협에 대해 공격을 할 수 없는 나라 , 나의 불만과 걱정 일곱 가지 .
 
 
shi***** | 210/35
아베 신조의 일본 예찬 정치 선전에 빠져 있던 사람은 그렇게 되지만, 냉정하게 일본을 바라보던 사람에겐 평범한 이야기일 뿐이다 . 정권의 장기화를 노린 선심이 정책의 중심에서 계속되었다 . 중장기적 시야에서 일본을 재건할 좋은 시기 .
 
 
lic***** | 138/13
결국 역사는 반복됩니다. 대포에 겨눠지고 위협받아서 겨우 변하고 , 잿더미가 되어서 겨우 변하는 것이 일본 . 일본은 머지않아 부활할 겁니다 . 쇠퇴했어도 선진국 수준의 사회가 유지되는 현시점과 비교할 수 없는 , 과거 패전과 같은 레벨의 바닥을 맛본 뒤일 것입니다 . 그렇게 될 때까지 근본적인 해결책을 피하고 문제를 미루는데 전념하는 것이 일본 사회의 역사이고 전통이니까요 .
 
 
tgy***** | 105/14
부유층이 아니라도 일본을 버리거나 단념하는 사람은 많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지금은 코로나 위기로 귀국하고 있지만 , 35세에 처음으로 상하이에 주재하였고 , 그 후 중국의 성장에 놀랐습니다 .  물론 일본의 좋은 점도 재차 인식했습니다 . 깨끗하고 치안이 좋으며 , 전철에서 줄 서서 승차하는 나라는 일본 정도입니다 .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경제력 저하와 엔화 약세는 해마다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 부유층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 일반 샐러리맨도 해외 전직은 검토해야 할 안건이라고 생각합니다 .
 
 
day***** | 74/4
10년 전에 현실을 직시하고 진정한 과제를 찾아내 손을 썼더라면 지금만큼 몰락하지 않았을 것이다 . 8년간 계속된 장기정권은 권력 유지가 최우선 . 정책이 잘되고 있는 것처럼 꾸며 권력유지에 걸림돌이 되는 불편함은 감추거나 속인 결과 몰락이 진행됐고 , 이제는 걷잡을 수 없게 됐다 . 부유층의 해외 이전은 세제의 메리트 확보가 목적이 아닌 , 몰락하는 중에도 끝없이 계속되는 잘못된 세금의 쓰임새에 대한 불신이 커서가 아닐까 ?
 
 
mut***** | 122/18
다음 세대를 위해서 이쯤에서 어떻게든 하강 트렌드를 반등시키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하면 좋을지 …
 
 
tai***** | 95/19
탈탄소는 기회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일본은 탄소 자원이 없고 , 반대로 지열이나 바다가 많으니까 자연에너지는 풍부합니다 . 정부가 의욕이 있으면 우위에 설 수 있겠지만 , 원전이 아니면 이권이 없기 때문에 의욕이 없는 것이 문제일 뿐입니다 .
 
 
uho***** | 72/14
어차피 글로벌화가 진행되면 살기 더 좋은 곳으로 이주하는 흐름은 변하지 않을 거야. 부유층이라면 더하겠지 . 아메리카로 이주하는 게 제일 좋겠지만 , 다른 나라로 가면 불행한가 하면 그렇지 않고 , 모든 국민이 이주할 수도 없어 . 경기가 좋아지면 다른 문제는 신경 쓰이지 않으니까 , 해야 할 일은 경기침체의 최대 원인인 저출산을 해결하는 일이야 . 모순되지만 , 고교 졸업 후 진학하지 않고 일하는 사람을 늘려야 해 . 저출산의 원인은 자녀 교육 기간의 장기화와 고비용화이기 때문이야 .
 
 
fjs***** | 57/8
일본에서 열심히 시간과 돈을 들여 상위 대학을 졸업하고 웬만한 회사에 취직해도 선진국과 비교해 절반~1/3  이하의 수입 . 능력이 있어도 인정받지 못하고 , 반대로 괴롭힘을 당하기도 한다 . 일본 특유의 쓸데없는 일을 강요당하고 , 노인 우대 정책으로 장래가 지금보다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 이런 생황은 부유층일수록 잘 이해하고 있어서 벌써 옛날에 손을 썼다 . 내 아이도 해외로의 탈출을 전제로 어릴 때부터 계획을 세워 놓았다 .
 
 
aki***** | 54/7
디지털화해도 그것을 추진해야 할 장관이 거의 다 아날로그입니다. 이러면 당연히 진행이 안 됩니다 . 그리고 코로나에 대해서도 재무성의 눈치를 보고 , 공명당의 눈치를 봐서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습니다 . 특히 기시다 씨는 그럭저럭 인기는 있는 것 같은데 , 그 본심은 자기 몸을 보전하는 것뿐입니다 . 앞으로 일본은 부자는 도망가고 ,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중산층과 곤궁한 사람에게 세금이 부과되는 도식이 될 것입니다 .
 
 
thk***** | 41/5
재벌 명문기업의 주가는 버블 때 최고치보다 낮은 주가로 수십 년을 서성거릴 뿐이지만 7~8년 전 산 미국 주식은 예외 없이  2~3배가 됐다 . 일본 기업은 명문기업을 포함해 자본주의 사회의 플레이어로서 완전 실격이다 . 일본인이 좋다고 하는 교육이나 입시에도 결함이 있다 . 결국 대기업에 들어가는  ‘일본에서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인재 ’도  ‘무난하고 상식적인 수재 ’일 뿐으로 외국을 흉내 내는 것은 잘하지만 새로운 것을 시작하는 발상도 용기도 없을 것이다 .
 
 
ky***** | 54/11
해외 도피에 성공한 부유층도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도피처 국가에 적응하지 못하고 지금보다 불편한 생활을 하고 있겠지? 기사를 보며 절망했지만 그것만으론 우울해지니까 , 우선은 조금이라도 일본이 좋아지도록 자기가 할 수 있는 일부터 시작합시다 .
 
 
mam  | 37/5
그런 건 훨씬 전부터잖아.
싸구려 기술의 해외 유출에 임금 정체, 고령화 문제 . 모든 것은 일본 자본가들의 이익 중시 경비 절감이나 임금이 저렴하기 때문 . 평균임금  400만엔으로 생활은 빠듯하고 , 코로나 위기로 인해 더욱 여유가 없어졌다 . 이런 일본에 매력은 없다 . 버블기부터 단물을 빨아온 자본가나 기업에 기생하는 정치가가 만든 결과이다 .
 
 
uraagusa  | 32/4
일본 언론이 일본 국민이 듣기 좋은 기사와 방송 프로그램을 절제 없이 선보여 온 탓에, 진실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일본이라는 나라가 눈도 마주치지 못할 만큼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 그러니까 우선 일본 미디어 자신이 깊은 반성을 표명해야 한다 .
 
 
kin  | 17/1
탈탄소나 교육 문제는 ‘유행에 휩쓸리지 않도록 하자 ’는 의견이 뿌리 깊다 . 보통 사람도 그런데 , 현상을 바꾸는 데 스트레스를 느끼는 당사자는 더욱더 그렇겠지 . 그래서 일본은 상대적으로 몰락해가는데 , 일본인 다수는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
 
 
jze***** | 24/3
2000년 전후로 시작된 공장의 중국 이전을 보고 , 고용의 대부분을 받아내던 공장이 없어지면 중산층을 잃고 일본은 쇠퇴할 것이라는 걸 바로 알았다 .
 
 
per***** | 46/11
최근 이런 위기감을 조성하는 기사가 많아졌네.
코로나도 그렇지만, 대중매체의 보도는 별로 믿지 않고 , 직접 정보를 조사해서 판단하도록 하고 있다 . 부유층은 돈이 궁하지 않으니까 오히려 치안이 좋은 일본에서 생활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데 . 일본에 생활 거점을 두고 해외에서 사업을 하면 돼 .
 
 
zzw***** | 35/10
(1) 과도한 재정지출 확대
걸림돌은 여기인 것 같아요. 정부 +일본은행의  ‘통합정부 ’로서의 재무 상황은 그리 나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게다가  GDP는 해마다 증가하는 것임을 고려하면 , 재정 지출이 확대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 지금은 코로나 위기로 특히 재정 지출이 확대되는 시기이죠 .
퍼주기 비판을 그만두고, 사용 용도가 적절하냐는 건설적인 논의를 하면 어떻겠습니까 ?
 
 
ktg***** | 26/6
지난 30년간의 정책은 서민이 가진 부의 과실을 부유층 , 기득권층에게 먹여주는 정책 .
정부는 30년간 일본이라는 국가의 부와 반대되는 정책을 펼쳐왔다 . 왜 그랬을까 ?
정부를 움직이고 있는 지배층이 부유층, 기득권층이며 부의 과실을 먹는 사람은 자기 자신이니까 .
 
 
mip***** | 8/1
일본은 경제가 발전하지 않으니까 국내에서 사업을 시작해도 돈을 벌지 못한다. 그래서 경제가 성장하고 있는 해외로 돈이 도망간다 . 그 결과 다른 나라는 경제가 발전하지만 , 일본은 국채를 마구 발행하기 때문에 빚만 늘어간다 .
러시아, 인도 , 북유럽 국가에서는  IT  시대가 올 것에 대비해 산수나 고도의 수학을 공부해왔다 . 일본은 발달장애나 등교 거부 , 통신제 고등학교 등 공부를 하지 못하는 쪽이 늘어만 간다 .
공부하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공부를 할 수 없다.
 
 
ヨビト | 9/0
의도적으로 약화한 결과가 비로소 눈에 보이는 형태가 되어, 새삼 언론이 들먹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
 
 
msr***** | 39/8
일본을 덮친 7중고가 아니라  8중고입니다 .
저출산 고령화
연금지급액 증가, 납세자 감소 , 소비세대 감소 , 돈과 상품이 움직이지 않음 , 지자체의 세입 감소 등 .
 
 
yhy***** | 7/1
처음으로 일본을 버린 것은 일본 정부와 대기업. 국내에서 자금 공급은 늘리면서 임금 인상에는 저항 . 금융자산을 가진 자는 윤택하지만 , 피고용자인 국민은 가난해지고 , 국내의 비사치품 소비는 시든다 . 국내시장이 작아져도 세계를 시장으로 만들 수 있는 대기업은 일본 시장을 버리고 세계로 나와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 어쨌든 남겨지는 쪽은 국내 서민층 .
 
 
※※※ | 9/1
부유층에게 일본은 물가도 싸고 먹을 것도 싼 천국입니다.
문제는 정치가죠. 자민당이 계속 집권하면 부유층은 도망갑니다 .
자민당의 집권이 수십 년간 계속되고 있습니다만, 정치가의 이권 , 관계기업 이외에는 거의 좋아진 게 없습니다 .
 
 
onu***** | 11/1
정치가의 질이 너무 나빠서 일본은 세계로부터 방치되고 말았다. 그런데도 아직도 정치인은 일하지 않고 , 권력투쟁에만 눈을 빛낸다 . 권력을 쥐고 제멋대로 굴며 , 나랏돈을 제 돈인 양 쓴다 . 이런 생각을 하는 정치인이 제대로 된 나라를 만들 수 있겠는가 .
특히 교육 후진국은 심각하다. 미래에 일본을 짊어질 인재가 이미 갈라파고스화되고 있다 . 과거의 문과 대신은 무엇을 한 것인가 ? 이쯤 되면 분노만 남는다 .
 
 
f5k***** | 2/1
이 기사는 일본이라는 가라앉고 있는 배에서 보트(자산 )를 가지고 있어서 빠져나갈 수 있는 부유층과 보트를 가지지 못한 대중을 말하는 것 같다 . 나라 힘의 기초는 인구이다 . 그래서 인구 대국은 경제가 활기를 띤다 . 하지만 일본은 인구가 많아도 생산성이 낮고 , 경제 정체로 인한 취직빙하기를 중심으로 혼인율도 저하되어 극단적인 인구감소가 초래되고 있다 .
 
 
明日があるさ | 1/0
아베 정권 이후의 정권이 말하고 있는 국민소득 배가나 엔저에 의한 물가 상승은 절대로 환영할 수 없다. 이제는 국내채무를 늘리는 것이 너무나 두렵다 .
 
 
cmx***** | 5/2
일본은 감세, 복지의 효율화 , 산업의 집약적 규모화로 에너지 절약국가로서 , 미·중의 하청으로 관광객 등을 부르면서 식량 자급률을 높여 수수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다 . 대국 행세를 하며 국내에 분수에 넘치는 것을 만들고 있을 때가 아니다 . 금융과세는 국제적으로 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지금 해도 의미가 없다 .
 
 
con***** | 18/3
금융이해도가 높은 부유층에 과세하고 세금을 납부하지 않는 연금 수급자나 생활보장대상자를 지키는 정책은 다수결 민주주의에 빠지는 악순환. 두뇌 노동자의 공적을 무시하는 일본은 자유 경제주의의 탈을 쓴 공산주의 국가 . 일해도 하지 않아도 생활이 보장된다면  ‘일하지 않는 편이 현명하다 ’는 것이 된다 .
 
 
過ぎたるは及ばざるが如し | 7/2
약간 극단적이지만, 장래의 엔저 위험을 생각하면 해외에서 투자하고 싶은 마음은 이해할 수 있다 .
일본은 정부가 막대한 빚이 있고, 정부의 자회사라고 일부에서 일컫는 (웃음 ) 일본은행은 금리를 올리기 어렵다 . 물가가 오르면 덩달아 오를 수 있으니 속마음 같아선 정부가 물가가 오르지 않았으면 하는 것일 수도 있다 .
 
 
殷紂王 | 2/0
해외기업에 투자하면 국내산업이 어떻게 되든 상관없으니까.
엔저가 되고 국내 물가가 오르지 않으면 풍족하게 살 수 있다. 부유한 사람과 돈이 있는 정치인들이 그것을 알아챈 것이다 . 보통의 나라라면 혁명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살 수 있으니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
 
 
sun***** | 40/10
지금 일본이 이 지경인 것은 그런 식으로 한 정치인을 낙선시키지 않은 국민들 때문이야.
‘노인을 우대하지 마 ’라고 생각했으면 노인을 상회하는 기세로 젊은이가 투표하러 가야 했다 .
하지만 젊은이는 그렇게 하지 않았기에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 그 정도의 일이다 .
 
 
audeamus  | 39/7
초보수 지역을 분리하고 싶을 정도.
전통이라든가 주저 등으로 스스로 혁신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현(일본의 지역 단위 ), 그것들이 발목을 잡고 있다 .
 
 
adb***** | 13/5
안타깝지만, 지적은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
만약 희망이 있다면, 이런 것은 상대평가니까 다른 나라가 몰락하면 일본도 살아남을 가능성이 있다 . 세계로부터 버림을 받는다는 것은 눈엣가시로 여겨져 발목을 잡힐 일도 없으니 살아남을 생각만 하자 . 




번역기자:푸른울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노구치 유키오라는 교수가 일본은 한국에게 G7 위치에서 자리를 빼앗기는 날이 올 수도 있다라는 말을 하였는데, 이에 대한 배경 및 이유를 인터뷰처럼 실는 형식으로 기사가 나왔습니다.  일본의 경제가 쇠퇴하는 원인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에 대한 기사내용 및 댓글 반응입니다.
 
<기사 내용>
“일본이 한국에게 G7 지위를 빼앗기는 날이 올 수도” 일본 석학의 고언
 
“일본은  20년 후에 경제규모에서 한국에 뒤쳐진다 ” “급여가 오르지 않는 일본과 오른 한국은 무엇이 다른가 ”
작년 12월  12일에 일본의  “겐다이 비지니스 ”와 토요 게이자이에 게제되었던 칼럼의 주제입니다 . 칼럼을 쓴 경제학자 노구치 유키오 히토바시 대학교 명예교수입니다 . 재무성 관료였던 노구치 교수는 일본 경제 , 금융 논리 분야의 석학이라고 불립니다 . 노구치 교수는 왜 연일 한국을 비교대상으로 한 내용으로 일본인의 마음을 자극하고 있을까요 . 작년  12월  29일 , 노구시 교수에게 줌으로 인터뷰를 진행 하였습니다 .
 
--- 일본 경제의 위기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한국의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인용하시고 있습니다 .
“이유가 있습니다 . 그 사이에 일본인은 한국을 경제적으로 일본보다 뒤쳐져 있는 나라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 하지만 , 한국은  1인당  GDP나 임금수준 등에서 일본을 이미 초월하거나 초월 하려고 합니다 . 많은 일본인이  “한국에 추월 당한다 ” 라는 것을 신경 쓰고 있습니다 .”
 
--- 실제로 , 한일 경제의 역전은 현실이 될 까요 .
“많은 지표에서 한국은 이미 일본을 추월하고 있습니다 . 실질 임금은 수년 전에 상회하였고 , 국제경쟁력 순위도 일본보다 상위에 있습니다 . 디지털화에 대해서는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 물론 선진국 기준이 되는  1인당  GDP에서 일본은 현재  4만달러 , 한국은  3만  1천달러 수준으로 일본이 높습니다 . 하지만 , 일본이  2000년부터  20년간  1.02배  (2% 상승 ) 성장한 것에 비해서 한국은  2.56배 성장하였습니다 . 이대로 간다면 수년 후에는 한국이 일본을 추월합니다 .”
 
--- 한국이 일본을 대신하여 주요  7개국  (G7)에 들어갈 지도 모른다라고 하셨습니다 .
“가능성이 있는 이야기 입니다 . G7는 선진국 그룹입니다 . 이런 이야기를 하자면 일본인은 싫어하지만 , 이 경향대로면  20년 후에는 일본이 명백하게 선진국이라 할 수 없는 나라가 될 것입니다 .” 일본의 경제적 지위가 추락한다는 예상은 노구치 교수 만의 주장이 아닙니다 . 일본 경제 신문 계열의 연구기관 , 일본경제 연구 센터는 지난 달 발표한  “아시아 경제 중기 예측 보고서 ”로 일본의  1 인당  GDP 가  2027 년에는 한국에 , 2028 년에는 대만에 추월 당한다고 예상 했습니다 . 이러한  “역전 ”이 일어난 이유는 , 일본의 낮은 노동생산성 때문이면서도 , 그 근거에는  “뒤떨어진 디지털 개혁 ” 부분이 있다고 같은 기관은 분석하였습니다 .
 
--- 일본경제가 이렇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
“침체 후 정체된 것은  1990년 중반부터 계속 되었습니다만 , 이 것을 가속시킨 것은  “아베노믹스 ”입니다 . 아베 신조 전 수상은 금융완화로 의도적인 엔저정책을 펼쳤습니다 . 엔화 가치가 떨어진다면 수출이 많은 기업의 이익은 늘어납니다 . 그렇지만 , 이러한 이익은 노동자의 임금 향상으로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 달러로 환산되는  GDP가 그렇다면 당연히 낮게 나옵니다 .”
 
--- 일본의 뒤떨어진 디지털화도 주요한 이유로 거론 되고 있습니다 .
“1970년대 까지 일본은 은행의  ATM을 개발하는 등 선진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 그렇지만 그 후에 , 인터넷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였습니다 . 문제는 조직적으로 의사소통이 막힌 수직적 행정 문화입니다 . 인터넷은 정보의 공유가 핵심이지만 , 그것이 되지 못했습니다 . 작년에 신종 코로나로 정부기관이  TV  회의를 하려고 했지만 , 각 부서가 독자의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불가능 했다 라는 농담과 같은 일화가 있습니다 .” 
도쿄대학교 응용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예일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노구치 교수는 경제 뿐 아니라 폭넓은 분야에서 100권 정도의 저서를 내고 있습니다 . 시간관리나 학습 방법을 다룬  “초정리법 , 공부법 ” 시리즈는  1990년대에 한국에서도 베스트 셀러가 되었습니다 . 특히 영어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책도 나오고 있습니다 .
 
--- 일본인의 영어 실력저하를 잘 짚고 있으시네요 .
“중요하니깐요 . 토플  ibt  점수를 본다면 한국은 영어를 공용어로서 사용하는 홍콩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 이것도 통화위기 이후 세계에 나가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라는 절박감이 사회전반에 공유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 일본은 아시아  29개국 중에  27위입니다 . 이러한 실력으로는 세계 무대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
 
--- 한국의 경제는 이대로 문제가 없을까요 .
“제조업의 비율이  30% 이상으로 높고 , 외부 수요  (외부 수출 ) 형 경제라는 점은 위험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 미중 경쟁과 신흥국의 부상도 있습니다 . 제조업의 비율이  10% 정도로 낮은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한 산업구조로 전환한 미국을 모델로 해야 합니다 . 또한 , 삼성 이외에도 전세계에서 인정받는 기업이 좀 더 나오지 않으면 안 됩니다 .”
 
--- 인구 문제도 심각할텐데요 ,,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는 장기적으로 성장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 일본의 젊은 이들 중에는  “한국과 같은 경쟁사회는 싫다 ”, “이대로가 좋다 ” 라는 사람이 많은데요 .
“이대로 좋을 리가 없지요 . 이대로라면 일본의 국력은 점점 저하하고 , 개인의 생활도 힘들어질 것은 명백합니다 . 지금 일본의 복지 분야에는 외국인 인력이 중요하지만 , 임금수준이 더 내려간다면 외국인 노동자는 일본이 아니라 한국이나 중국으로 가려고 할 것입니다 . 일본인에게  “위기의식을 가져라 ” “눈을 떠라 ” 라고 말하는 것이 나에게 주어진 임무라고 생각합니다 .”
 
 
 
 
 
 
 
<댓글 반응 >
 
 
nun***** |                        8100                    180
G7이 어떻게 성립하는 건지 전혀 모르겠지만 대체로 경제규모만으로 규정하는 거라면 왜 중국이 빠져있을까 ? (경제 규모에서 한국에 뒤져서  G7  자리에서 빠지는 거면 중국이 왜 저 안에 안 들어있는거냐고 비꼬는 뜻 ) 일본이 이대로 가면 안 된다는 점에는 동의함 .
 
  
miz***** |                           463                      10
G7의 틀은 나라로서 경제규모만 보고 정하는 것이 아니라 평화유지활동이나 도상국으로의 경제원조 등 국제적으로 공헌한 실적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그러한 점에서 본다면 한국보다도 호주 쪽이 압도적으로  G7  진입의 자격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han***** |                            277                       10
공산권 팀은 못 들어가는 거를 모르는건가? 당초 몇 년 후에 북한에 적화될 거라는 거는 모르나요 ? 뭐 그렇더라도 공산국가가 되는 거는 같지만 .
 
 
gdl***** |                              305                     11
동감입니다. 러시아가 그래서  G8에서 빠져버렸죠 . 과거에 .
 
 
素浪人 |                               184                        3
G7: 멤버는 세계 최대의 국제통화기금의 선진국이면서 가장 부유하 자유민주주의국가이면서 그룹에는 다원주의와 대의제정부라는 공통의 가치관에 기반한다고 공식적으로 조직되어 있기 때문에 중국은 들어갈 수 없다 .
 
 
tos***** |                               113                        2
처음부터 자유주의 경제국이 소련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경제공동체임. 그것이 안전정책 부문까지 확대 된 것이  G7이다 . 즉 , 단순히 경제력만으로는 가입할 수가 없다 . 러시아나 중국도  G7  가입에 대해서는 협의 되었었고 , 한 때에 러시아도 들어간  G8였던 시기가 있었다 . 그렇지만 , 러시아의 정치체제가 두드러지게 민주주의의 그것과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빠졌지 . 중국도 같은 모양이고 . 한국의 경우는 중국에 붙어있기 때문에 , G7  들어가는 거는 어려울 것 같은데 .
 
 
tn0***** |                             119                         4
중국은 왜 가입이 안 되는걸까, 러시아는 왜 배제되는 거고 영토분쟁을 안고 있는 나라는 새롭게 가입할 수 없지 . 의장국의 초대 자리라면 괜찮을 지도 모르겠지만 . 참고로 올해 의장국은 독일이고 , 내년 의장국은 일본임 .
 
 
ubi***** |                            104                              7
이대로 가는 것은 안 되는 건 확실하지만 G7의 존립 자체를 생각해본다면 일본이 빠질 일은 거의 없다 . 오히려 한국이 들어가는 것이 어렵다고 볼 수 있지 . 이유는 우선 한국의 지정학적인 불안정함 . 그리고 , 정치적인 안건에 대해서 일관적이니 못한 것이 일본과 연관 된 것에 있어서는 강경태도라 중국과 관여되어 있는 거라면 굉장히 관대해지기 때문에 신뢰를 할 수가 없다 .
 
 
ban***** |                            244                            13
중국에 제쳐질 때까지 GDP  세계  2위였던 일본이 왜 빠지는 거지 ?
 
 
del***** |                             84                              2
GDP도  1인당  GDP도 한국과 비슷한 위치에 있거나 이미 제쳐진 위치에 있는 이탈리아도 아직  G7로부터 탈락 안하고 있는데 . 일본이 제껴 진다는 걱정보다  (한국은 ) 인구가 절반 정도에  1인당  GDP도 크게 추월 당하고 , GDP에서도 곧 따라오는 최근 존재감을 보여주는 호주에게 제껴지는 것을 걱정하는 게 나을 거 같은데 .
 
 
mas***** |                             46                          3
이대로 가서는 안 된다는 점에는 동의함. 실제로 한국은 지금 원화가치가 떨어져서 한창 경제 파탄의 상태를 달리고 있는데 앞으로 일본을 추월한다는 점은 있을 수 없는 일이지 .
 
 
復活u68 |                                6                        2
식민지배 시절에 조선에서는 중화학공업은 북쪽에 집중하고 남쪽에는 주요 산업으로 농업과 경공업을 이루었기 때문에 1960년대 정도까지는 국력 , 경제력에서 한국은 북한보다도 밑이었다 . 한국은 박정희 정권이 출현하여 북한이 사회주의 특유의 정체에 빠졌던 것을 역전한 것을 유의해야 한다 . 그리고 , 일부 외국인들은 일본을 사회주의 국가를 보고 있는 것처럼 보는 것을 잊지 않는 것이 좋다 .
 
  
uho***** |                                3                         6
동북 아시아인 일본, 중국 , 대만 , 한국은 어디든 간에 고령화 국가가 되기 때문에  2100년가지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 경제 규모로 생각하면  G7에 아직 들어갈 자격이 있을 지 모르겠지만  G7  자체의 의미가 없어질 거 같은 느낌이 든다 .
 
 
復活u68 |                                  3                          11
일본의 사회주의적 요소는 제거하는 편이 좋다.
 
 
島民再教育大臣 |                             2                       23
G7  라는 건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다 . 일본인의 자기만족에 지나지 않다 .
중국의 GDP >G6,     중국의 공업 > 미국  + 일본  + 독일
 
 
vn_***** |                                   7                      87
하야시 외무대신이 작년 12월  G7  외교부 장관 회의에서 이란에 관한 문제로 미국 , 영국 , 프랑스 , 독일 , 이탈리아가 참가한 가운데 정보관리 상 참가를 할 수 없었다 . 전세계가 일본이 적화되고 있는 것을 인정하고 있어 ,..
 
 
gae***** |                                     120                  10
명확하게 말하죠. 예를 들어 말하시는 대로 입니다 . 지금처럼의 한국이라면 완전히 거리를 두고 싶습니다 . 이제 진절머리가 납니다 . WGIP  때문이다라고 생각하지만 , 나는 올바른 역사를 배우지 못했습니다 . 일본이 나빴다 라고 하는 역사입니다 . 반대로 한국은 일본을 무시하기 위해서 올바르지 않은 역사를 가르치고 한국의 역사연구자들에게 증거를 받아 거짓말을 지적당해도 한국은 수정하지 않습니다 . 그 교육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것입니다 . 거짓 역사를 가르치고 이웃 나라 (일본 )을 미워하는 교육을 계속하는 한 우리가 마음에서 화해하는 날은 오지 않을 겁니다 . 예를 들어 표면적으로는 화해를 해도 말이죠 .
 
 
 
hol***** |                       98                       5
한국이 G7이라고 ? 무리지 .
20년 후에 ? 한국이 남아있지도 않을 텐데 .
이탈리아가 빠질 가능성은 부정할 수 없지만, 대신한다고 해도  EU  권 내에서 다른 국가가 들어가겠지 . 중국 러시아 한국은 들어갈 일이 없다 .
 
 
mas***** |                        147                     10
한국의 생각 속에는 이미 캐나다와 이탈리아가 G7에서 빠져서 중국과 러시아가 들어간다고 생각하고 있으니까 그렇겠지 . 이렇게 말하면 좀 미안한 말이긴 하지만 .
 
 
c12***** |                        45                         3
20년 후에 한국이 존속 할 수 있을까 . 먼저 번에도  5년 째인  KTX  바퀴가 날라가서 탈선했다고 하던데 . 과거  20년간 일본의 신칸센이 탈선한 것은 니가타 지진과 구마모토 지진 때 뿐이었음 .
 
 
niw***** |                          47                       1
한국인들이 원하는 것대로 글을 써주는 사람을 찾아내서 특별하게 기사까지 쓰게 한 느낌인데. 이건 .
 
 
tak |                              19                        1
어딘가가 빠진다고 해도 일본이 1순위로 빠진다고는 생각하기 어렵고 , 새롭게 들어가는 나라가 있다고 해도 한국은 아니야 .
 
 
noh***** |                         21                         1
회원으로부터 빠진다 해도 다른 나라가 한국을 넣어주지 않을 걸. 쟤들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 나라이거든 .
 
 
mih***** |                              2                  0
일본이 자격이 안 된다면 이탈리아는 어떻게 되려나…..웃음 ..
 
 
hok***** |                                72                 2
G7은 경제 단체가 아니라 정치적 집단입니다 . 더욱이 국제적으로 신용이 없는 국가가 진짜  G7에 가입 가능하다고 진짜로 생각하면 한 번 병원에 가보는 편이 낫겠군요 .
 
 
sac***** |                                  15                1
히토바시 대학교의 교수 따위 (이 작가가 속해 있는 곳 ) 좌익인 이상한 인간들 밖에 없으니 어쩔 수 없어 .
 
 
mic***** |                                     920                33
늘어난다, 추월한다 라고 하기 보다 사회보장비용  (복지비용 )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이지 .
>한국의 고령화율은 앞으로 일본보다 더 높아지는 데요 ?
>한국에서 저출산 고령화의 속도가 빨라서  2045년이 되면 일본의 고령화율을 뛰어넘을 것이 예상 됩니다 . 이대로 라면 저출산 고령화가 계속된다면  2065년의 한국의 고령화 비율은  48.8%로 , 일본의  38.4%를 크게 웃돌 게 됩니다 .
>왜 한국의 고령화 빈곤율은 높을까요 ?
>한국의 고령자 빈곤율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높은 이유로는 공적연금  (국민연금 , 공무원 연금 , 군인연금 , 사학 연금 )이 지급면에 있어서 아직 발달되어 있지 않은 것이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2019년 현재 , 공적연금의 노령 연금의 수급 율  1은 약  53.2%로 , 아직 많은 고령자가 공적연금의 혜택을 받지 않는 상황입니다 . 전제로 남북통일 후에 , 북한의 고령자에게 연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 북한의 젊은 청년층이 노동력이 된다는 조건을 채울 필요가 있지요 .
 
 
nir***** |                             27                0
냉정하게 생각해본다면 G8이 되는 데 한국이 일본을 추월한다 는 발상에 기초한 논설로 말하자면 이거는 한국인들이 엄청 좋아하는 단골 기사지 . 그리고 영원히 실현되지 않는 이야기인거고 . 독일이나 영국에도 대적 못할 거라고 생각하는데 이 국가들보다도 강한 일본에 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 지 웃긴다 . 일본이 이대로 좋지 않다는 건 동의하는 데 , 재정파탄 할 국가는 일본이 분명히 일본이 아니지 .
 
 
bqj***** |                     38                        2
남북 통일을 해서 과거에 못 살던 시절로 돌아간다면 전혀 무섭지 않지. 그냥 살아가는 정도에 그치겠지만 …
 
 
msh***** |                             92                     7
일본의 미래도 절대 밝지는 않다고 생각하지만, 한국의 미래도 낙관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무엇보다 어느 나라로부터 신뢰받지 않는 한 , 아무리 경제적으로 발전해도 선진국이 절대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
 
 
kin***** |                              71                          5
일본이 경제부분에서 떨어지는 것은 예상이 되는 거지만, 지금 한국은 몇 십년 전 보다 풍요로워 졌지만 그만큼 문제도 많아서 아직 경제가 일본보다 위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 유명대학에 대기업에 취직하지 못하면 치킨집 사장 되는 나라잖아 ? 격차가 너무 커서 일본 이상으로 앞으로 고령화로 고생할 것 같다 .
 
 
ale***** |                              37                          1
1인당  GDP로 들 떠 있는 한국 , 1인당 랭킹에서  1위는 룩셈부르크 , 2위는 스위스 , 3위는 아일랜드 , 미국조차  5위지 , 경제에 있어서 세력을 떨치는 중국은  65위 . 실질적으로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국내총생산 , 국가 전체의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명목  GDP로는 일본은 세계  3위의 경제 대국 . 귀하는  11위인 것을 잊지 마세요 .
 
 
nuu***** |                           19                              1
G7이 선진국 정상회담 멤버를 가르키는 거라면 경제력은 관계 없는 거지 . 일본을 포함해서 기존의 회원이 전원 일치로 일본이 이탈하고 한국이 들어가는 것을 결의하지 않는 한 지위를 빼앗기는 일은 없지 . 단 , 일본의 경제력 저하나  IT화가 늦은 것은 사실이라서 어떻게 해야 한다 . 지금 일본의 정치인의 핵심이 시대에 떨어진 단카이 세대 뿐이라서 앞으로  20-30년 지나서 세대교체를 하지 않으면 어렵다고 생각한다 . (G7로서 명성을 지키는 것이 )
 
 
wmb***** |                        8                             1
한국의 월급이 오른 것은 법률로 강제적으로 올린 거이고 그 반동으로 실업자가 늘어나서 프랜차이즈 자영업인 치킨집이나 편의점, 카페 수가 넘쳐서 오히려 고객을 유치하려는 경쟁이 생겼고 경영자들의 저소득화  (개인 경영이라서 급여 산정 대상에도 들어가지 않음 ) 되어가고 있지 . 보이는 것 만의 최저임금 상승으로 실태는 지옥과 같이 되고 있는 거 같은데 . 뭐 , 일본도 헤이세이 시대를 통해서 급여의 상승률이 너무 낮아서 문제가 있지만 어떤 근거로  “국가의 쇠퇴 ”라고 보는 거야 ?
 
 
pha***** |                           4                         2
영어 능력이 가장 문제네. 만약에 영어가 어느정도 통하고 일본인이 돈 벌로 나가거나 국내에서 외자계 기업으로 취직하는 것이 쉽다면 여러 외국의 인플레에 영향 받아서 일본인들의 급여도 올랐을 텐데 . 수요와 공급의 관계로 만약에 일시적으로 일본인의 급여가 상대적으로 싸진다면 국외의 기업이 인건비가 싼 일본인을 고용하려고 했을 것이고 , 외자계에 사람이 간 만큼 노동자 인력의 공급이 줄어든 국내 기업은 급여를 올릴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 그런데 언어가 벽이 되어서 쇄국상태가 되었지 . 눈치를 채보니  1인당  GDP는 미국의 절반 정도가 되었다 .
 
 
bfl***** |                           16                    0
총 GDP
일본: 5조  397억 달러
한국: 1조  6382억 달러
1인당  GDP
일본: 4만  48달러
한국: 3만  1631달러
가계금융자산
일본: 1999조엔
한국: 460조엔
외환보유고
일본: 1조  4058억 달러
한국: 4639억 달러
대외 순자산
일본: 357조엔  (31년 연속 세계  1위 )
한국: 50조엔
출생률
일본: 1.34%
한국: 0.84% (세계 최악 )
나라의 기술수준을 나타내는 국제특허수지
일본: 3위
한국: 100위 이하로 기술 수입초과
2021  세계 금융 지수  (GFCI)
도쿄: 7위
서울: 16위
2021세계 소프트 파워 랭킹
일본 2위
한국 11위
 
 
nik***** |                        8                     8
한국과 비교해 이렇다 저렇다 하기 전에 일본은 버블경제기 이후에 지속적으로 기업들이 안 좋은 버릇을 가지도록 길들여왔다고 생각함. “경쟁력이 떨어진다 ” 라는 이유로 파견근로자(비정규직) 법을 완화하고 , 젊은 층을 싼 인건비에 쉽게 쓰고 버리도록 만들었다 . 서비스 잔업이라는 명목  (공짜로 야근 시키는 것 )으로 과로사 시킬 정도로 잔업을 가능하게 했다 . 기업의 노력 부족에 대한 것은 오로지 노동자를 싸게 마구 사용하고 버리는 방향으로 메꿔왔다 . 그 결과 , 젊은 이들은 피폐해지고 궁핍해져서 빙하기세대는 일본에서 마지막 거대인구 세대였음에도 출산은 커녕 자신의 목숨 부지하는 것도 힘들어져서 고령화가 엄청나게 가속화 되었다 . 생활보호자는 늘어났다 . 기업은 십 수년이나 안 좋은 관습 그대로 길들여져 왔기 때문에 근본적인 경쟁력  (체력 )이 붙지 않은 채로 지속해왔다 . 남녀 차별은 뿌리 깊고 , 바닥 싸움을 치열하게 한 한국에게 조차 젠더지수 순위에서 밀린다 . 확실히 이제 선진국으로 있을 수 없는 상태까지 왔다고 느낀다 . 그렇지만 솔직히 더 이상 어떻게 건드릴 수 없다고 느낌 . 20년 그 이전에 이걸 고치려고 했었다면 어떻게든 해결되었을텐데 …
 
 
mat***** |                      1                        3
진짜 이 교수가 말하는 그대로라고 생각한다. 필사적으로 반론하고 있는 사람은 왜 그러는 걸까 ? 여기서 말하는 거는 한국 얘기가 아니라 일본이 성장 안해도 좋다는 게 아니잖아 . 우선 현재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필요한데 , 여기 댓글들을 보면 그것 조차 쉽지 않다고 느껴지는구나 .
 
 
yu_***** |                         3                    0
금융업에 있어서 달러 결제가 가능한 은행이 1개도 없는  (게다가 주요  8개의 은행 중에  7개가 외국자본이 사실상 장악한 외자계 ) 한국이 어떻게 하면 일본을 제끼는건지 전 경제산업성 관료였고  “석학 ”이라고 하시는 노구치 씨  (이 글 쓴 사람 )이에 대해 당신에게 설명을 좀 듣고 싶네요 .
 
 
ocd***** |                           7                    7
그렇다면 어쩔 수 없는 것 아니겠는가.. G7  지위라는 거는 메리트가 있다고 해도 , 경제가 일본보다 발전한 한국이  G7  멤버로 바뀐다 해도 딱히 일본에 손해는 없을 텐데 . 실제로 , 일본 경제는 이미 약해졌고 , 이 상황을 만든 것은 지금의 경제계라고 말하는 인간들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지 .
 
 
ber***** |                         7324                 314
딱 “신종 코로나로  2020년 대졸자 취업률  61.6%..... 전년 대비  2.3% “하락 ” = 한국 ” 이라는 기사가 막 나왔었지 . 코로나 전에도  62.9% 밖에 안되고 , 20대의 실업률은  20% 대에 가깝다 . 많은 예측도 저출산 고령화로 한국은  GDP  순위를 떨어뜨리는 한 편 일본은 탑 10권 안을 계속해서 밟고 있는 채로 계속하고 있다 . 노구치 씨가 오래 사셔서  10년 후 , 20년 후 앞으로 어떻게 되어 가는 지 봐주시길 바랄게요 .
 
 
jpy***** |                          3212                 120
현재 미 일을 제외한 G5의 스케일을 보는 데 있어서 일본의 지위는 흔들림 없습니다 . 가정하는 논조의 이야기를 띄워 올리는 것이 아니라 증거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
 
 
emi***** |                         1529                   81
일본에게 개선해야 할 문제가 많은 것은 있지만, 한국의 임금이 높은 것은  “좌파정권이 최저임금을  30% 이상이나 올려버려서 생산성을 떨어뜨렸기 때문 ” 입니다 . 그 때문에 실업률도 올랐어요 . 일본의 저임금은 중국의 물가에 눌린 부분도 큽니다 . 아무래도 물가가 싼 중국제품과 경쟁을 하려면 임금 상승이 어려워 지니깐요 . 그래도 , 일본에서 물가 상승 하지 않은 원인은 일본정부가 계속해서 금융완화를 계속했기 때문입니다 . 제로 금리로 물가와 임금이 상승한다고 기대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
 
 
man***** |                        75                      4
ㄴ 말하시는 대로입니다. 거기에 더해서 한국의 경우는 , 하위  50%는 연봉  200만  (한화  2천만 )도 안 되는 계층이 있고 자산의 대부분도 상위  10%에 집중 되어 있고 말하자면 세련되지 않은 , 부실한 격차사회의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그렇다고 하지만 일본은 무능한 대기업 경영자들이 사내보유금을 돌려서 사원들에게 나눠 주지 않는 다는 문제점은 크게 남네요 .
 
 
k******* |                           10                  1
빅맥지수라든 지 이상한 지수로 조정하지 않고 단순히 연 수입을 비교하면 이렇게 됩니다.
일본의 평균수입 449만엔
한국의 평균 수입 332만엔
 
 
qpe*****                         13                     2
금융완화가 아니라 금융완화로 은행이나 중앙은행이 생산한 자본이 일본 국내가 아니라 해외로 흘러가는 것이 문제입니다. 달러의 붕괴  (특별회계의 그림자 . 절대로 팔 수 없는 미국 국채 )를 막아주는 것이 우리 나라  (일본 )입니다 .
= 미국 국채를 팔면 골로 가니까 팔 수 없다고 말하고 있는 겁니다 .
 
 
inf***** |                           592                   18
간단히 생각해봐도 음,,, 그럴 일은 없어 .
 
 
krd***** |                         11                       0
이 글 쓴 아저씨 일본이 G5  창설멤버라는 거 모르는 거 같은데 . 한국보다 오히려 인도를 넣는 편이 현실적이겠다 .
 
 
dec***** |                         253                     8
G7  가입 조건은  GDP가 아니지 . 그 지표가 가장 우선이 된다면 트럼프 전 대통령도 원했지만 중국이나 인도가 우선 들어가야 지 . 자유 민주주의가 전제가 된다면 한국보다 인도가 우선 참가를 해야지 . 국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경제 파트너가 되려면 기축통화에 준하는 강한 사용 빈도를 가지고 있는 통화 발행국이 아니면  G7  멤버에 들어갈 가치가 없잖아 . 한국의 금융은 국제적 영향력이 거의 없는 것에 가깝고 원은 극히 제한 된 지역에서 밖에 쓰지 않는 소프트한 통화의 전형이지 . 국제적 경제를 논할 자격이 한국에게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그리고 과거 러시아가 중간에 멤버에서 빠진 걸로 알 수 있듯이 안전보장 정책의 공유도 중요한 측면임 . 이 점에서 한국은 완성할 수 있겠어 ?
 
 
roy***** |                           0                        12
노구치 씨의 의견은 옳다. 많은 일본인의 지식층 , 특히 해외에서 근무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한국 , 중국 , 대만 경제의 혁신을 피부로 느꼈을 것이다 . 하지만 , 한국의 임금에 비교해 몇 년 전부터 일본이 임금이 낮아지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건지 무시를 하고 있다 . 
엔이 기축통화에서 빠져서 해외에서 환전 못하게 되었을 때 처음으로 일본의 국력이 저하되는 것을 느낄 정도 둔감하다. 
(이렇게 되기 전에 못 느끼고 이렇게 추락하고 나서야 느낄 거냐고 되묻는 의미입니다)
일본에서 새로운 기술 혁신에 의한 경제회복을 기대하지만 아베 노믹스의 계승을 원한다면 일본은 빠르게 G7 멤버 안에서 끌려 내려올 것이다 . 노구치씨의 의견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일본인들은 반대의견을 다수 펼 칠 거라고 예상되지만 그거 야 말로 일본의 글로벌화 , 경제의 쇠퇴를 상징하는 거다 . 많은 지당한 반론을 기대합니다 . 똑똑한 일본인의 출현도 기대합니다 .
=> 그렇지만 이 글에 대한 댓글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
 
 
mat***** |                            125                     9
우선 탈아론을 읽읍시다.




번역기자:Real블루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일본 칼럼기사에서 세계적으로 전기 자동차나 국산 자동차 제조가 증가하며 일본의 자동차 산업이 내몰리고 있고, 일본 가전 제품도 다른 나라에 매각되고 있으며 일본 반도체의 세계 점유율은 한 자리대로 하락해 2020년에 도시바는 LSI사업에서 철수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실패가 계속 어어지는 이유에 대해서 
 
 「실패」가 있을 때는 종래의 방법론이나 종래의 조직을 확 바꿔야 하지만, 이제까지 투입해온 인력이나 돈이 전부 「헛수고」였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 것이고 그런 굴욕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는 세력과의 싸움이 발발해서 조직이 기능부전에 빠지게 된다고 했습니다.
 
다음은 일본 칼럼기사 본문입니다.
야후재팬 반응은 따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칼럼기사 본문 >
「일본은 패배했다」라는 계열의 뉴스가 급증해도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의 "패배 패턴”
 
● 「일본은 절대로 지지 않는다 !」 라고 부르짖을수록 패배한다.
 
 
・『일본은「급속도로 힘을 잃었다」…한국, 대만, 중국에 패배하는 “유일하게 가장 무서운 원인”』(환동사 골드 온라인 11월 27일)
 
・『제왕이었던 「일본 반도체가」가 패배한 이유』(동양경제 온라인 12월 1일)
 
・『일본은 20년 후에 경제 규모에서 한국에게 뒤쳐진다-그 안타까운 이유는』(현대 비지니스 12월 12일)
 
・『관리직의 일한 급여 비교」 어떤 직종이든 큰 차이를 보이며 대패배한 현실』(프레지던트 온라인 12월 14일)
 
애국심 넘치는 분들 입장에서 이 같은 기사는 「일본을 폄하하고 싶어하는 반일 언론의 선동」이라 말하겠지만, 유감스럽게도 일본의 경제력, 기술력이 쇠퇴하고 있는 것은 여러 객관적 데이터가 말해 주고 있다.
 
일본이라는 나라는 이제까지 자신들에게 불리한 객관적 데이터를 부정하며 「일본은 절대 지지 않는다!」라고 부르짖으면 짖을수록 사태를 악화시키는 「패배자 패턴」을 반복해 왔다.
 
 
 
 
● 10년 전 「자동차 산업은 지지 않는다」 라고 외쳤던 사람들과, 지금의 현실
 
 
10년 정도 전에 리먼쇼크로 인해 세계적으로 자동차 판매수가 하락하거나 중국 등 해외로의 생산, 판매의 의존이 극단적으로 높아졌다라는 데이터를 근거로 일부 언론이 머지않아 일본의 자동차 메이커나 관련 산업은 꽤 심각한 환경에 내몰리게 되지 않을까, 라는 비관론이 이어졌다.
 
하지만, 애국심 넘치는 분들은 「언론은 일본이 망하는 스토리를 너무 사랑해서, 불안만을 부추기는 멍청이다」라며 코웃음 쳤다. 어느 연구자 분은 인터넷 미디어에서「일본의 자동차 부품은 절대 지지 않는다.」라고 선언하고, 세계적으로, 자동차 산업이 어쩔 수 없이 생산 축소를 해도 고품질의 일본계 부품 메이커에는 일이 잔뜩 흘러들어와 이제부터 일본 대활약의 시대가 올 것이다 라고까지 단언했다. 
 
그럼, 그로부터 10년동안 어떻게 되었을까.
 
세계적인 전기 자동차 (EV)시프트에 더해서, 중국 등 신흥국에서도 국산 자동차 메이커가 순조롭게 성장하여 일본의 주특기였던 자동차 산업은 궁지에 몰리고 있다. 
 
 
 
 
 
● 일본이 자랑하는 「가정용 전기 제품」도 정신 차려보니 매수되어 가는 상태
 
 
2000년대 전반, 하이얼 등 중국의 가전 제품 메이커가 해외 진출을 시작했을 때, 일부의 소비자는 「중국제?제대로 움직일 리가 없잖아?」라며 비웃었고, 저널리스트들도 「일본 메이커의 표절」이라며 완전히 같잖은 취급을 했다.
 
당시는 아직 중국이나 한국의 브랜드라도 그들 가전의 기간부품은 일본제를 사용하는 일이 많았다. 중요한 기술의 부품을 일본이 쥐고 있었기 때문에, 매출 등에서 중국제의 성장이 명확해지기 시작했을 때도 일본의 「불패신화」가 흔들리는 일은 없었다.
 
이렇게 천하태평하는 사이에 2012년에는 파나소닉이 하이얼에 산요전기의 세탁기, 냉장고 사업을 매각. 2016년에는 도시바가 가전 제품 사업을 마이디어 (중국)에게 매각, 하이얼이 미국 제너럴 일렉트로닉(GE)의 가전 사업을 매수했다. 또 2018년에는 도시바가 텔레비전 등 영상 사업을 하이센스 (중국)에 매각했다.
 
 
 
 
● 「일본의 반도체는 패배한다」 라는 28년 전의 경고를 무시해 왔다.
 
80년대, 기술・매상과 함께 세계 제일이었던 「히노마루 반도체」는 90년에 들어서자, 인텔 등 해외 메이커에 뒤쳐지기 시작했다. 93년에는 명문・도시바의 반도체 기술 연구 시스템 LSI 기술 개발부의 부장은 이렇게 서술했다.
 
「일본 기업은 한번 주문을 받으면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건 뛰어나지만, 독자의 제품 개발은 서투르다.그렇다면 살아남을 수 없다」 (닛케이 산업 신문 1993년 3월 29일)
 
현재 히노마루 반도체의 세계 점유율은 한 자리대로 하락해, 2020년에 도시바는 LSI사업에서 철수했다. 정부는 황급히 세계 최대기업 「TSMC」에 아첨을 하며 4000억엔의 세금을 건네고 구마모토에 공장을 건설시키고 있지만 여기서 개발되는 반도체는 10년 전의 기술이다. 대만 기업의 글로벌 전략에 이용되고 있을 뿐이고 「히노마루 반도체 부활」에는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 즉 28년 전에 도시바의 부장이 「예언」한 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 「뻔한 패배」로 향해간 일본
 
「실패」가 있을 때는 종래의 방법론이나 종래의 조직을 확 바꿔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수법이나 조직을 바꾼다는 것은 이제까지 투입해온 인력이나 돈이 전부 「헛수고」였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굴욕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는 세력과의 싸움이 발발해서 조직이 기능부전에 빠진다. 
 
그 대표적인 것이 딱 80년 전 이 시기에 일어났다. 그렇다 1941년 12월 7일에 시작된 태평양 전쟁이다.
 
이 전쟁은 시작되기 전 단계부터 「일본의 패배」가 정해져 있었다. 당시 미국의 석유 생산력은 일본의 700배, 육군의 「전쟁 경제 연구반」도 「대영미와의 경제 전력의 차이를 20:1」로 보고했다. 이 나라와 전쟁을 해도 참패한다 라는 것은 해군, 육군, 내각, 그리고 천황 폐하까지 공통의 인식이었다.
 
1941년 4월, 당시 일본의 젊은 앨리트 관료 등을 모아놓은 「총력전연구소」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관적, 과학적으로 분석해도 「일본 필시 패배」라는 결론은 변하지 않았다.  
 
하지만 8개월 후 일본은 전쟁을 시작한다. 
 
 
 
 
● 사회 전체의 「일본은 패배하지 않는다 !」의 절규가 전쟁으로
 
많은 국민은 이 당시 「미국에 본때를 보여 줘라!」 「왜 전쟁을 하지 않아!」라며 저자세의 정부나 군에게 불만을 느끼고 있었다. 그런 사회 분위기에 젊은 군인들도 좌우간 천황폐하에게 빨리 개전을 결단해 주길 원한다며 「밑」에서부터 압력을 넣었다. 전쟁의 회피를 주장하는 것은 「반일」이며, 「역적」이었다.
 
정부나 군의 간부, 앨리트들이 국력이나 자원등의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일본은 패배한다」라는 결론이,  「일본은 지지 않는다 !」 라는 사회전체의 절규에 의해 감쪽같이 사려져버린 결과가 대미전쟁의 개전인 것이다.
 
 
 
● 현장의 위기 의식을 중시하며…80년 전의 「패배 패턴」 에서 배워야 한다
 
현장의 최전선에서 지휘하는 리더들은 일찍이 「이대로는 일본이 진다」라는 위기 의식을 갖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어느새 침묵한다. 현장에서 떨어져 있는 전문가, 평론가, 그리고 저널리스트 등이 「일본은 지지 않는다」라며 부르짖기 시작한다. 애국심을 자극하는 주장이라서 여론도 지지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어느새 「패배」를 입에 담는 자는 매국노가 되고 「객관적인 데이터」는 무시당하며 다수의 문제를 뒤로 미룬 채 「패전」으로 향해간다. 이것을 80년간 반복해 온 결과가 지금의 일본이다.
 




번역기자:soyanari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삼성의 21년 실적  (매출 , 영업이익 ) 이 발표되었습니다 . 이에 대해 반도체 부문에서 호조에 힘입어 역대 최고의 실적을 낸 삼성의 성적에 대한 기사내용 및 일본 네티즌들의 댓글 반응입니다 .
 
<일본언론 보도내용>
삼성 2021년 영업이익 50조원, 반도체 호조로 영업이익 40% 증가
 
한국 삼성전자가 7일 발표한  2021년 연간 결산  (잠정 )은 영업이익이 전년 비  43.3% 증가인  51조  5700억원  (약  5조엔 )이 나왔습니다 . 연합 뉴스에 의하면 반도체부문이 예상 이상으로 호조로 스마트폰도 순풍 요인이 되었습니다 . 매출은  17.8% 증가한  279조  400억원으로 역대 최고입니다 .
 
  
 
 
 
 
 
<댓글 반응 >
 
 
 
dat***** |                              220                       30
이것이 현실이다. 일본인 , 일본기업들도 현실을 마주해서 반성할 것은 반성하고 보고 배울 것은 보고 배우지 않는다면 내일이 없다 .
 
 
aki***** |                             17                       1
버블 시절에서부터 보면 생각할 수 없을 정도의 격세지감.. 원래 일본이 차지 했어야 할 지위인데 …
 
 
親日派コリアン名 誉 回復法を可決せよ  |                          16                 30
일본이 반성해야 할 것은 세계대전 전이 아니라, 전쟁 이후의 역사야 . 왜 한국이나 중국 등의 적국이 여기까지 열심히 크도록 내버려 뒀는 가이다 . 진짜 일본정부는 지나치게 멍청하다 .
 
 
liv***** |                            180                     36
대단하네. 일본의 가전 브랜드를 한 묶음으로 묶어도 이길 수 없는 규모가 되었구나 . 반도체라는 건 나라의 지원의 차이가 크구나 .
 
 
ake***** |                           8                          14
삼성은 회장이 뇌물 혐의로 실형을 받고 있는데 대통령이 스스로 “국익을 위해 ” 라고 하면서 석방 해 버렸지 . 재판을 하는데 있어서도  “국민 감정에 좌우되는 법 ” 이 있고 , 이런 지원은 일본이 따라할 수 없는 거지 .
 
 
親日派コリアン名 誉 回復法を可決せよ  |                  11                     22
친한이나 친중파 좌익이 나란히 사회주의만 부르짖다 보니 이렇게 되어버렸다. 적국에 협력하는 항일분자를 일소해야 한다 .
 
 
cm9***** |                                           81                      7
TSMC와 삼성은 연간  2조엔  (한화  20조원 ) 이상이나 설비 투자를 하거든 . 반도체 최첨단 공장은 엄청 돈이 들고 , 가동하면 독점에 가까운 정도로 돈을 벌 수 있어 .
 
 
lve***** |                                               43                      2
대단하다. 일본은 반도체를 너무 과소평가 하고 있어 . 지금도 자동차 산업보다 시장규모가 더 크고 성장률도 엄청나지 . 그 반도체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삼성이 그야말로 강하구나 . 도요타 , SONY, NTT(한국으로 따지면  KT) 를 합쳐도 상대가 안 되는 규모구나 .
 
 
qns***** |                                            4                           14
뭔 잠꼬대 같은 말을 짖어 대는 거냐ww
IT  산업 관련 시장규모는  50조엔 , 자동차시장은  400조엔이란다 ww
 
 
q**p |                               4                      1
>뭔 잠꼬대 같은 말을 짖어 대는 거냐 ww
IT  산업 관련 시장규모는  50조엔 , 자동차시장은  400조엔다 ww
시장규모가 50조엔인 반도체 부족으로 자동차 브랜드의 납기 지연이 발생했지 . 규모의 문제가 아니라고 . 반도체가 없으면 자동차는 달리지도 못한단다 .
 
 
tyu***** |                               73                     15
삼성은 요 30년이상 전력으로 달려서 여기까지 성장했기 때문에  (일본의 브랜드에 비해 차이를 벌렸다 )  지금 삼성의 성장속도에 더욱 지금까지의 성장전력을 더해서  30년 후에 간신히 따라잡으려나 . 뭐 무리겠지 . 이미 반도체 분야에서 이기는 것은 무리다 .
 
 
gxw***** |                            76                        6
어떻게 일본기업은 사내보유금을 쌓아대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곳들 밖에 없을까. 이미 선진국 명함에서 일본은 빼는 게 맞다 .
 
 
mat***** |                              11                     2
일본기업이 “채산성이 없는 부문 ” 이라고 떼어냈던 분야에서 치고 올라와 여기까지 왔네요 . 그래도 이것도 일본의 단독 승리에 브레이크를 걸고 싶었던 미국의 간섭의 산물이기도 하네요 . 한국은 대기업에 집중된 집약화 , 격차가 증대되는 스타일로 세계를 선도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이것이 많은 국민들에게 있어서 플러스가 될 것인지 마이너스가 될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 다른 나라에서도 이런 흐름은 가속화 될 수 있지만 한국을 보면서 어떻게 할 것인지 도모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non**** |                              43                            6
아쉬운 느낌도 있지만, 경험상  PC  메모리 조차 삼성제가 가장 안정적이고 품질이 높은 느낌이 있다 . 일본은 나라가 나서서 강한 부분을 신장시켜 나가는 자세가 보이지 않네요 ..
 
 
 
cat***** |                              18                       4
# 댓글에는 엔화로 표기되어 있지만 이해하기 쉽게 한화로 표현하였습니다 .
일본 무역수지      8월         6조  4천억원  (적자 )
일본 무역수지      9월         6조  3천억원  (적자 )
일본 무역수지     10월         6800억원  (적자 )
일본 무역수지     11월         9조  6천억원  (적자 ) 
한국 무역수지     8월          1조  9천억원  (흑자 )
한국 무역수지     9월          10조  6800억원  (흑자 )
한국 무역수지     10월         6조  5천억원  (흑자 )
한국 무역수지     11월         3조  6천억원  (흑자 )
일본의 임금이 올라가지 않는다 라는 기사가 최근 많이 화제가 되고 있는데, 이렇게 수출경쟁력이 쇠퇴하고 있는 것도 그 원인 중 하나라고 봄 .
 
 
nwz***** |                       30                      34
후지쯔와 갤럭시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이 있다면 나는 갤럭시를 사겠습니다.
 
 
lev***** |                         14                      28
일본기업에 수업료 지불해야지.
 
 
g2u***** |                          44                     9
아버지, 넷우익 할배들이 얼굴이 아주 빨개지겠구나 이거를 보면 . 한국에게 일본이 밀린다는 현실을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나머지 영업이익은 의미가 없어 ! 숫자를 날조하고 있어 ! 라고 말하는 할배들 까지 나와서 웃기다 아주 .. 일본이 근본적인 통계수치를 몇 년이나  (8년 ) 계속 날조해오고 있는  3류의 날조국가라고 해서 다른 나라 기업도 똑같이 날조하고 있다고 생각 하는 건 큰 착각이니 멈춰라 .
 
 
mmk***** |                         11                  0
아호노믹스 (아베노믹스의  “아베 ”를 일본어  “xx” 로 바꿔서 일본인이 조롱할 때 쓰는 말입니다 ) 의 쿠로다  <일본은행 총재 >와 아베가 일본을 여기까지 지체시켰다 .
 
 
ohs***** |                          6                 4
니네 나라 이름을 삼성으로 바꾸는 게 낫지 않겠냐
 
 
素朴な疑問 |                         18                  3
지금은 “한국을 따라잡아 추월해야 하는 ” 시대가 된 것을 모두가 넓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 모든 분야에서 이렇다는 건 아닌데 이것이 시대의 흐름이다 . 몇 년 전인가 한국의 시골을 여행하면서 이 거를 강하게 느꼈다 .
 
 
kot***** |                               12                    13
기술 도둑의 위치에서 크게 된 것은 대단하구나. 단 , 일본이 좋을 대로 한국성장을 위해 사용만 되고 버려진 거 같아 꼴 불견이다 .
 
 
cyr***** |                               12                     0
ㄴ일본도 유럽에서 기술을 훔쳐서 발전했잖아요. 그거를 잘 개량해서 일본이 기술대국이 된 거죠 . 하지만 , 그것도 이제 과거의 일 …
 
 
nsa***** |                               12                    6
대한민국 만세 (직접 가타카나로 이렇게 썼네요 )
 
 
iam***** |                                69                 36
이러한 삼성도 무역상으로는 대일본 무역수지만큼은 엄청 적자라고. 물론 갤럭시가 안 팔린다는 게 아니라 일본에서 기초기술 품목  (소재 , 제조장치에서 중간부품까지 )을 대량으로 수입하고 있으니까 말야 . 뭐 , 힘내세요 .
 
 
kun***** |                         17                 4
ㄴ그거를 간단히 말하면 일본의 일류기업은 삼성의 하청이라는 거지?
 
 
YAH00!JAPAN |                       22              2
(iam에게 ) 베베 꼬인게 대단하구나 .
 
 
bujibufukwriri |                       47               4
영업이익이 소니의 5배 ! 반도체를 조악하게 취급해 온 일본에서는 이제 따라잡을 만한 회사가 없는 거 같네 .
 
 
shm***** |                          81                  27
삼성이 없으면 iphone은 물론  PS5도  Xperia(소니 스마트폰 )도 못 만들잖아 . 일본에 반도체 팔아줘서 고마워요 .
 
 
mas***** |                         43                     31
1조엔 이익을 낸 소니를 대단하다고 생각한 일본인들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har***** |                           20                     3
대단하네, 매우 호조라고 말하는 도요타와 소니를 합쳐도 못이기는 숫자 잖아 . 넷우익들이 아직 주장하는 대로 국교단절이라도 한다면 일본의 관련 회사들은 많이 파산해서 실업자는 수십만명으로 안 끝날 거야 . 부모님에게 이거를 말하면 실업자가 나와도 싫으니까 단절해야 한다 ! 라고 하더라 . 논리보다도 자신의 감정이 더 중요한 거 같다 .
 
 
covid-19 |                         4                       0
넷우익일 일본을 망친다는 것이 바로 이런 것입니다.
 
 
脅迫歌合戦 |                           49                     3
보수파 여러분, 언제쯤 되면  “한국경제의 붕괴 ”를 볼 수 있는 지 좀 알려 주실래요 ? (비꼬는 말 )
 
 
mrsk |                                   22                      4
삼성은 도쿄 올림픽 최대 스폰서 중 하나였죠. 야후에 댓글 달아대는 자칭 애국자 니들보다 일본에 더 공헌하고 있어 . 알겠냐 ?
 
 
kkw***** |                                 13                      1
포스코 인터내셔널의 약진은 일본 기업의 부진을 점점 두드러지게 할 것이다. 일본의 많은 사람은 한국보다 아직 일본이 기술력 , 경제력이 위라고 오해하고 있다 . 실제로는 일본의 경제파탄 쪽이 먼저 일어 날텐데 . 현실을 정부와 미디어는 숨기고 있지 . 앞으로 , 일본은 생활보호 대상자의 증가 , 연금자금의 고걸로 한 번에 폭삭 가라앉을 거라고 생각한다 . 이제야 말로 위기감을 가지고 국제경쟁력을 올립시다 . 기술자를 좀 소중히 여겨 육성하자고요 .
 
 
toc***** |                                   53                     9
갤럭시 시리즈도 처음에는 오류가 연달아 일어났지만, 요즘 것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잘 만들고 최고의 성능을 자랑하고 있고 , 섬세한 독자적인 성능에 있어서도 쓰기 편하다는 평가가 들린다 . 메모리 산업 같아도 삼성이 없어지면 골치아파질 뿐이고 한국은 기업을 잘 만든다 .
 
 
Copperman Sachs |                        119                         20
일본의 종합 전자 브랜드 한 묶음으로 묶어놔도 시가총액으로는 삼성에 못 이깁니다.
 
  
jin***** |                                  31                          1
한국 망한다! 망해요 ! 야호 !!!! 라고 쾌재를 불렀던 분들에게 ,,
산케이, 윌 , 하나다 등 ,, (혐한 잡지 및 언론들 )
1인당  GDP나 연간 수입 어느 쪽이든 이미 일본은 한국에 따라 잡혔답니다 ! 자 어쩌실 거에요 ??? 일본은 앞으로 어떻게 되는거죠 ????
 
 
fht***** |                                    45                        39
뭐가 어찌 됐든 한국제는 사지 않을 거다.
 
 
てん |                                       26                           3
일본에서는 삼성제품에 대해 익숙한 게 없지만 해외로 나가보면 진짜로 삼성 광고간판만 쫙 깔려있고 눈에 띄고 해외에 있는 가전제품 양판점 가면 그 매장에서 가장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게 삼성이야.
 
 
mrsk |                                       8                            2
2022년도 삼성붕괴는 거리가 먼 이야기 이군요 ..
 
 
man***** |                                  264                          97
일본은 도대체 언제쯤 되면 전략물자 수출을 정지할 건가. 확실히 일본은 꽤 싼 가격으로 한국에 제공해서 한국이 바가지를 씌우고 있는 구조이지 . 북한 미사일도 계속해서 순조롭게 발사되고 있고 , 이쯤 됐으면 적당히 남조선과 거래를 정지하자 .
 
 
covid-19 |                                     6                        0
삼성을 비웃던 인간들은 삼성을 보고 우는 것이 현실이 되었네.
 
 
qns***** |                                    63                      29
미즈호 은행(일본의  3대 대형 은행 중 하나 )에 융자한 돈 제대로 갚으세요 .
 
 
ssg***** |                                   34                      3
ㄴ 삼성 같은 우량고객에게 내 준 융자금 상환 같은 거 당하면 피해를 입는 것은 일본의 금융기관인데?
 
 
hyperactivity |                              25                          5
일본기업의 해외 영업을 더럽게 못하는 것! 진짜 열 받는다 . 한국과 중국의 교활함은 일본인에게 없는 것인가 .. 좀 교활해도 되지 않을까 . 아이돌 같은 것도 그렇지만 모든 분야에서 일본의 물건은 일본 내에서만 팔리더라도 괜찮다고 만족하고 있지 . 평생 그렇게 쇄국 마인드로 살아라 !
 
 
ゼーゼマン |                            8                            0
삼성 위기로 한국 경제 붕괴. 항상 이거 말하는 저널리스트 , 평론가 분들 뭐라고 말 좀 해봐요 .
 
 
curi***** |                               58                            35
그래도 삼성만 이익을 올리고 있다고 그렇게 생각되어진다. 그런데 , 한국 기업은 채무초과 상태이고 , 국민의 가계부채도 대폭 초과된 상태이다 . 니트 수는  OECD에서 최악에서  3위이고 , 고령자의 빈곤율도  OECD  최악이지 . 삼성에서 일하는 게 아니라면 인간이 아니게 되는  HELL  상황이지 . 그렇다고 하지만 일본으로 취직하러 오는 거는 안 왔으면 한다 .
 
 
xmx***** |                            6                     3
ㄴ삼성에 들어가도 엄청난 경쟁으로 40대에 구조조정 대상이 되지 . 어디에 가든 계속 지옥상태의 지속이지 .
 
 
bvh***** |                           11                     4
더 첨언하자면, 코스닥 상장기업의  20%는 이자 상환도 한계상태에 있는 기업들이지 .
 
 
mot***** |                             40                   20
곧 있으면 한국정부 달러 없어질 거니까, 삼성에게 빌려 달라고 달라 붙을 거야 아마 .
 
 
h_g***** |                               13                     24
한국을 못 믿겠다고 하는 X들은 , 어리숙한  X이지 .
 
 
rak***** |                               9                       11
이 회사를 이용해서 돈을 벌고 있는 쪽은 외국계 자본가들이지.
 




번역기자:Real블루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오전에 소개해드린 "日 칼럼 "일본제 반도체가 추락한 이유는? 한국에 인재 뺏겨" 일본 칼럼 기사에 대한 야후재패 ㄴ네티즌 반응입니다.
칼럼네용은 아래 링크 참조해 주세요. 
 
 
 
 
 
 
 
< 일본 야후 댓글 >
 
 
_******* | 1214/53
오히려 이런 문제를 품고 있으면서 
한때는 잘도 세계 탑이 될 수 있었네~라고 생각해 버렸어.
승패에 일희일비 하지만 말고 그 요인을 분석해서 
장기적인 전략을 세우는 게 가장 중요하다.
 
 
web***** | 820/14
「우수한 일본인 기술자를 후하게 대접하는 기업 의식의 심화」
결국 기술자에게 글로벌 수준의 보수를 내놓지 않는 기업 경영자가 나쁘다.
 
 
joc***** | 176/2
기술자, 연구자, 시스템・엔지니어, 프로그래머 등,
여러 나라에서는 충분한 보수를 얻고 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악평등이라고 말해야 하나. 
사무직 사원 등과 나란히 똑같은 급여밖에 지불 받지 못하고, 
그뿐 아니라 문과계열 사원이 더 출세하는 사회가 되었다. 
그 주변을 제정하지 않는 이상, 
기술대국, 제조대국으로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일본은 추락해 갈 것이다. 
그 때문에도 정부와 경영인의 의식개선이 필요하다.
 
 
kur***** |715/14
나라도 경영자도 돈에 인색하니까.
좋은 인간은 떠나고
그걸 옆에서 보고 있는 인간은 의욕을 잃는다.
파견이 늘어나고 있는 이 현상이 그렇다.
다만, 그것을 바랐던 것도 일본인이다.
극장형 정치*에 아무 생각도 없이 
즐기고 있으니 이런 상황이 된 거다.
*극장형 정치: 단순 명쾌한 캐치프레이즈를 내세우며 
언론을 통해 널리 대중에게 지지를 호소하는 포퓰리즘적 정치적 수법이다. 
일본에서는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대표적.
 
 
rnt ***** | 65/1
일본은 기술계 인재에게 차가우니까.
나도 화학계 기술직이었지만 그만뒀다.
숫자와 PC에는 강해서 어디서든 여유롭고
노동환경은 기술계보다 훨씬 좋다.
기술계 인재가 보다 좋은 환경으로 도망치는 것은
당연하다. 우수한 인재를 놓치고 싶지 않다면
그 나름의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치만 일본 기업은 아직 당분간
그렇게 되지는 않을 거 같다.
 
 
uch***** | 68/1
당시 삼성은, 일본에서는 생각할 수 없을 법한 거액 투자를 결단해서 
점유율을 뺏고 있었다.
역시 정부와 경영자의 힘이 가장 크다.
일본이 지금부터 쫓아가는 건 더욱 힘들 거다.
경영자와 정부가 쫄보여서, 글로벌화 되지 않는 건
30년 전과 변함없으니까.
 
 
poporo | 51/0
액정 텔레비전도 자동차도 철강도 그렇지만, 
반대편은 관리자 급인 기술자를 일본에 중기적으로 보내
기간공이나 하청공으로서 목표인 공장에 들어가게 하고, 
라인을 눈으로 제대로 보고 기억해, 그 후 멤버끼리 미팅을 해서 
정보를 정리하고 본국에 전해 카피를 시도한다.
그런 작업을 반복해 온 기반도 있으니까.
단순하게 일본 기업이 느슨한 거뿐이지만.
 
 
inakaoyaji12 | 39/0
20년 이상 전의 일을 그리워하거나 분해하는 게 잘못입니다. 
일본도 미국의 기술을 흉내내 자동차나 가전 산업을 늘렸습니다. 
그렇지만 미국은 차례차례로 새로운 산업을 탄생시켰어요. 
일본에는 GAFA나 테슬라 같이 새로운 발상이 없을 뿐이에요. 
자동차도 앞으로 1, 2년 안에 달려 있습니다. 다음을 탄생시켜야 합니다.
 
 
kei***** | 31/0
눈 앞의 이익을 추구한 나머지, 
제조 거점을 해외에 너무이전 시킨 결과라고 생각해.
튼히 국가 방침을 100년 단위로 책정하는 중국에는 감쪽같이 속은 꼴이다.  
민간 기업 경영자에게도 문제는 있지만, 
장기적인 국가상을 그리는 것에 실패한 정부는 몹시 반성할 필요가 있다.
 
 
zai***** | 36/2
일본은 일의 장기전략에 대해서 능력이 극히 떨어집니다. 
메이지 유신의 흐름을 그대로 유지했었다면 현재 상황과 같은 
쓸쓸한 현실은 없지 않았을까요. 기술도 중요하지만, 
소프트를 중시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지금부터라도 절대 늦지 않았다고 생각해요.
 
 
yfw***** | 29/2
일본의 반도체 산업의 쇠락의 원인은, 
USA로부터의 정치 압력이라고 들은 적이 있어요.
당시에 자주 있었던 무역 마찰이라는 녀석입니다.
반도체 산업을 지킬 수 없었던 정부가 있는 게 현재의 상황입니다.
 
 
cs2***** | 24/2
이 나라는 기술자에 대한 대우가 너무 낮다.
이 나라의 기업은 공평한 평가를 너무 목표로 하고 있어서 엉망이다. 
높은 성과에는 높은 대우를 준비하지 않으면 이 나라가 뒤떨어져 갈 수밖에 없다.
 
 
kaz | 35/2
가전→반도체→※자동차→※2차 전지(지금여기)로
일본인 기술자가 중국, 한국, 유럽에 유출하고 있군요.
슬슬※30~50대의 기술자(빙하기 세대)가
계속 유출하고 있는 배경(노동자 파견법)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지금의 전세계 EV는 거의 닛산 자동차의 표절
 
 
kmb***** | 4/0
회사・나라가 나쁘다는 기사가 많습니다만 여론이 선도하고 있었습니다. 
선행 투자에 대해 언론은 비판했어요. 당시는 경기가 나빠서 
회사는 정리해야 한다고 닛케이 등이 대대적으로 선언한 결과, 
노동자는 정리하는 것을 찬미했습니다. 
닛산 자동차처럼 힘이 없어지기 시작하고 있지만요.....
그때야말로 투자해야 했지만...
 
 
gks***** | 10/0
정치로서의 국가로서의 전략관이 없는 채로,
눈 앞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본질인 경제계의 표와 돈에 
찰싹 유착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됐습니다.
지금의 정치가 중에 10년 후 미래의 일본을 말할 수 있는 자는 거의 없겠죠. 
그걸 눈여겨 볼 수 있는 새로운 세대의 정치가가 나타나지 않는 한, 
이 나라는 세계의 미끼로 전락할 겁니다.
 
 
cex***** | 13/4
반도체는 기본적으로 개발 자금력이 큰 곳이 지속적으로 이기기 쉽다.
세계가 반도체를 필요로 하는 흐름을 받아들일지, 
국내 시장에서의 이익이 좋기 때문에 거기서 머물을지로 
형세가 변했다고 생각해. 인텔이나 삼성 등처럼 팔 수 있을 만큼 팔아서, 
일절 정체되지 않고 초거대 기업이 되어 이익을 얻고 개발 자금으로 충당하는 게 중요했다고 생각해.
 
 
oka***** | 7/0
어느 나라든 존재하는 스파이 방지법을 빨리 제정해야 한다.
이전 야당의 맹반대로 성립하지 않았기 때문에
늦은 감은 있지만 더 이상 이대로는 안 된다...
아무리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서 기술 개발을 해도
그 정보가 아무렇게나 유출된다면 의미가 없다.
 
 
shinnchakumessage | 2/0
일본 경제 쇠락의 최대 요인은 경영진의 샐러리맨화이지 않을까요. 
과거의 나는 새도 떨어트릴 기세의 시대에는
많은 기업인이 성공이냐 실패냐로 사업을 개척했지만
지금의 경영자는 안 잘리는 게 우선이고 정년까지 무사히 근무할 수 있는 걸 
생각하는 자가 많은 거 같아요. 이대로 경제가 쇠퇴해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bho***** | 9/0
어느 시대이든 인재를 소중히 해야 하죠.
역시 「사람 돌담, 사람은 성」입니다.
여러 회사에서도 사람을 소중히 여기는 회사는
실적이 늘어 안정적이에요.
 
 
ter***** | 3/2
이만큼 언론이나 야당이, 나라나 정부를 비판하면
나라를 위해서 열심히 하려는 마음이 시들고,
국가 공무원이 될 사람이 적어진 것도 같다고 생각해요.
중국이나  북한 같은 애국 교육이 아니라 
나, 가족, 살고 있는 곳을 소중히 여기고 그 끝에 나라가 있다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tko***** | 7/1
반도체만 그런 게 아니라
현재의 일본 기업은 「취직난 시대」의 층이 극단으로
얇아, 후계자가 적은 게 문제예요. 또, 그 시대에
재구축 되는 사람도 많아 기술도 스스로 손을 놓아버렸단 
느낌이 지워지지 않습니다.
인재를 가볍게 본 결과가 오고 있습니다.
 
 
job***** | 6/0
대체로 중국, 한국으로의 투자를 추진하는 정치가 집단의 알선이 대단했네. 
그리고 기술 공여를 정치가가 멋대로 결정한다. 
20년 정도 전부터 민간은 중국 리스크에 위기감을 가지고 있었지만 
정치가나 경단련은 좋은 얘기만 하고 있었지.
 
 
kad***** | 2/0
주주는 장기적 시점에서 보지 않는다.
단기의 매상량밖에 평가하지 않는다.
기술가는 평생 평가받지 못하고, 
경영자 층에는 거의 들어갈 수 없다.
그것이 지금의 결과고, 이 현업을 모두가 알고 있어도 
개선에 관한 얘기는 듣지 않는다.
해외로 갈 수밖에 없다.
 
 
oct***** | 1/0
빨리 해고해야 하는 건 단카이 세대(48년~베이비붐 세대)와 그 세대의 중역들이죠. 사원, 기술자를 자른 건 커다란 실수예요.
그 책임을 현역 세대에게 강요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cky***** | 4/2
우선은 나라의 법정비를 해라.
아무리 기업이 노력해서 새로운 기술을 손에 넣어도
똑같은 일이 될 거다. 스파이 방지법이나 법률의 엄벌화 등, 
항상 나라가 국민의 발을 잡고 있다.
 
 
わに***** |0/0
정치가는 이런 상황에서 제대로 1위를 지향할 수 있도록 법을 만들고, 
좀 더 야심을 드러내는 일을 해주길 바란다.
 
 
tas***** | 1/0
수수께끼의 일미 반도체 협정이 출발점이지 않을까.
결국 미국이 일본의 급성장에 경계심을 강화하여,
압력을 넣은 것이다. 
이 시기의 플라자 합의도 일본을 돈적인 면에서 짓누르
려고한 미국의 압력이다. 일본의 정치가도 관료도 
미국을 신경 쓰지 않고 일본을 잘 성장 시켜가는 방법을
생각해 주길 바란다.
 
 
chi***** | 3/1
기업의 경영방침인지, 설비투자와 인건비의 균형이 
설비측으로 편중된 느낌이 있어. 하청, 파견으로 이익이 나올 때에도, 
기업은 환원하지 않는다. 그러한 기업 체질은 지금의 동일노동, 동일임금과는 거리가 멀다.
 
 
wor***** | 2/0
반도체는 특허 기술만으로 만들어져 있을 리가 없고
제조의 노하우도 상당히 포함됩니다.
그걸 경영자가 모르고 기술 유출을 하는 
부분도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특허가 되는 기술은 알아도, 노하우를 몰라서 기술자를 원하는 거니까요.
 
 
set***** | 9/0
일본의 외교 능력의 낮음, 경영진의 센스가 없음이네.
기술자의 능력은 높은데, 의욕은 없어지고
해외에 스카웃 당하지.
게다가 불경기라며 지금의 40대부터 50대 전후의 
고용을 멈춘 것이, 앞으로 보디 블로처럼 효과가 나타날 거다.
 
 
hoge**** | 3/0
기술계는 급여가 싸서 어쩔 수 없다.
특히 현장에 가까운 기술자가 그렇다.
할 수만 있다면 한국, 중국으로 가는 사람은 많을 거다.
결국은 사회의 문제야. 
관리자만이 득을 보고 현장의 기술자는 손해를 입는다. 
없어지면 곤란한 인물 리스트를 모조리, 관리자 이상으로 후한 대접을 해야할 것이다.
 
 
kukukuku | 6/0
뭐든 현장을 모르는 사람이 권력을 쥐는 지금의 일본 사회 구조가 나쁘다. 
관민도 똑같고,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의 의견을 흡수하는 제도가 확립되지 않고, 제멋대로인 지시로 피폐해졌고, 파견이나 알바에게 푼돈으로 중책을 맡기고 있다.
 
 
gar***** | 1/0
일본은 다양한 것들을 너무 밖에 내보내는 거 같아. 
애니메이션 기술도 그렇다.
이익 중시로 밖으로 나간 기업은, 일본과는 사람이 다르다는 것과 유출될 거라는 걸 상정했었을까?
 
 
aki***** | 1/1
도요타, 소니, 히타치, 도시바, 파나소닉 등등
저렴하게 구매하지 말고 비싸더라도 질이 높은 일본의
반도체를 계속 구입하는 것. 
기반 산업과 일체화하여 완성품을 만드는 산업 구조 변환이 필요하다.
 
 
mpy***** | 2/0
자원이 없는 일본에는 기술밖에 없다.
그게 없어지면 나라는 망한다.
어릴 때부터 들어온 말이다.
자식이나 손자가 미래에, 일본인이라는 사실을 
자랑스러워 할 수 있을까.
 
 
tid***** | 6/1
일본의 에너지 자급률, 식량 자급률,
반도체 자급률과 함께 국가존망의 위기다.
해외로부터 공급이 끊긴다면 끝장이다.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건 물러터진 거다.
그만큼 일본이 취약하다는 증거다.
 
 
nec***** | 1/0
아마 90년대에 기술자들을 퇴직시킨 사람들도
지금은 싸구려 연금 생활을 하겠지...
일본이 계속 기술 입국이었다면 연금도 퇴직금도 
조금 높았을 텐데... 지금은 관광산업인가...
좀 더 지나면 유흥산업을 할 수밖에 없어질지도....
 
 
mit***** | 1/0
일본 기업에서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없다.
엔지니어의 지위가 낮고 특정 분야에서 성과를 남긴 
엔지니어가 타분야의 관리직으로 이동되어 버린다.
그런데 외국에서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호대우 제공이 있다면 
날아서 갈 사람이 많을 것이다.
 
 
nak***** | 9/0
일본국에 명쾌한 비젼이 없어서야.
반도체만이 아니라, 가전도 자동차도 같은 길을 가고 있어. 
타국의 모범이 되는 산업도 없고, 식량이나 에너지도 자급할 수 없고, 
이 나라는 어떻게 살아갈까? 정말 걱정이다.
 
 
ym | 2/0
일본 기업과 외국 기업에 근무해 보고 느끼는 건
일본 기업은 인간관계가 중시되고, 
그걸로 출세나 급여가 결정될 확률이 높은 거 같다.
 
 
tik***** | 9/1
인재 유출만이 원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한국도 중국도 실패로부터 배워서 성공했어요.
한편 일본은 기술의 자만심과 교만함이 있었다고 생각해요.
 
 
miz***** | 3/1
엘피다의 사카모토 전 사장의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반도체 업계는 여러가지로 어두운 면이 깊은 거 같아요.
어떻게 하면 세계에서 모난 돌이 되지 않고 끝날까요.
일본의 영원한 과제이죠.
 
 
mak***** | 4/1
가전이 쇠락한 것은 중국・한국에 해외 지원이라 칭하며 
낡은 제도 설비를 무상으로 양보하거나, 그것과 함께 제조기술을 무상으로 가르쳤으니까. 일본은 아직까지도 기술을 간단하게 가르쳐 주는 기업이 너무 많다.
 
 
***sw31u*** | 2/0
이 문제도 포함해, 정부는
시급히 「경제안보법」의 안전한 법률을 책정하길 바랍니다.
과거는 어쩔 수 없어요.
 
 
qdl***** | 1/0
일본이라는 나라가 간당간당하게 부유한 나라가 되어 
빈부의 격차가 적은 공산주의적 사회가 되어버렸으니까.
게다가 지금도 그걸 바라고 있지.
 
 
qww***** | 2/0
기업의 경영자는 선배들이 가꾼 기술이나 저금을 탕진 하기만 한 느낌이 들어.
늘리려고는 하지 않고 조금씩 조금씩 소비해서
정신을 차리고 보니 아무것도 안 남았던 거지.
 
 
mal***** | 6/0
일본의 기업은 이익추구를 우선하고, 사람을 소중히 하지 않아서 
인재 유출이 되어버렸군요.
 
 
jct***** | 1/0
모든 분야에서, 우수한 인재가 일본에서 나가고 있습니다.
반대로 일본에는 치안이 나쁜 나라의 이민이나 
값싼 단순 노동자를 대량으로 집어넣고 있어요. 
그 이유가 놀라운데 임금이 싼 사람이 부족해서 라고 하더라고요. 
이제까지 몇 십년간 정치는 뭘하고 있던 걸까요?
 
 
kou***** | 3/0
회사의 가치는 기술이라는 걸 깨닫지 못하는 
경영자뿐이라서 당연한 결과네요. 
정치도 그렇지만 기업도 자신에게 가까운 친구들을 등용하여 
조직하는 한 변하지 않죠.




번역기자:soyanari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일본 칼럼 기사에서 일본의 반도체가 추락한 이유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 
아래는 일본의 칼럼 기사 본문입니다 .
칼럼내용이 다소 장문이라 칼럼내용과 반응 각각 따로 소개해 드리겠으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칼럼 기사 본문> 
인재 유출로 기술이 중국 , 한국에 유출 ...「일본제 반도체」가 추락한 이유는?
 
예전에는 초고성능이었던 일본제 반도체가 자동차 , 가전부터 무기에까지 이용되어 , 세계 점유율의  50%를 차지했지만 , 지금은  10% 이하다 . 「히노마루 반도체」는 어찌하여 추락했나 . 그 이유와 앞으로의 전망을 저널리스트인 야마무라 아키요시 씨가 보고했다 .
  
「완전 복구될 전망은 아직 보이지 않습니다 . 신형 코로나로 베트남 등에서의 부품 공급이 늦어지는 복합적인 원인도 있습니다만 , 반도체 부족도 원인입니다 .」
  
이번의 반도체 부족은 온수기뿐만 아니라 , 에어컨 등의 가전 , 게임기 , 자동차 등에도 영향이 퍼져나가고 있다 . 특히 염려되는 것은 일본의 기간 산업인 자동차 업계다 .
  
  
 
■ 「제 2의 오일쇼크」
최근 국내의 반도체 부족은 「제  2 의 오일쇼크에 가깝다」라고 걱정하는 소리가 나올만큼 심각하다 . 하지만 반도체 부족의 원인을 특정하는 건 간단하지 않다 . 그건 반도체 공정의 복잡한 제조 공정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
 
IC 제품으로써의 반도체는 물리적으로는 전자 회로를 기판 위에 집중시킨 「집적 회로」(칩 )이다 .
 
한편 기능적으로는 출입력 , 연산 , 제어 , 기억 , 증폭 , 통신 등의 많은 용도로 사용 가능한 「빅데이터의 집적 수단」이 된다 .
 
게다가 일반적인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를 보면 크게 말해 설계후 , 실리콘 웨이퍼에 회로를 만들어 집어넣는 「전 공정」과 , 웨이퍼 칩을 잘라내어 , 포장해서 장치하는 「후 공정」의  2 공정으로 성립되어 있다 .
 
 
 
■ 일본 고유의 근본적인 문제이지 않을까
각 공정이나 종류마다 「반도체 부족의 원인」을 말하는 것은 어렵지만 , 실은 그 근본에는  일본 고유의 근본적인 구조 문제가 존재했다 .
 
반도체 제품을 관장하는 , 경제산업성 정보산업과의 니시카와 카즈미 과장이 말하다 .
 
「이번 국내 반도체 부족에는 , 제도적인 이유와 실태적인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제도적인 이유는 , 주로 국내외의 반도체 서플라이 체인 (공급망 )이 없어진 것 . 실태적으로는 파워 반도체나 레거시 반도체의 부족 등으로  “panic buy”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 지금 자동차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반도체 부족은 최종 제품의 반도체  부족이라 하기보다도 전체의 수급 차이가 원인인 것입니다 .」
 
즉 , 일본 국내의 반도체에 수요를 채울 만큼의 공급력이 없다는 것이다 .
 
이건 일본 기업의 해외 진출이나 공장 폐쇄 등에 의해   반도체의 국내 제조 능력이 떨어져 , 생산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
  
 
■ 계기는 미국에 패배한 것
예전에 일본은 「DRAM 」으로 불리는 메모리 반도체를 비롯해 , 1990 년까지 세계 탑  10 에 항상  6 ~7 회사가 들어갔고 , 매상 점유율에서도  88 년에는 세계 전체의 50.3 %을 달성하고 있었다 .
 
그런 영광의 시대가 추락한 계기는 우선  86 년의 「일미 반도체 마찰로 미국에게 완전히 패배한 것」이다 .
 
통산성의 무책으로 맺어진  일미 반도체 협정에  의해
미국의 요구인 「외국계 반도체의 점유율  20 %」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 일본 기업이 한국의 삼성전자의 반도체 제품을 파는 불합리한 시대가  10 년이나 지속되었다 .
 
IT 비지니스 애널리스트 후카다 모에 씨는 이렇게 말했다 .
 
「일미 반도체 협정이 맺어져 궁지에 몰린 일본 기업에 기회를 놓치지 않고  "관세를 피하기 위해서 기술이전 하지 않을래요 ?”라며 대만이나 한국에서 제의를 했습니다 . 
대만 , 한국이 일미 반도체 협정을 준비했었다는 듯이 그 타이밍에 들어왔던 것입니다 . 그래서 일본 기업은 거기에 허무하게 수락해버렸습니다 .」
 
90 년대 후반에 들어서면  NEC 나 히타치 , 후지츠 , 도시바 등 세계의 탑 메이커가 반도체 부문에서 적자가 되어 그 지위에서 떨어졌다 . 
 
 
■ 정보와 인재의 유출
90 년대 중반부터 현저한 것은 , 반도체 기술 정보와 인재의 유출이다 . 당시 일본 기업은 신흥 기업의 한국 삼성 전자와  SK 하이닉스 , 대만  TSMC 에게 맹렬히 추격당했다 .
  
 
■ 좋은 대우의 한국 , 중국에게 인재 스카우트를 받아 ...
일본인 기술자들이 반도체 기술 정보를 제공했었다 . 당시 , 구조 불황에 빠진 유명 제조회사에서는 고용 형태나 인사제도도 변화했다 . 그래서 일본의 반도체 업계에서도 재구축이나 임금 축소가 행해지자  (외국 기업에 ) 일본인 기술자가 스카우트 되었고 그로인해  (반도체 기술이 ) 해외 유출로 이어졌다 . 
 
「한국의 일류 기업 정도면 연봉이  3 천만엔부터  4 천만엔이 됩니다 . 크게는  3 년 계약으로 , 소득세는  5 년간 무세 . 중국의 보수는 일본의 몇 배이지만 정말 돈을 가지고 돌아갈 수 있을지 아닐지 모르는 리스크도 있습니다 . 그래도 일본인 기술자는 해외로 갔습니다 .」 (후지이 씨 )
 
한편 당시의 일본인 기술자의 평균 연봉은 특별한 수당도 없고 , 제조업으로써의 전국 일률형 임금제도 상에  40 대에  450 만엔 정도였다 . 이래서는 승부가 되지 않는다 .
 
 
 
■ 토귀월래의 아르바이트 
어느 예전 대기업 제조업의 반도체 기술자도 이렇게 인정했다 .
 
「90 년대 중반부터 많은 일본인 기술자가 주말마다 ,
한국이나 대만으로  "토귀월래 (토요일에 나갔다가 월요일에 돌아온다 )"라고 불리는 아르바이트로 일본의 반도체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향했어요 . 저 는 그래서 지인이었던 삼성전자 간부로부터 제시받은 세금 제외로  2 년 계약의 매년 갱신 , 연간  3 천만엔이라는 조건으로 스카우트 제안을 받았습니다 . 당시 회사에서는 급여의  20% 삭감을 전달받았기 때문에 , 마음먹고 회사를 관두고  2 년 동안만 서울로 갔습니다만 , 일본은 외국에 비해 정보관리도 전혀 엄중하지 않았다는 걸 알았고 , 저는 많은 일본인 기술자가 일본의 반도체 핵심 기술의 정보를 한국에게 흘리는 것을 실제 두 눈으로 봤습니다 .」
 
만회책의 한 가지 방법으로써 일본 반도체 업계는  2000 년대 초부터 「히노마루 반도체 주식회사」를 새로 만들었다 .
 
특히 엘피다는 히타치와  NEC 를 중심으로 미쓰비시 전기도 더해 「히노마루 반도체」를 짊어지는 존재로써 기대받았다 . 그런데 당초의  DRAM 의 시장 점유율은  2 %정도로 저조했다 . 그래서 일본체육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일본 법인 출신인 사카모토 유키오 씨가  02 년 , 새로운 사장으로 기용되어 약  10 년간 엘피다의 경영면을 담당했다 .
 
 
 
■ 너무 빨랐던 일본 정부의 포기 
하지만 그 후 , 엔화 강세와 리먼쇼크 , 동일본 대지진으로 급속히 경영이 악화되었다 . 12 년에 엘피다는 도산에 내몰렸다 . 최종적으로 엘피다는 미국 마이크론사에  1100 억엔의 채무를 위양하는 형태로 매각되었다 .
 
그 후 , 사카모토 씨는 컨설턴트로 전향했다 . 대만과 중국에 진출하고 , 미국의 경제 제재 대상이 된 「세이가 무라사키 집단」의 반도체 기업의 원래 직원으로 구성하여 , 재작년 자회사인 「IDT 」를 가와사키 시에 설립했지만 , 올해  6 월에 회사를 폐쇄했다 .
 
그 이유를 「신형 코로나의 영향이다」라고 하는 사카모토가 당시를 이렇게 회상한다 .
 
「일본 기업의 반도체 사업은 사업부의 하나에 지나지 않고 , 반도체 기업의 사장이라고 해도 투자 예산이나 인건비는 전부 본사가 쥐고 , 사실상은 사장이 아니었던 것이 컸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 엘피다에  300 억엔의 정부 보조금을 더해도 이걸로는 매우 무리라고 생각했습니다 . 역시 당시라도  3 천억엔 정도는 필요했고 , 지금도  TSMC 는 정부에서  4 천억엔을 받게 되어있기 때문에  1 단계 격이 달랐습니다 . 일본 정책 투자 은행으로부터도 100 억엔의 융자와 약  300 억엔인 출자금의 합계가  400 억엔밖에 나오지 않는다면 어쩔 수 없을 거라 생각했어요 .」
 
엘피다 도산은 경영 탑인 사카모토 씨의 책임도 당연히 크지만 , 지금 따져보면 경산성 등 일본 정부의 포기도 너무 빨랐다고 말할 수 있다 .
 
 
 
■ 다시 넘버원을 목표로 해야 한다?  
올해  5 월에 자민당의 반도체 추진 의원 연맹을 설립한  아마리 아케마에  간사장은 이렇게 말했다 .
 
「과거 일본 반도체 패배 원인은 우선  80 년대에 대형 컴퓨터에서 퍼스널 컴퓨터로 이행할 때 , CPU 를 만드는 능력도 포함해 시대 흐름의 변화를 깨닫지 못하고 , 값싼 메모리나  CPU 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도 꿋꿋이 높은 품질에 연연하여 시기를 놓쳤다 . 게다가 일본의 독자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 구태의연한 자전주의 사태의 구조로서는 수직 통합형 시스템에 의한 폐해 등의 문제가 있었다 .」
 
나라의 지원에서 실패한 「히노마루 반도체」에 대해서는
 
「일본은 자국 시스템의 자전주의에 빠져 사용자의 시선에서 보는 게 어려워졌고 , 애플처럼 사용자를 위한 제품이 나오지 않습니다 . 좀 더 설계를 중시하는 패브레스 기업을 만들어 ,(가치나 장점을 가지는 )재료나  (사용자의 ) 요구에 민감하게 헤아려야 했습니다 . 하지만 일본은 아직 국내의 반도체의 공작기계  (장치 )나 재료 분야에서는 세계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어요 . 그러니 일본의 반도체는 지금 국제적인 연계에 따라 재팬 애즈 넘버원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아마리 아케마에 )
 
실은 일본의 반도체는 국내의 「내적요인」이외에도  
외환이나 국제 정세의 「외적요인」에 영향받기 쉽다 .
 
19 년 트럼프 정권 아래의 미국은 미중대립  (디커플링 )정책 중 , HUAWEI 를 포함한 중국의 반도체 제품에 대해 , 엄격한 규제나 제재를 개시했다 .
 
동시에 대만의  TSMC 에 대해서는 중국에 수출하고 있던 첨단 반도체의 조달을 정지시키고 미국 내에서 공장 건설을 유치한다는 「대만 융화공작」을 진행했다 .
 
 
 
■ "세계표준 "을 둘러싼 경쟁 
덧붙여서  TSMC 는 현재 , 세계 제일의 첨단 로직 반도체의 미세 기술과 대량 제조 능력을 겸비한 대만을 대표하는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했다 .
 
한편 중국은  15 년에 제정된 「중국 제조  2025 」로 반도체의  70 %~의 자급률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지금 세계는  DX, 디지털 회사의 도래로 디지털 정보를 인건이나 프라이버시 , 민주주의에 발휘하는 자유주의 진영과 중국처럼 국가의 시스템 통치에 이용하려는 전체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세계표준 "이 거칠게 다투고 있습니다 . 그 가운데 반도체는 예를 들면 초 단위로 상대의 신용도를 측량한 점수를 데이터를 이용해 고도의 계산을 하고 , 해석하는 구체적인 일을 하고 있어요 . 그래서  DX 의 진화와 반도체 개발 경쟁의 진화는 표리 일체 관계입니다 . 이번 신종 코로나의 만연으로 나타난 것은 국내 제조 거점이 없었기 때문에 , 서플라이 체인이 부족했다는 것 . 일본의 반도체도 상류에서 하류까지 전 공정에서 후속 공정까지 국내에서 확보하는 것이 최고입니다 ."(아마리   씨 ) 
 
지금에 이르러  "히노마루 반도체 "가 예전처럼  "산업의 중핵 "이 아니라 "국제 연계 "에 의해서 일본을 강화하는  "정보 인프라 "로 변했다 . 그리고 현재는  "세계적으로 그린 정책과 디지털 정책으로  30 년간 약체화 된 일본의 반도체 산업이 게임 체인지될 것이다 . 향후 적층화나 광전 융합 장치 등의 신기술로 일본에 기회가 다시 올 것이라는 기대론이 있다 "(반도체 애널리스트 )라고 한다 . 
 
 
 
■ 윈 =윈의 국제 협력을 
구체적인 움직임으로써 국내에서도  TSMC 는 일본 정부로부터 약  4 천억엔의 보조금을 받아 , 소니 그룹과 공동으로 쿠마모토 공장 건설이 결정되었다 . 그밖에도 현재 , 도쿄 대학과 산업 기술 종합 연구소와 공동 개발을 할 계획이 진행 중이다 . 
 
산업 기술 종합 연구소에 물어 보니 , 야스다 테츠지 일렉트로닉스 ·제조 영역장이 이렇게 답했다 . 
 
"구체적인 연구 개발 내용도 국제 연계에서는 전형적인 윈 =윈 관계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예를 들면 , 최첨단  칩 온 웨이퍼 온 서브 스트레이트 로 불리는 칩의  3D3 층 구조의 패키징 장착까지 행할 예정입니다 . 서버 등의 고성능 계산용 패키징 기술에서  TSMC 는 세계에서 톱 클래스입니다 . 산업 기술 종합 연구소와 공동 연구에서는 (고성능 계산 등을 행하는 ) 노직 계열의 반도체에 탑재되는 반도체 후 공정 개발을 함께 함으로써 산업 기술 종합 연구소는 새로운 재료나 새 프로세스 개발을 담당하고 , 인티그레이션이라고 불리는 (반도체 재료나 부품 )을 통합하는 것을  TSMC 사가 담당합니다 . 이 최첨단 통합 기술은 일본 기업이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 일본에는 없는 인티그레트 부분을 국내에서 함께 하는 것은 커다란 메리트가 있습니다 " 
 
 
 
■ 기술의 고도화로 활로를 
즉 , 지금부터 일본은  TSMC 가 가진   "미세화 기술 "이 아니라  "3DIC(3 차원 집적화 )"을 이용하여 , 반도체 칩을 세로로 겹친  "적층화 기술 "에 따른 기술의 고도화로 활로를 열고 나가겠다는 것이다 . 
 
 
벼랑 끝의 경제 산업성도 말했다.
「“통산 산업상과 경제 산업성이 바보였다”고 말해도 좋습니다. 저희들도 반성하고 있지만, 일본에서 반도체가 왜 필요한 지에 대해서도 국민들에게 전해져야 했습니다. 반도체 산업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화로 일본이 살아가기 위해서 반도체는 극히 중요하고, 국민에 따른 합의가 필요합니다.」
 
 
확실히 일본에는 경제 안정보장상의 국가 전략에서는 제조 거점 만들기와 신기술 개발은 중요하다. 하지만 동시에 지금은 해외 세력과 경쟁할 수 있는 정보능력, 우수한 일본인 기술자를 후하게 대접할 수 있는 기업 의식의 심화, 그리고 메이지 유신의 시부사와 에이이치 처럼 다대한 사회 인프라를 구축하는 리더의 등장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인 것이다.
 
항상  6 ~7 회사가 들어갔고 , 매상 점유율에서도  88 년에는 세계 전체의 50.3 %을 달성하고 있었다 . 
그런 영광의 시대가 추락한 계기는 우선  86 년의 「일미 반도체 마찰로 미국에게 완전히 패배한 것」이다 .
 
통산성의 무책으로 맺어진  일미 반도체 협정에  의해
미국의 요구인 「외국계 반도체의 점유율  20 %」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 일본 기업이 한국의 삼성전자의 반도체 제품을 파는 불합리한 시대가  10 년이나 지속되었다 .
 
IT 비지니스 애널리스트 후카다 모에 씨는 이렇게 말했다 .
 
「일미 반도체 협정이 맺어져 궁지에 몰린 일본 기업에 기회를 놓치지 않고  "관세를 피하기 위해서 기술이전 하지 않을래요 ?”라며 대만이나 한국에서 제의를 했습니다 . 
대만 , 한국이 일미 반도체 협정을 준비했었다는 듯이 그 타이밍에 들어왔던 것입니다 . 그래서 일본 기업은 거기에 허무하게 수락해버렸습니다 .」
 
90 년대 후반에 들어서면  NEC 나 히타치 , 후지츠 , 도시바 등 세계의 탑 메이커가 반도체 부문에서 적자가 되어 그 지위에서 떨어졌다 . 
 
 


번역기자:soyanari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본의 작가 아이바 히데오씨는 경제성장이 30년간 정체되어 온 일본 내부의 상황이 어느덧 외국인 노동자들로부터 환영받지 못하게 된 현실을 지적하며 , 일본의 저임금 노동력으로 기능 실습생을 초청해서 싼 임금으로 고용하려고 하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을 지적하고 근본적으로 일본 정부 차원에서의 더욱 심화되는 저출산 고령화에 의한 노동인구 감소에 대해 무방비 함을 지적하였습니다 . 그러면서 , 이제는 일본은 더 이상 외국인들에게도 환영받지 못한 국가가 된 현실을 칼럼을 통해서 지적하였습니다 . 해당 내용에 대한 칼럼 내용 및 댓글 반응입니다 .
 
 
<일본언론 칼럼내용>
외국인 노동자로부터 버림 받은 “가난한 국가” 가 된 일본의 위험한 현실
 
외국인 노동자의 “일본 이탈 ”이 시작되고 있다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외국인 기능실습생이 일본으로 오지 못한 채로 있습니다. 받아 들이는 일본에서는 해고나 실종 , 귀국이 곤란한 등의 이유로 갈 곳을 잃은 재류실습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한 편 , 외국인 노동자의  “일본 이탈 ”이 시작되고 있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 출입국 관리법 개정으로  2019년에 취업근로 목적의 재류자격  “특정기능 ”이 신설되어서 , 정부는  5년간  34.5만명의 외국인을 일본으로 불러들이는 방침을 냈습니다 . 하지만 , 일본은 일하는 장소로써 외국인을 끌어올 수 있는 국가일까요 ? 2020년에 상재한 저서  “언더 클래스 ” (초등학교 관 )에서 외국인 기능실습생의 문제에 다가간 작가인 아이바 히데오씨는 외국인 노동자의 일본 이탈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
 
위장식품, 분식결산 (회계 ), 비정규직 노동 등 일관되게 사회문제를 취재해 온 아이바씨가  “언더 클래스 ”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본 것은 한 베트남 국적의 여성 기능 실습생입니다 . 작품 안에서 다음의 문장이 있습니다 .
------ 압도적인 노동력 부족을 메꾸기 위해 실습제도라는 듣기 좋은 말을 쓰고 그들을 혹사시키는 일본의 방식은 비합리적이다 . -----
 
아이바씨는 어떠한 동기에서 기능실습생의 문제를 꺼냈을 까요.
“저는 신주쿠 가장 가운데서 산지도  20년이 됩니다만 , 이  7,8  년간 외국인 노동자가 급격하게 늘어났습니다 . 음식 체인점을 시작으로 가까운 곳에 있는 신문사 판매소에도 , 종업원의 절반 이상은 외국인 입니다 . 왜 이렇게 늘어났을 까요 . 배후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소박한 의문이 생긴 것입니다 . 
 
이 나라가 왜 이러한 상황이 되었을까 취재해 간다면 , 노동력을 메꾸기 위함이라는 명목으로 기능실습제도나 입국 관리법 개정이 이루어져 , 해외에서 사람을 모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구조상 뿌리 깊은 문제가 점점 보여 온 것입니다 .”
기능실습제도가 갖춰진 것은 1993년 입니다 . 
 
이후로 , 일본에서 습득한 기능이나 지식을 귀국 후에 모국의 경제발전에 사용하는  “기술 이전에 의한 국제적인 공헌 ”을 명목으로 아시아의 각 국으로부터 실습생을 받아왔습니다 . 하지만 실태는 어떠할까요 . 실습생은 국내의 노동력 부족을 채우기 위한 일손이라고 밖에 보지 않는 다는 지적과 이들을 다루는 인권의 면에서 나오는 비판도 적지 않습니다 .
 
“지금 많이 개선되었다고 하지만 ,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보내는 국가의 악덕 브로커가 있습니다 . 그 앞에 일본인 브로커도 있습니다 . 일본은 좋은 국가라서 많이 돈을 벌면 , 대부분 사기와 같은 정보를 브로커에 흘려서 기능실습생이 오고 있는 것입니다 . 일본은 수수료나 도항비용을 빚까지 내어서 올 가치가 있는 나라일까요 . 그 부분에 저는 가장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일본에 오기 전에 짊어진 빚을 갚을 만큼의 임금을 일본의 취직한 곳에서 받지 못하고 열악한 노동조건에서 일하게 되어 실습생이 실종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실습생의 해고나 고용 중지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
“본국으로 돌아가지 못합니다 . 원래는 나라가 이에 대한 안전망이나 서포트 체제를 갖추지 않으면 안되는 거 잖아요 . 
 
그래도 , 어떤 대책도 세우고 있지 않습니다 .” 기술 실습제도를 폐지하여 외국인을 정식적인 노동자로 받아들이는 시스템을 정비하는 등 , 정책의 발본적으로 수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 
 
“총무성 통계국이 노동력 조사 결과를 공표하고 있지만 , 일본의 노동인구는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 앞으로도 계속해서 감소하는 이 나라에서 도대체 누가 일을 할 까요 . 일본이라는 나라가 지탱하지 못하게 되기 전에 이민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 하지만 , 일본정부는 지금까지 이민을 받아들이는 것에는 신중한 자세를 취해 왔습니다 . “이민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싶지 않은 거지요 . 이민정책을 하겠습니다 라고 하면 선거 때 표로 연결되지 않지요 . 일본은 섬나라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알레르기도 심할 것이고요 . 정부가 가장 비겁하지 않나요 ?”
 
◆일본에서 나쁜 짓을 할 바에 본국, 중국에서 제대로 일하는 것이 돈이 된다 …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외국인 고용상황 ”의 전출 상황 요약에 의하면 일본에서 일하고 있는 외국인은  2020년  10월 시점에서 약  172만  4천명입니다 . 
 
외국인 노동자수는 베트남이 중국을 제치고 가장 많고 , 전체의  25.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한 때 최다 였던 중국인 실습생은  10년을 정점으로 감소 하였습니다 . 중국 내의 임금이 상승한 것이 배경에 있는 것입니다 . 
 
“예를 들자면 좀 나쁜 이야기지만  10년 전에 카부키죠  (일본 도쿄 신주쿠에 위치한 윤락가 ) 에 꽤 있던 중국인 범죄 그룹이 지금은 적어지고 있습니다 . 리스크를 안고 일본에서 안 좋은 일  (나쁜 짓 )을 할 바에 자기 나라에서 제대로 된 일을 하는 것이 이익이 된다 , 그래서 돌아갔다 라는 소리도 들었습니다 .
 
” 베트남도 도시부에서 하는 일이 안정적으로 늘어나면 농촌부의 사람들은 자국 내의 도시로 가서 일하게 되겠지요 . 혹은 지방에도 성장의 파이가 늘어난다면 일부러 일본까지 일하러 오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 코로나가 수습되어 각국의 경제가 정상화 되었을 때에 각자의 나라 안에서 노동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해 집니다 . 
 
빚을 내서 나쁜 마음까지 품으면서 일본에서 일할 이유가 있을까 생각해보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입니다 그렇게 되면 일본의 노동시장은 공동화 현상을 겪게 됩니다 .”
“언더 클래스 <”에 등장하는 베트남인 기능 실습생 여성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 
 
“일본은 계속 해서 급여가 내려가고 있습니다 .” “일본은 가난한 사람들만 있는 나라입니다 ” 라고 .. “일본에서 귀국한 싱가폴의 친구로부터 부인과 가까운 호텔에서 점심을 하면  1인당  1만  5천엔  (한화  15만원 ) 정도 된다고 들었습니다 . 일본 기업의 싱가포르 주재원이 예전에는 가정부 분을 고용했지만 지금은 젊은 사원이 부임하면 고향에서 송금해주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물가가 높다고 합니다 .” 뉴욕이라면 라멘  1그릇이  2500엔 입니다 . 라멘을 특대로 주문을 해서 맥주  1잔을 걸친다면 , 5000엔을 넘습니다 . 그것이 세계의 물가 수준입니다 . 요컨데 , 나라 전체의 경제가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급여도 오르고 있습니다 . 미국의 평균 임금은  20년 , 30년간 거의 배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 일본은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 . 오히려 일본인의 급여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 가난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
 
◆”위기감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은 국민의  30% 도 안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
하지만 지금의 일본인이 “일본은 가난한 나라가 되어 가고 있다 ” 를 자각하고 있는 가 ….  “아침 일찍 개를 산책시키면  Uber eat  배달 가방을 짊어진 젊은 사람이 엎드려 자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되는데 , 그들도 아마존 배달을 맡는 개인 운전자도 소위 일용직입니다 . 
 
배달이  1건도 없으면 그 날 수입이 없는 생활을 보내고 있는 것입니다 . 지금은 정사원이 줄어 들어서  40%가 비정규직입니다 . 음식업이나 여객 서비스 업에서는 비정규직부터 먼저 해고하거나 고용을 중지하고 있습니다 . 그 사람들이 다음번에는 일용직을 맡게 되어 일하게 되는 것입니다 . 굉장히 안 좋은 거라고 생각합니다 . 
 
이 나라는 .. “슬슬 감당하기 어려워지는 구나 ” 라고 눈치 채는 사람도 물론 있겠지요 . 하지만 제 감각으로는 위기감을 같이 공유하고 있는 사람은 국민의  30%도 안 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 이 상황을 빠져나갈 방법은 과연 있을까요 . “예를 들어서 혼다 같은 인물이 있어서 전 세계가 달려드는 상품을 개발한다 든지 . 그런 이노베이션이 일어나지 않는 한 ,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 
 
저는 통신사 기자였었던 때에 경제부에 있어서 통계를 읽는 능력이 있습니다만 여러가지 경제 통계 데이터를 보면 이 나라는 이제 미래가 없다는 것을 여실히 알 수 있습니다 . 지금까지 대불황이 몇 번이고 있었습니다 . 
 
그렇지만 결국 기업이 이것을 무시하고 국민에게도 무시할 것을 강요하여  30년간 꾸준히 경기만 안 좋을 뿐 월급이 반 토막이 나는 일도 없었습니다 . 변하지 않는 임금으로 같은 경제와 사회적 환경이  30년간 지속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의 감각이 마비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월급이  10분의  1로 줄어드는 것이 오히려 좋았을 겁니다 . (위기를 절실히 느꼈을 것이기 때문에 ) 저는 비관적인 사람이 아니지만 , 냉정하게 공개된 데이터를 보면 이미 이 나라는 한계를 향해 가고 있습니다 . 그것이  “언더 클래스 ”에 담은 메시지 입니다 .”
 
“언더 클래스 ”가 연재 된 것은 코로나가 유행하기 전인  2018년에서  19년 사이입니다 . 그 때 타이틀은  “2025” 였습니다 . 즉 , 2025년의 일본사회를 주제로 한 작품이었습니다 . “저는 항상  5년 , 10년 앞을 그리려고 의식하면서 작품을 씁니다 . 쓰고 있는 사이에 현실이 닥쳐와서 단행본이 나올 쯤에는 현실이 이 기록한 사회모습을 추월해 버리고 있는 상황이 이 작품에 계속되고 있습니다 . 그만큼 이 나라가 상처를 입고 있다는 것이지요 . 캐나다에 유학하고 있는 아들에게 일본은 성장하지 않는 나라이고 임금도 싸기 때문에 돌아오지 마라고 말합니다 .” 눈부신 혁신은 일어나지 않아도  2022년은 조금이라도 밝은 조짐이 보이기를 기대합니다 .
<아이바 히데오 > 작가  - 1967년생 .
 
  
 
 
 
 
<댓글 반응 >
 
 
men***** |                            882                   51
음.. 30년 전과 급여가 같은 나라는 이미 어느정도 자산이나 수입이 있는 사람들이 조용히 살아가기에는 좋은 곳이지만 이제부터 커리어를 쌓아서 수입을 늘려서 자산을 늘리고자 하는 젊은 사람들에게는 엄청 힘든 나라지요 .
 
 
tra*** |                                 32                   2
엔저 현상으로 물가나 인건비도 싼 일본이라면 왜 일본 기업은 외국에 투자를 하고 국내에서는 정규직을 고용하지 않는 걸까요? 실제로 일본인 노동자는 부족하지 않아요 . 그것보다 싼 임금에 고용할 수 있는 실습생을 고용하고 있는 겁니다 . 나라의 정책도 부족한 부분이 있지만 무엇보다 기업이 특히 대기업이 사내보유금을 너무 모아서 경제성장을 방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정부는 더 강하게 기업에게 사내보유금을 뱉어 내도록 하는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 . 기업들의 표 같은 것 신경 쓴다면 이 나라는 진짜 망합니다 .
 
  
kdq***** |                                  39                     4
찬스가 있다고 말하는 사람 진짜 경제 문외한 아닌가?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는 나라에서 과거의 경제인구보다 지금 돈 버는 사람이 불리한 것은 명백한 거잖아 . 게다가 증세도 세트로 일어나니 더욱 어렵지 .
 
 
kontiki999 |                                   33                     1
저도 대단한 기술은 없지만 인연이 닿아서 지금 미국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일본에 귀국할 때마다  “아 일본은 좋구나 ” 라고 느끼는 반면에  “여기서 일하는 것은 극도의 수행과 같은 고행이겠다 ” 라고 느낍니다 .
 
 
gra***** |                                       771                   58
자동차 설계 일을 하고 있습니다만, 정사원 중에 베트남 분이 있습니다 . 그 분이
“베트남에서 진짜  1류로 돈 버는 사람은 중국 , 미국으로 갑니다 . 일본에 오는 거는 저 같은  2류 의 사람들입니다 .” 라고 말했던 것이 인상에 남습니다 . 외국인 노동자들에게도 매력이 없는 나라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 세계 경쟁력은 떨어지기만 하지요 . 주력산업인 자동차도 최신 모델은 해외 발표 /해외 선행 발표가 당연하기 때문에 브랜드로부터 무시당하는 국가 . 이것이 일본입니다 .
 
 
hal***** |                                        132                     7
30년 전에 일본의 대학원에 연구를 했던 중국인이 말했던 것은 진짜 연구하고 싶은 사람은 미국으로 가고 , 돈 벌고 싶은 사람이 일본에 온다고 했습니다 . 지금은 돈도 못 벌게 되어 어떠한 얻을 만한 것도 없는 곳이 되어버렸군요 .
 
 
pmj***** |                                      160                       7
중국에서 온 사람도 “우수한 학생은 미국으로 유학을 가고 , 거기에 못 가는 사람이 일본에 옵니다 ” 라고 말했습니다 .
 
 
art***** |                                          97                       6
30년 전 정도 전에 도쿄대학교에 왔던 한국인 유학생들로부터  “일류는 미국으로 , 2류는 일본 ” 이라고 들은 것이 아직도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 딱히 최근에 나온 이야기는 아니네요 .
 
 
covid-19 |                                76                                 2
이전에 같이 일 했었던 중국인 동료는 몇 년 전에 자기 나라 쪽 월급이 높아져서 중국으로 돌아갔고, 지금은 기술력을 더 발전시켜서 미국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
 
 
qeu***** |                                   53                             0
싼 인건비로 사용할 수 있으니까 부르는 것이 진짜 속내 아닐까요?
 
 
pjy***** |                                     3                             6
유럽의 실업률은 일본보다 높은데 믿을 수 없다. 취업률도 낮고 .
 
 
gre***** |                                   97                              9
자원활동으로 알게 된 베트남인은 필사적으로 영어 배우고 있습니다. 일본을 빨리 나가고 싶어서 .
 
 
qme***** |                                  41                             80
일본이 싫으면 나가버리면 되잖아.
 
 
telnet***** |                                  287                           16
일본은 성과나 능력이 아니라 얼만큼 고생을 했는지, 개인 생활을 얼마나 희생 했는 지가 평가 되지 .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은 일본에서 일하는 것을 고르지 않는 쪽이 인생이 행복해진다고 생각한다 . 노력 , 피와 열정 , 근성이 일하는 자세로써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없어지지 않는 한 이 환경은 나아지지 않는다 .
 
 
wkm***** |                                    21                           0
ㄴ댓글 쓴 분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임원이 폐해를 끼치고 있는 회사가 많은 한 이러한 것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지요 .
 
 
vly***** |                                 7                    1
고도 경제성장기에는 그걸로 됐었지만, 그 시대 발생에서 전환해야 합니다 .
 
 
las***** |                                  1559                  162
일본은 30년 가까이 정부를 지지하는 특정 단체 , 조직에 이익을 유도하는 정치를 계속해와서 지금은 정부에 가까운 단체 , 조직에 속한 사람들만 풍요롭지만 , 일본 전체가 가난해지고 그것도 이제는 무리가 되었죠 . 좀 더 사회 전체의 중산층에게 이익분배해서 중산층을 풍요롭게 하지 않는다면 특정 단체조직만 있다면 몰락합니다 .
 
 
ゆらばー@Hide |                            37                       3
대기업, 부자들 우대와 정치헌금으로 무한하게 연결된 루프 ..
 
 
$$ |                                     26                      4
일본인 조차 중국으로 돈 벌러 가게 될 판이야. 우선 , 세계 제일의 마이너스 성장을 이뤄 낸 자민당 정권을 쳐 부수자 !!!
 
 
ゴジラ |                                   9                        7
이미 늦었다. 포기하는 수 밖에 없다 .
 
 
n***** |                                    29                     10
기득권으로서 이익으로 크게 돈 벌고 있는 단체는 딱히 없지만, 변화를 싫어하고 그리고 변화에 동반되는 고통을 감수하고 싶지 않은 일본인들의 의식 , 그리고 변화의 결과에 관해서 책임지고 싶지 않아 하는 정치인 , 곤란하면 나라가 무어라도 해 주겠지 라는 국민이나 기업  (대기업도 중소기업도 같음 )들의 안일함 , 요인을 거론하자면 끝도 없다 . 보조금 뿌리는 것만으로 대책 없는 경제대책 , 중국 /한국에 대해 저자세 외교 등 중구난방으로 국가의  100년 대계가 없다 . 지도자들의 퇴화도 두드러지고 지도자로서 나라를 이끌 인재도 중국이나 미국에 뒤진다 . 나쁜 평등교육의 영향일 것이다 . (1990년대부터 시작된 유도리 교육 ) 국가를 이끄는 진정한 엘리트를 키우지 않으면 앞으로 점점 일본은 망가질 것이다 .
 
 
jak***** |                     53                  12
의원이 나쁘다고 쓰는 사람들이 있는데, 의원들은 자기를 후원해주는 지원단체에 유리한 정책을 하는 것은 당연한 거야 . 그게 싫다면 그런 의원이나 정당에 투표를 안 하면 되는 건데 , 국민이 계속 뽑는 이상 어쩔 수 없는 거야 . 결국 국민의 수준이 낮으니까 경제성장도 못하는 거고 임금도 안 오르는 거고 , 저출산 고령화도 해결하지 못하고 미래 전망도 안 보이는 나라가 되 버리는 것은 아닐까 .
 
 
cig***** |                        86                     18
그렇다고 하지만 유권자들의 투표율이 40%도 안 되잖아 . 모두가 여당 이외의 정당에 투표한다면 정권 교체하기도 쉬울 텐데 . 국민들이 안게 되는 자업자득의 부분도 커 .
 
 
mi3***** |                        243                    22
일본에서 해외로의 이민, 이주가 늘어날 것 같다 . 기술자는 돈과 연구 우대에 끌려서 나가고 있고 . 일본의 저임금 노동자도 따라서 이민을 가서 해외에 일하러 가게 될 거고 . 그러면 일본 내에는 해외에서 돈 벌로 온 노동자와 정치가 , 관료 , 기업 등 상급 국민들이 남겠지 . 고이즈미 정권에서 시작된 저임금 , 인재파견화  (비정규직을 최초로 고이즈미 정권 때 만들었습니다 )가 일본의 갈 길을 변하게 만들어버렸다 .
 
 
para |                            26                    0
이민이나 이주 하지 않아도 수도권에 외자계 브랜드 연구소가 조용히 있습니다.
중국, 한국 , 독일 , 미국계 회사들 .
일본기업을 구조 조정된 기술자들의 이직 처로 삼고 있습니다. 재밌는 이야기지만 , 경쟁 기업 기술자들과 이직을 하면 같이 합류해서 만나게 됩니다 . 일본인만 있으니 영어도 필요 없고요 . 지금은 일본기업에서 자란 사람이 구조조정 연령이 돼서 가야 하는 상황이 지만 몇 년만 있으면 중견이나 젊은 층 , 신졸  (신입 사원 )도 가게 되겠지요 .
 
 
zuk***** |                           161                   11
외국 환율 시장을 보고, 아직 그 정도는 아니지만 엔이 점점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외국인 노동자는 자기 나라의 가족으로 송금하는 것이 일의 목적이죠 . 엔이라는 통화가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한 , 그 엔화로 받는 월급이 싸지고 있다면 일본에서 일할 의미가 없게 되지요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건 지금  “엔 ” 가치를 낮게 유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
 
 
yyy***** |                        17                      3
ㄴ엔의 가치가 없기 때문에,,, 투자가가 사지 않고  (외환시장에 ) 그냥 돈을 가지고 오는 겁니다 .
 
 
4394TT |                         142                     5
쿨 재팬에서 시작된 일본의 국뽕에 취하는 관습은 곤란한 행태라고 계속 생각해 왔다. 일본은 자신들이 마치 특별한 감각을 지닌 국가라고 생각하지만 , 어느 선진국이라도 각자의 개성과 좋은 면이 있거든 . 과거  30년간 일본에게만 부족했던 것은 자신들의 부족한 부분과 정직하게 마주하는 것과 개선하는 부분이다 . 특히 경제 부분 . 미디어가 안 좋은 것인가 , 그다지 자신들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느낌이 든다 .
 
 
to_***** |                          141                     5
혁신의 수는 인구 x  교육에 비례하는 것인데 인구 감소 사회인데 교육까지 무너져서 대우받지 못해서는 미래가 없다 . 참 심각한 것이지 . 기술자는 대우 받지 못하고 외국으로 빠져나간다 .
 
 
Dsq***** |                          142                     19
투자가 짐 로져스가 말했지만, 일본은 미래에 비전이 없는 나라라서 젊은 이들은 해외로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라고 했다 . 나도 , 유능한 사람들에게는 그 편이 좋다고 생각함 . 이제부터 점점 초등학생 때부터 영어나 비즈니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외국어를 배울 필요가 있다 . 그리고 , 프로그래밍 같은 기술직은 당초  IT  기술은 영어권에서 발전되어 온 것이기 때문에 영어와 친화성이 매우 있을 것이다 . (용어가 영어로 많이 되어있을 것이라는 뜻 )
 
 
mit*****                             10                     1
ㄴ장래의 일본은 노인 복지 및 보호 시설과 같이 노인들만 있는 나라가 될 것 같네요?
 
 
 
tak***** |                             97                     8
외국인 노동자가 일본에 기쁘게 온다면, 문맹률이 낮은 나라나 지역에서 밖에 못 오겠지 . 중국은 지역격차가 굉장히 심한 걸로 알려져 있는데 , 지방 도시에서도 급여수준이 일본을 확실히 따라잡고 있다 .
 
 
常識人その壱 |                        15                  12
ㄴ 이민을 오게 힘들게 하는 편이 일반 국민들에게는 편합니다. EU의 예를 본다면 알 수 있습니다 .
 
 
pmj***** |                             28                    1
문맹률이 낮은 국가에서 온다면 그 국가의 엘리트이지. 일본이라면 메이지 시대에  (문맹률은 낮지 않지만 ) 각국에 유학을 간 것 처럼 높은 클래스의 유학생인 거지 . 어쨌든 자기 나라에 충실한 사람이기 때문에 결국 일본에게 있어서는 그러한 사람이 오더라도 일본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지 .
 
 
※a※※a※a※a |                         166                   41
이해 갑니다. 우리 집도 아이 진학처를 해외로 했습니다 . 후진국으로 진입한 일본에 미래의 내 아이를 살게 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들어서 입니다 . 해외에서 살아보지 않으면 모른다고 말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살지 않아도 이 정도 정보가 넘치면 알 수 있지요 . 세계적으로 수요가 올라가고 식비나 광열비도 올라가는데도 임금은 안 오르지요 . 좋은 것을 배부르게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 줄어드는 것 아닌가도 생각이 듭니다 .
 
 
vtr***** |                              44                    2
일본은 이상하게 “성공체험 ”이 있어서 압도적으로  “현상유지파 ”가 많지요 . 사상의 좌우를 가리지 않고요 . 우버 (Uber)도  FAX  폐지도 , 부부 성을 다르게 하는 것도 , 여자 천황의 예를 봐도 그렇죠 . 스스로가 바뀌지 않는다면 성장하지 않는 건데 , 스스로 그 성장을 거부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 그러면 다른 나라에게 추월 당합니다 . “풍부해지고 싶다 ” 라고 하면서 헝그리 정신으로 좋은 것을 받아들이는 것 말입니다 .
 
 
ret***** |                            55                      5
기시다 정권에서 더욱 절망적인 상황이 되고 있어요. 분배나 보조금은 일시적으로 하는 것으로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격입니다 . 서민들에게 큰 타격이 되는 증세가 기다리고 있어요 . 빈곤층이 급격하게 늘어날 것입니다 .
 
 
u2b***** |                         63                     11
확실히 기능 연수생 (실습생 )을 가장 받아들이는 국가인 한국 다음으로 일본과는 꽤 격차가 있다 . 한국은 티켓만 가지고 가도 받아들이고  3번 정도 왔다 갔다 하면 이직이 허용되기 때문에 받아들이는 쪽도 잘 대우해주고 기숙사비나 기숙사에서 식사는 무료로 지급해준다 든지 .. 그에 비해 일본은  100만엔  (1000만원 )은 들고 기숙사 비는 징수되고 , 식사도 자신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노동자 입장에서는 한국에서  1년 동안 저축 가능한 금액을 일본에서는  3년이 걸린다 . 선진적이면서 왜 일본이 저임금이 되었는 지는 엔저 현상 유도를 했기 때문에 그 때까지는 선진적으로 임금이 오를 때마다 엔고가 되어서  +- 0이 된 것 뿐이다  (결국은 원상복귀 ). 현재는 엔화 약세에 더욱 저임금에 박차가 가해졌다 .
 
 
caf***** |                           52                      10
당초 일본인 뿐 아니라 외국인에게 있어도 3K (힘들고 , 더럽고 , 위험한 )이니까 노동에 대한 대가가 맞지 않으면 일부러 외국에까지 와서 그러한 일에 종사할 필요가 없지요 . 외국인 전용인 직종도 아니고 일본인이라도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사업자는  3k에 걸맞는 임금을 제시해서 인력을 구할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 한국과의 가격경쟁력 유지를 목적으로 정부의 힘을 빌리더라도 상품이나 서비스에 인건비를 제대로 얹어서 인력유치를 추진해야 합니다 .
 
 
・・・***** |                     4                        0
>사업자는  3k라는 업종에 걸맞는 임금을 제시해서
대졸 첫 임금과 같은 급여로 한다면 사람이 모일 겁니다! 정사원에게만 학력 별 임금을 적용하니까 파견직  (비정규직 )이 늘어나는 거죠 ,
 
 
gel***** |                        35                       6
기업들이 노력도 하지 않고 사원들을 소중하게 생각하지도 않는 곳들이 무리하게 계속 남아 있는 거 같은 느낌이 듭니다. 원래라면 도태되어야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만 . 각 회사의 사장이 자신의 꿈을 위해 유능한 노예사원을 계속해서 가능한 싸게 부려먹으려고 생각하는 한 , 그렇게 나가면 일본인으로부터 도 버림 받지 않을까요 ?
 
 
ten***** |                     21                    3
일본은 기업에서도 관공서에서도 연공서열 이나 종신고용 같은 20세기의 유물이 계속 이어져 내려오고 있기 때문에  AI / IT  시대에는 살아나갈 수 없습니다 . 그러한 기업은 대부분 대기업이라도 도산하지요 . 그것이 가장 좋은 해결방법이기도 하구요 . 도산으로 새로운 조직을 편성하고 재출발 할 수 밖에 없습니다 . 하지만 , 관공서는 도산이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퇴화 하게 되지요 .
 
 
yum***** |                      45                  4
슬슬 해외로 돈을 벌러 가는 시대가 오고 있네요. 조금이라도 임금 차이가 더 확대돼서 해외라면 단순노동이라도 월  100만엔  (1000만엔 ) 이라면 현실적으로 갈 것을 검토해보려고 합니다 .
 
 
suicidio |                        21                    4
코로나 전까지 일본이 대단한 나라라고 치켜세우던 티비 프로그램이 넘쳤었지만, 진짜 기분이 더러웠습니다 . 그거를 보면 . 우수한 사람들이 이미 해외에 거점을 만들고 그것이 안 되는 사람들도 자산을 해외에 이동시키고 있어요 . 그래도 이 나라는 세계적으로 보면 굉장히 유복하지요 . 그래서 모두가 현상을 제대로 파악한다면 아직 악순환을 되돌이킬 수는 있어요 .
 
 
q_h***** |                          2                   0
정곡을 찌른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베트남인이 일하고 싶은 외국으로 일본은  7위라고 들었던 적이 있습니다 . 역시 라고 느낀 것은 급여에서 공제되는 금액이 너무 많다는 것입니다 . (세금으로 뜯기는 부분 ) 사회보험 , 소득세 , 30% 가까이 뜯깁니다 . 15만엔  (150만원 ) 급여를 받으면 실수령은  12만엔  (120만원 ) 이하가 되겠지요 . 거기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살 때마다  10%, 혹은  8% 정도 뜯깁니다 . (소비세 ). 전화요금이 인하되어서 기뻐하는 나라이지만 , 진짜 핵심적인 것은 통신비를 인상하면 안 되는 상황을 위급하다고 느끼지 않으면 안 되는 것입니다 . 급여 , 물가가 오르면 론  (대출 )로 구입한 고액의 물건의 변제도 비교적 쉬워 지겠지요 . 엔고라면 해외에서 일하러 오더라도 매력적으로 느끼겠지요 . 모든 것을 다 잃고 있어요 . 급속하게 … 시골에 살고 있는 아무것도 지식도 없는 너도 이거 위험하다 라고 느끼고 있습니다 . 계속해서 돌아가는 것이 살아갈 수 없는 나라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 진심으로 .. 마스크에 몇 천억엔 쓸 상황이 아니어요  (아베 노 마스크 )
 
 
nak***** |                       22                        3
싼 노동자로 이익을 올리는 또한 생존만 하기 원하는 외국인 노동자는 일본 전체에 있어서 유해무익입니다. 우수한 외국인에 걸맞는 급여를 지불하는 업계에서는 외국인이 모이고 있어요 .
 
 
tak***** |                       8                         1
일본의 가장 큰 문제는 인구감소를 바라보는 국가의 비전이 없다는 것입니다.
소규모의 국가를 지향할 것인지, 지금 인구를 유지할 것인지 . 그것이 제시되지 않은 채로 눈 앞의 일로 외국인 노동자가 어떤 가 이렇게 말하는 것은 매우 의문이 듭니다 .
 
 
imo***** |                        14                     4
일본은 1960년대 기적적인 성장으로 운을 다 썼고 , 멈춘 것은  1989년 이후 버블 붕괴지요 . 그 이후에 조용히 쇠퇴해 오고 있습니다 . 당연한 순리가 아닐까요 . 아시아에서 한국이나 대만에 추월 당해도 어떻게 연명해서 살아가고 있지요 . 이 나라는 연료가 떨어져서 다시 나라 자체를 제대로 가동하려면 상당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lux***** |                        20                     4
앞으로는 단순노동은 점점 로봇에게 빼앗겨 가기 때문에 전문성이 없는 직업은 점점 없어져 갑니다. 기본소득으로 생활을 보호하는 것을 폐지 .
생활 보호가능한 수준 이하의 소득으로 변통 + 어떻게 든 일을 찾아서 보전하는 것 .
시대의 흐름은 빠르고 이런 미래는 가까이에 있다고 느낍니다.
 
 
**ari***** |                        20                  3
일본인에 대해서 뿐 아니라 외국인에 대해서도 저임금을 추구하는 체질이 고쳐지지 않는 이상 점점 상황은 악화되어 갑니다. 최저임금이 다른 외국과 비교해 너무 낮음에도 불구하고 일부의 핵심 사원이나 경영진 만이 규정에 벗어난 보수를 챙겨가는 사회 , 그것이 일본입니다 . 




번역기자:Real블루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
반응형
<일본언론 보도내용>
한국 21년의 수출액, 역대 최대 갱신
 
한국 관세청은 1일, 한국의 2021년의 수출액이 전년 대비 25.8% 증가인 6445억 4000만 달러(약 74조엔)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가 경제를 직격했던 20년의 하강기에서 급격히 회복을 했으며, 역대 최대를 갱신했다.
 
아래는 일본 댓글 반응입니다.
 
 
 
 
 
 
< 일본 야후 댓글 반응 >
 
 
******** | 598/20
원재료 가격의 상승으로 무역수지로써는 적자이죠.
실제로는 GDP와 가계 부채 등의 불안정한 재정 상태입니다. 
사실을 부분적으로 잘라내서 고찰 없는 기사를 발포하는 건 멈춰 주면 좋겠네요. 
 
 
답글→jac検証実験中 | 8/1
한국 발표의 통계 숫자는 
어디까지 믿으면 좋을지 모르겠네요.
GDP에 해외 산업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고,
불량 재고도 매상으로써 계산된다고 들었고
이번의 수출액에도 재고분이 계산되지 않았을까요?
정부가 당연하게도 거짓을 발표하고
나중에 그 거짓말이 들통나도 
전혀 문제되지 않는 나라니까요.
일본이었다면 큰일이 벌어질 텐데.
이 나라에 흥미를 가지고 조사하기 시작해서 
가장 놀랐던 게 이런 거짓 발표입니다.
시험 삼아서 「정부발표」 「거짓말이었습니다」로 
구글에서 검색해 보세요.
게다가 들켜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아요.
거짓말 하는 게 당연한 나라이고,
그런데 간단하게 거짓말에 속아서 선동됩니다.
정말 기묘한 나라라고 생각해요.
 
 
답글→wrs***** |31/1
이거 세관을 기초로 한 게 아니라 
기업측이 이 정도로 수출할 겁니다 라는 목표액을 
발표하고 있는 거 같잖아.
 
 
답글→zug***** |4/36
무역수지는 관계없지 않아?
그거야말로 이미지 조작이지 않아?
수출액의 뉴스에서는 수출액의 사실만을 전하고, 
쓸데없는 정보나 고찰은 배제해야 한다.
 
 
답글→hir***** |5/21
너희들도 부분적으로 잘라내서 정신승리하는 거 좀
그만해라.
 
 
답글→tn0***** |25/1
수출액 역대 최대라도 수입액은 그 이상으로 
적자라고 기사에 있었습니다.
 
 
답글→kkk***** |57/1
일부러 무역 수지를 은폐해서, 
이 기사로 뭘 전하고 싶었던 걸까나?
 
 
mat***** | 152/7
수송선이나 컨테이너 부족으로 
수출 「액」이 급등한 거뿐이지 않나? 
수출 총량 같은 걸 내보내 주지 않으면 모릅니다.
 
 
*asu*** | 139/5
오늘 아침 저쪽발의 다른 기사에서
「역대 최고 수출액도…무역수지는 20개월만에 적자로전락」 이라는 게 있었어요.
왜 일면적인 부분밖에는 보도하지 않는 거지?
불리한 면은 보지 않기로 한 걸까!?
 
 
mrt***** | 124/7
수출액의 증가만으로는 경제 상황을 측정할 수 없다.
가장 문제인 건 한국의 경우 서플라이 체인에 크게 의존하는 
전자 산업이 주체인 점이다. 
부품이나 재료, 제조 장치 등의 수입이 하나라도 정체되면 제조가 멈춰 버린다. 이 상황은 시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는다.
 
 
bluesorange | 363/17
전년 대비 25.8%는 이해할 수 있지만......
21년의 수출이 역대 최대라는 거임?
그리고 오늘은 2일인데 집계가 너무 빠르지 않아?
 
 
답글→tgs***** |32/0
이상적인 숫자를 공표하고 있을 뿐이니까...
 
 
답글→RB26DETT |23/1
이랬음 좋겠다…라는 숫자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noe***** | 24/0
그래도 방역 수지는 적자였다.
그리고 한국의 수출액이 아무리 늘어도 일본에서는
거의 수요가 없다. 
나는 MADE in KOREA 상품은 전부 선택지에서 제외시키지만 
좋아서 사는 사람이 있을까?
싸구려 사서 돈만 버리게 되서 싫고,
만약 진짜 뭔 일이 생겨도 책임 회피하고 
까다롭게 굴 거 같아.
 
 
quc***** | 21/0
이런 과장 기사는 멈춰야 합니다.
숫자를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해주세요.
최종적으로는 수입 초과의 
무역 적자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h_0***** | 18/0
코로나로 불경기인데도 팔리다니
진짜 부럽다!
올해도 힘내 주세요.
무역 손실도 많아지지만, 그만큼 문재인이
재정지출로 보충하니까 걱정없다.
문재인이 자화자찬하는, 자신에 찬 
경제 정책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기가 없는 게 아쉽네~
 
 
iix***** | 81/4
수입도 내놔라.
현재 다른 나라들도 들르지 않는 나라가 됐지.
변함없이 수출 특화만 할 뿐.....
역대 최대라니 뭐가 어떻게 된 거지? 
라는 소리를 듣는 게 고작이지.
 
 
vcx***** | 21/0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저번달의 무역 수지는
5억 9000만 달러의 적자로....
적자 보도가 된 후, 잘라낸 뉴스들을 보니 
시사 통신이 작위적이라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hqw***** | 53/3
그럼 수입액은 어느 정도일까.
혹시 정산 결과 대적자인 건가.
 
 
skm***** | 11/0
본국이 수출할 수 있는 배가 없는데
역대 최대일리 없잖아.
세계의 통계 기준과는 동떨어진 숫자를 
그대로 보도하지 않아야 한다.
 
 
sss***** | 10/1
한국의 무역 수지란 증수감익이나 
감수감익밖에 되지 않아. 
유리한 데이터밖에 발표하지 않으니까 
진짜는 뭔지 몰라.
 
 
mwk***** | 
「무역 수지 적자 확대」임이 분명한 보도예요.
 
 
cdp***** | 148/6
수출은 굉장했지만, 수입도 적자였지.
중요한 건 IMF에 신세지지 않으면 될 뿐이지.
힘내라 !
 
 
kac***** | 7/0
연료 상승에 의해, 수출선을 준비할 수 없다라고 
써 있지 않았었나?  
기차나 트럭으로 북한이나 중국에 수출하고 있던 걸까?
 
 
こじこじ | 62/2
하지만 이득이 안 남았잖아.
 
 
uma***** | 4/0
네 네 잘됐네요. 굉장해요. 
이걸로 이익을 남겼을 때의 얘기지만요.
 
 
mit***** | 34/1
무역수지도 보고 싶다.
 
 
man***** | 1/0
무역 적자도 굉장한데 말이지.
 
 
ya | 21/0
근데 어째서 적자로 전락한 거야?
 
 
ran***** | 14/0
일본에 비하면 내수가 적으니까
수출에 의존하는 거겠지.
 
 
twi***** | 11/0
수지가 중요합니다.
아무리 매상을 올려도 이익이 중요한 겁니다.ㅋ
 
 
yt2***** | 13/0
수입액을 넣지 않고, 적자를 감추고 있네요.  
교활한 수법입니다.
 
 
おやじ | 8/0
국내 수지 역대 최저... ...
 
 
日本チャチャチャッ! | 9/0
한국의 수출액이라는 것은, 
신흥국 중심의 특정 품목으로 편중되어 있다. 
제대로 된 경쟁력을 가지지 않은 제품을 보면, 
그 개발 프로세스에 많은 문제가 있다.
하나는 기초 과학의 둔화이다. 
또 하나는 경험의 축적이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치명적인 결함 구조라고 말할 수 있다.
일본이 수출 규제한 3품목 (불화수소, 불화폴리이미드,레지스트)는, 
정말 일부에 해당하는 한국의 약점에 불과하다. 
징용공 재판의 자산 현금화가 실제화 된다면
이 보복이 다른 품목에도 이르기 시작한다.
수출액이 역대 최고라며 덩실거리는 건 좋지만,
원화 가치 약화로 괴로워하는 게 눈에 보인다.
나는 혐한이지만, 일본에도 수출처로써 영향이 있으니까
노파심을 느끼면서 충고하겠다.
터키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지금부터 주의하는 게 좋다.
경기가 좋다는 얘기는 결국 국민을 배신한다.
이제 한국 국민도 그걸 눈치채기 시작하고 있다.
한국의 언론의 반일 자세의 책임은 크지.
 
 
yos***** | 16/0
확실히 수지로 보면, 역대 최대의 적자네요.
이제 자랑하던 재료가 다 떨어지기 시작했어요.
미국과의 외환 스왑도 종료된 첫 거래가 시작되겠네요.
지옥의 시작이군요.
 
 
kam***** | 11/2
힘내 한국, 일본을 이미 뛰어넘었으니까.
앞으로는 중국을 뛰어넘어라~.
 
 
時々 無一文 | 17/0
그렇게 호조인 나라에서 
왜 외국 자본계 기업이 한국에서 
철수하는 일이 늘고 있는 거야?
그렇게 호조인 나라에서 
왜 극심한 경쟁에서 살아남은 대학 졸업자가
취직처가 없어서 편의점 점원이나 
대졸 자격과 관계없는 아르바이트를 하는 거야??
 
 
cam***** | 6/0
거국적으로 딸기 수출에 힘을 쏟고 있다고는 하지만
따지고 보면 일본으로부터 종자를 훔쳐가지 않았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거국적으로 일본에 감사하고 있을까. 
그럴 리가 없겠지. 훔쳤으니까.
 
 
fuj***** | 10/0
분명 한국 국민의 생활도 풍족해졌겠죠.
실업 따위 없어지고, 
자기 집도 마음 편히 살 수 있게 되었겠죠. 
이야~부러울 따름이네요. ㅋ
그래서 일본으로 취직 따위 하러 올 사람은
없겠네요. ㅋ 굉장한 나라 한국입니다. 깔깔깔
저는 가고 싶지도 살고 싶지도 않지만요. ㅋ
 
 
spe***** | 12/1
급락한 원이 종잇조각?
원 가치 하락으로 통화 위기까지 앞으로 얼마 남지 않음....
 
 
tet***** | 4/0
일본의 절반 정도라니 다행이네.
 
 
lim***** | 0/8
야후 댓글 쓰는 사람들, 부들부들 거리고 있네!
진심으로 칭찬해 주면 되잖아!히힛
 
 
sai***** | 12/0
이건 뭐지?항상 있는 정신 승리인가?
 
 
旭日旗バンザイ | 6/0
한국의 뉴스는 대부분 페이크 뉴스다.
 
 
mur***** | 3/0
숫자만 공표하는 게 주특기예요.
PCR 검사수가 세계 제일이라고 
자화자찬하는 것과 똑같죠. 
실체는 중상자와 사망자가 갱신중입니다.
 
 
cmu***** | 10/0
역시 한국이야!그렇게 호조라면…
이제 스왑에도 의지하지 않아도 되겠군요....
 
 
ece***** | 20/1
축하드립니다. 근데?제대로 이익을 내고 있는 건가?
설마 적자는 아니겠죠. ㅋ
 
 
답글→ef1***** |2/0
수출액 역대 최대도 수입액도 최대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무역 적자」 확정입니다.
m(__)m
 
 
Maina | 79/1
달러 표시니까, 원화 가격 하락도 액수 증대에 
공헌하고 있겠지. 
그래서 수입액도 원료 급등+통화 약세로 증대하고, 
지수는 적자다. 
이것을 한국의 경기가 좋은 듯이 잘라내서 보도한다.
청와대의 후원인 건가?
 




번역기자:soyanari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blueskyt2

재미있게 봐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