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BZenMojo
이건 정말이지 구역질이 나는군. 많은 아시아 문화들은 돈을 어떤것보다도 가치있게여기고있어. 돈과 등급(서열)을 중시하지.
그들은 그것을 위해서 살고 평생을 일하고 고급스러운 차와 물건들을 사. 주로 어른들이 그렇지.
하지만 그게 저런 어린 나이의 아이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을때는 그들의 문화와 삶의 방식이 완전히 잘못됐다는걸 알아야한다고.라...
너를 위해 언급하자면, 미국이 대부분의 아시아국가보다 1년에 평균적으로 더 많이 일해.
thyart_ismurder
내 생각에 미국은 한국과 상당히 비슷해.
koi88
몇주전에 한국을 떠나고 싶어하는 한국인들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봤어. 미국에 오기위해 그린카드를 얻으려고 많은 돈을 지불하더라고. (내가 기억하기론 2만달러정도였어)
그러면 그들은 "진짜" 그린카드를 얻을때까지 미국에서 제한된 시간동안 일해야하고 과일따기같은 일을 하더라고.
한국을 방문한 미국 농부도 나왔는데 자기 농장에서 간절히 일하고 싶어하는 의사들과 기술자들에 대해 놀라워했어.
warm_heart
링크가 있니?
koi88
미안. 그건 내가 독일TV에서 본 다큐멘터리였어.
shampooing_strangers
이건 나에게는 놀라운 일이 아니야. 나는 지금 한국에서 영어를 가르치고있는데 내 학생들은 나에게 이렇게 말하곤 해.
"아프리카사람들은 돈이 없으니까 아프리카는 안 좋아요." "여자친구가 있으면 돈이 많아야해요" "돈이 있기때문에 미국이 좋은거에요" "공부해야해요 그렇지 않으면 가난하고 암울한 사람이 될거에요"
그리고 내가 지금 기억할 수 없는 많은 얘기들을 하곤하지.
대본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한국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야.
나는 한국을 사랑해. 하지만 호의적인 인식을 위한 그들의 노력이 얼마나 해로울 수 있는가를 나뿐 아니라 너희들도 알아야만해. 이게 내가 여기서 일하면서 배운 가장 큰 교훈이야.
사립학교 교사의 99%가 겪는거지.
nocturn-e
하지만 저 아이가 말한건 진실이야.
Kirk781Ethical capitalism!
한국에서는 뭔가 즐기는걸 보면 눈살이 찌푸려져지나봐.
즐긴다는게 한국에서는 대단히 저속하다고 인식되는것같애.
Acid-Membrane
물론 지나치게 단순화한거야. 어쨌든 인터넷이니까.
나는 유럽과 아시아 곳곳에서 여행을 다녔고 지내기도 했고 일하기도 했어. 지금도 그렇지. 그리고 한국인들처럼 즐길줄 모르는 사람들은 본적이 없어.
그 작은 예로 온라인게임 이용금지시간이 있지. 한국보다도 즐기는걸 싫어하는 나라는 북한밖에 없을거야.
latenightmonkey
한국에 있으면서 내가 받은 인상은 사람들이 정말 믿기지않을만큼 열심히 일한다는거야. 하지만 성과는 서양의 회사원들보다 크지 않아.
어린아이들은 아침 7시부터 학교에 가서 5시까지 공부하지. 그리고 11시 잠자는 시간 전까지 학원이나 과외를 받으러 다녀.
너희는 이런 종류의 잔인한 교육 시스템때매 그들이 세계에서 최고 최상의 것을 생산하고 있다고 생각하겠지.
그리고 내가 한국에서 만난 많은 한국인들은 매우 영리한 사람들이었지만 그게 한국을 전체적으로 드높이는것같진 않더라고.
aliberalconservative
맞아. 미국과 비교할때 그렇지. 하지만 이걸 기억해야해. 한국은 50년전 인도와 같은 시기쯤에 발전을 시작한 나라야.
인도가 고작 GDP 14000에 도달했을때 그들은 GDP 25000을 달성했고.
nap-god
나는 인도에 살았었는데 이메일이 마음에 안 든다는 이유로 사장에게 월급을 감봉당한 사람들이 있었어.
최근에 베트남에서 돌아왔는데 거긴 정부가 급여의 상당량을 가져가거든. 하지만 원아를 학교에 보내려면 여전히 돈을 내야해.
미국인들은 관점에 있어서 심각하게 충격적일 정도로 부족한 감이 있어.
DJWalnut
우리(미국) 삶의 질이 저런 수준으로 더 나빠지기전에 저런 실수에서 배우는게 좋을거야. 이미 시작됐어.
누군가 과거의 일이 그들에게 일어났다고 말하더라도 나는 의심하지 않을거야. 차터 스쿨을 늘리면 마지막에 언급한 내용이 발생할 수도 있겠네.
* 차터 스쿨 : 공적 자금을 받아 교사·부모·지역 단체 등이 설립한 학교
Jesusthecarpenter
하지만 아이가 한국어를 말하고있었다면 왜 자막처리된거지? 이 아이가 중국인이거나 다른 나라 사람이 아닌건 확실한거야?
Paradoxa77
이건 아주 좋은 의견이야. 대본이 있었을지도 모르겠어. 그런데 아이가 다른 얘기를 한거지.
내가 알아낸 바로는 만화 자막은 실제 대사와 다르더라고. 하지만 이렇게 평범하게 생긴 아이라면 일반적으로는 대본대로 말할거야.
RespublicaCuriaeWolff-ist/Piketty-ist[S]
한국어 대화체는 "표준" 한국어 문어체와는 약간 달라.
mysticrudnin
게다가 그는 어린애야.
또한... 한국TV에서는 저렇게 자막을 넣곤 해.
toveri_Viljanen
하지만 한국인들은 자막 없이도 한국 구어체를 이해하잖아. 그렇지?
RespublicaCuriaeWolff-ist/Piketty-ist[S]
물론이야. 하지만 한국TV는 어쨌든간에 흔히 자막을 넣곤 해.
RespublicaCuriaeWolff-ist/Piketty-ist[S]
설명하긴 어려워. 내가 아는 전부는 한국방송표준이 캐나다/미국 방송 표준과는 아주 다르다는거야.
PIP_SHORT
나는 한국에서 2년 살았지만 정말 맞는 얘기야. 멋진 글이야.
나는 수년간 스카이프로 한국 전문직들을 개인교습했는데 그러다 수의사들을 (여섯명인가 일곱명인가) 가르치게됐어.
그들은 한국의 아름다운 전원지대에서 사랑하는 동물들과 함께 일하면서 많은 돈을 벌고있었지.
하지만 그들은 부모가 가르친대로 훌륭한 의사가 되지 못했다는 사실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굴욕감을 느끼더라고.
그게 내 마음을 아프게했어. 그들중 네명은 결국 미국에 살고있어. 그 사실에 전보다 명백하게 훨씬 더 행복해하고있고.
IJzerbaard
멋진 글이야. 하지만 이것좀 얘기해줘.
살만한 가치가 있는 삶을 만드는 요소란 뭘까?
wfunction
그건 그 사람한테 달린거지.
하지만 한국의 문제점은 사람들이 그걸 생각할만한 시간이나 자주성을 실제로 갖지 못 한다는거야.
만약 네게 시간과 자유가 있다면 삶에서 너를 행복하게 만드는걸 발견하는건 네게 달린거지.
내 부족한 견해로는 특별한 누군가를 찾는것으로부터 시작하는게 좋아.
jonestown_manicure
이건 자본주의의 징후가 아니야. 유교민족을 대상으로한 문화적 고수의 징후지. 역사를 배우고 정치를 배우라고.
자유의지론자들은 협동조합주의를 믿지않아. 특히 한국에 만연한 정실 자본주의에서 그렇지.
Best_Pants
확실히 문화야말로 한국의 나쁜 근로 환경의 근본 원인이야.
하지만 자본주의는 현상의 지속을 가능하게 하고 조력하지.
자유의지론자들은 전형적으로 이 상황을 바로잡을만한 변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이야.
즉, 정부의 힘을 키우는것과 자유시장을 제한하는 정책이지.
CronoDroidViet Cong
음. 몇몇 사람들은 먹고 마시는대서 즐거움을 찾으려 할지도 몰라. 하지만 내가 추측하기론 어느정도 사교적이고자 한다면 술 마시는것과 상관 없을거야...
잘은 모르겠지만 나는 많은 한국 리얼리티 쇼를 봤고 그들이 실제 현실을 대표하는 것은 분명 아니지만 그들은 자주 사교적인 일들을 하러 가고 동시에 낭비하지도 않더라고.
그렇지만 나는 재미에 대한 네 상각이 뭔지는 모르겠어.
humblepotatopeeler
그렇군. 이 아이는 내가 20세가 되고서야 생각한걸 이미 생각해냈구나.
TheBroodianTHIS IS YOUR GOD
일본 문화가 거의 이거랑 동일해
gisthrowbee
한국인들은 모두 같은 옷을 입고 같은 헤어스타일을 해. 그들이 창의성이 없어서가 아니야. 그렇게 해야하기때문이지.
난 캐나다로 이주한 아이들을 다루는 이런 영상을 봤어. 그들은 적응하기 위해 아주 열심히 노력하고 몇몇 백인 아이들이 관심갖는 서브컬쳐나 카운터컬쳐를 접하지 않으려 하더라고.
예를 들어 중고품할인판매점에서 골반바지같은 구형옷을 사는거나 이동수단으로 오토바이를 타는것 등등...
그들은 그걸 가난한 사람들이 하는 거라고 생각하더라고. 색다른/기이한 음악이나 영화를 좋아하기란 그들에게 너무 위험한 일이지.
문제가 되는건 아니지만 어디서부터 그런 생각을 갖게되었는지 궁금했어.
NotAzebu
이 아이는 영리한거야
vmcreative
한국에는 발렌타인 데이에 대응하는 날이 있어. 선물을 교환하는거지. 그런 날 버림 받은 사람들을 위해서 특별히 지정된 날도 있고. 싱글인 것을 (허위로) 처벌하는 의미로써 그런 사람들끼리 (짜장면을) 먹으러가지.
이런 문화를 고려하면, 거기서 자란 아이들이 친구를 사야한다고 생각하는것도 놀라운 일이 아니야.
the_illest_name_ever
그날은 화이트데이라고 불려. 남자들이 여자친구에게 선물을 주는 날로 지정되어있지.
발렌타인데이는 여자들이 남자친구에게 선물을 주는 날이야.
짜장면(검은 국수)을 먹는데는 몇몇 전통이 있는것같지만 거의 우스개소리인것같애. 그 날에 그것에 전념하지는 않아.
fuckcapitalism2016
저 아이가 말한것중 많은 내용이 불행하게도 진실이야. 저 애는 나쁜 아이가 아닐지도 몰라. 단지 영리하고 솔직한 아이인거지.
자본주의는 사람들이 생존하기위해 끔찍한 일들을 하도록 강요하고 사람들이 친구들과 뭔가를 즐기기위해서 돈을 사용하도록 강제하지.
모든것이 돈을 중심으로 돌아가. 그래서 인류가 자본주의라는 이름의 병폐를 제거해야만하는거야.
HeungMinSon
어찌 된 빌어먹을 사회인거야. 젠장할.
BoltnCutler
친구들. 나는 이 아이를 보기전까진 내가 삶에 부정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어...
stufflkase
이건 정말이지 구역질이 나는군. 많은 아시아 문화들은 돈을 어떤것보다도 가치있게여기고있어. 돈과 등급(서열)을 중시하지.
그들은 그것을 위해서 살고 평생을 일하고 고급스러운 차와 물건들을 사. 주로 어른들이 그렇지.
하지만 그게 저런 어린 나이의 아이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을때는 그들의 문화와 삶의 방식이 완전히 잘못됐다는걸 알아야한다고.
-Enkara-Don't rock the vote, vote with rocks
정말 너무 슬퍼.
가여운 아이들의 정신이 이데올로기에 의해 파괴되고있어.
RespublicaCuriaeWolff-ist/Piketty-ist[S]
자본주의는 끔찍한 거라는걸 말하고싶어. 이데올로기가 아냐.
red-philosophy
이 아이는 정말 정직한 사람이야. 잘 될게 틀림없어!
Paradoxa77
나는 이런 말들을 저 아이가 스스로 생각한건지 상당히 의심스러워.
나는 한국에서 4년동안 저 나이 또래의 아이들을 가르치고있는데 아이들이 "경우"와 "중심으로"같은 단어들을 사용하면서 저렇게 고상하게 말하는걸 한번도 들어보지 못 했어.
그렇지만 놀라진 않았어. 학기가 끝날때 우리가 정기적으로 하는 보상겸 기념행사는 "마켓 데이"거든!
아이들이 우리가 나눠준 가짜돈을 사용해야하지. 하지만 너무 비싸진 않아! 우리는 장난감이나 과자를 사야하니까. 그리고 우리학교는 사립학교거든.
음. 어떤 녀석이 사립학교가 좋은 발상이라고 생각했는지... 이런 학교의 교육적인 기준이란 개똥외엔 암것도 아니야.
Waynersnitzel
그는 어린애야. 그가 말하는 내용이 돈과 가치에 대해 좋은 가치관을 보여주진 않는군. 하지만 우리가 기억해야하는건 그는 어리고 "아이들은 터무니없는 것들을 말하곤해".
(미국에서) 내 경험으로는 저 나이 또래의 대부분의 아이들은 돈에 얽매이지않아. 그리고 매일 사용한 금액을 거의 말할수도없지.
RespublicaCuriaeWolff-ist/Piketty-ist[S]
"아이들은 터무니없는 것들을 말하곤해"라...
나는 이걸 말하고싶어. 한국은 아이들의 권리가 완전히 무시되기로는 세계의 국가들중 몇안되는 나라중 하나야.
게다가 젊은이들의 높은 자살률을 거론하지도 않지.
BlackBeltBeta
진지하게 저 어린 아이는 저걸 말하지 않았을거야. 아마 비슷한 뭔가를 말했는데 다른말로 바뀌어 자막처리된거겠지.
Mrgoosegoose
모두들 한국이 어떤지 알고있는것처럼 행동하는구나. 오마이갓.
한국은 최고의 나라가 아니야. 하지만 나는 총명한 사람이 이걸 진지하게 받아들일거라곤 믿을 수 없어.
그건 8세 아이가 그렇게 말했다는 이유로 미국인들은 모두 부자들이고 우정의 진정한 개념이 없다고 추정하는거랑 마찬가지인거지.
소름끼치도록 무지한거야. 너희들 다수가.
RespublicaCuriaeWolff-ist/Piketty-ist[S]
만약 이게 한국의 일반적인 사고방식이라면 여전히 20세기이전의 신유학이 영향을 주고있는 냉전시대 사회분위기란거군.
Chili_Palmer
이건 아시아 대륙의 모든 국가에 있는 또다른 (교육)이슈야. 무슨 이유인지 고쳐지지않고있지.
그들은 거의 언어(능력)에 대해 아무것도 배우지않아. 단지 그럭저럭 대화하기에 충분한 정도만 공부하고 그래서 그들은 모든 에너지를 수학과 과학에 집중할 수 있지.
이건 자연적으로 그들이 전세계적으로 불이익을 보게끔 만들지.
너는 누군가처럼 지식이 많을 수도 있겠지만, 만약 니가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없다면 아무도 니가 말할 내용에 흥미를 갖지 않을테니까.
MuttinChops
저 아이는 정말 어려보여. 그 점에 대해서는 나는 저런 어린 친구가 저렇게나 돈이나 세상에 얽매여있는걸 보기가 어려워.
Duke28CEO - Rose Suchak Ladder Company
자본주의는 형편없어.
Mango_Zango
내가 한국에 갔을때 한국인들은 엿같으면서도 사랑스러운 사람들이었어. 하지만 한국사회는 극단적으로 물질만능주의야.
만약 너희가 미국인들을 물질만능주의자라고 생각한다면 거기에 10을 곱해봐. 그게 한국인들이야.
throwoda
슬픈 사실은 한국사회에서는 저 아이가 옳다는거야. 가치가 평가되기위해 돈이 필요한 사회지.
mrpnut123
저렇게 말하라고 시킨걸거야...
anInternetKitten
가여운 아이가 꽤나 심각하게 세뇌당한것같애.
만약 이게 한국의 일반적인 사고방식이라면 정말 많은 자살이 발생하는것도 놀랍지 않아.